• 제목/요약/키워드: aortic tissues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17초

식이 셀레늄 수준과 식이 지방산 조성이 쥐의 지질과 산화 상태와 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elenium and Fish oil on Lipid Peroxidation and Fatty Acid Profile in the Rat)

  • Song Ji Hy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476-484
    • /
    • 1992
  • 식이 셀레늄(Se)의 수준과 식이지방산의 조성이 조직(혈장,동맥,간)의 지질과산화 상태와 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Sprague Dawley종 수컷쥐들을 식이 Se 수준(0.005mg/kg diet, 0.5mg/kg diet)과 식이 지방산의 주요 급원(옥수수유, 어유)에 따라 4군으로 나누어 8주간 실험하였다. 식이에 함유된 vitamin E의 함량은 117IU정도이다. Se 영양상태의 지표인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도와 Se 수준은 Se이 결핍된 식이를 공급시키면 식이지방 종류에는 상관없이 낮게 나왔다. 어유공급은 간과 동맥의 MDA를 증가시키나 Se을 공급시킨 쥐의 간 MDA수준은 감소되었다. 어유를 공급시키면 혈장 총치질, 동맥 과 간의 인지질에서 20:5(n-3), 22:5(n-3), 22:6(n-3), 20:3(n-6) 수준은 증가하였으며 20:4(n-6)수준은 감소되었다. 비록 Se공급이 n-3 지방산 수준 [22:6(n-3)]을 증가시키나 어유공급 효과에 비하면 그 효과가 적었다. 본 실험결과에 의하면 vitamin E가 현재 권장되는 양보다 충분히 많게 공급되어도 Se이 지질과산화를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으므로 적절한 Se공급이 바람직하다.

  • PDF

식이칼슘 수준이 콜레스테롤 첨가 또는 무첨가 고지방식 섭취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alcium Level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with or without Supplemental Cholesterol)

  • 이연숙;고정숙;정금희;강현숙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5-81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성숙한 흰쥐에게 동물성 포화지방(식이중 beef tallow로서 18%)과 식이에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지 않은 조건과 첨가한 조건(1%) 하에서 식이칼슘을 수준별로(식이에 0.1%, 0.5%, 1.5% 첨가) 4주간 동안 급여한 후 혈액과 조직의 지질함량, 소장내용물 중 지질의 분포 및 분중 지질배설량 등이 측정되었다. 그 결과, 콜레스테롤 무첨가의 고지방식을 4주간 급여한 경우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유발되지 않았으며, 식이칼슘의 투여효과도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콜레스테롤 첨가 고지방식을 급여한 경우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발이 가능하였다. 이때 식이칼슘의 투여효과는 식이칼슘의 수준 증가에 따라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가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식이칼슘 섭취 부족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효과(hypercholesterolemic effect)와 칼슘섭취 증가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hypocholesterolemic effect)가 인정되었다. 또 칼슘 섭취가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하나의 작용메카니즘으로서 콜레스테롤의 소화율과 장관내 흡수양상이 검토되었는데, 이때 분중 지질성분의 배설량은 고칼슘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콜레스테롤의 소화율은 저칼슘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것은 칼슘이 지질 성분의 배설을 촉진하므로서 지질 성분의 흡수를 저하시킨다고 하는 장관내 지질 흡수 메카니즘에 대한 “지질-칼슘 soap 형성”으로 칼슘의 역할이 설명될 수 있다. 본 과제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소장내용물의 지질과 칼슘성분의 존재양상은 지질 흡수와 칼슘의 상호작용을 보다 직접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었으나, 얻어진 결과에 대한 해석에는 아직 어려움이 있었다.

  • PDF

심실중격결손이 동반된 좌심실유출로협착 환아에서의 Norwood-Rastelli Procedure -3예 보고 - (The Norwood-Rastelli Procedure for Left Ventricular Outflow Tarct Obstruction with a Ventricular Septal Defect - Three case report -)

  • 김동중;곽재건;오세진;장우성;김동진;이창하;김웅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9호
    • /
    • pp.624-628
    • /
    • 2007
  •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심실중격결손이 동반된 여러 부위의 좌심실유출로 협착 진단을 받은 3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여 Norwood-Rastelli 술식을 시행하였다. 대상 신생아들의 체중은 $2.9{\sim}3.1 kg$ 이었으며 승모판막과 좌심실의 크기 및 형태는 정상이었다. 수술은 완전순환정지 없이 국소 관류하에서 자가 조직만을 이용하여 광범위하게 좌심실 유출로를 재건하는 수정된 Norwood 술식, 판막이 없는 우심막 도관을 이용하여 우심실과 폐동맥을 연결하는 Rastelli 형태의 술식 및 좌심실에서 폐동맥 판막으로 혈류가 가도록 연결하는 심실중격결손 폐쇄술을 시행하였다. 모두 수술 후 특별한 문제는 없었다. 추적 관찰 중 1명에서 수술 7개월 뒤 우심실유출로 도관의 협착으로 심도자술 도중 발생한 심정지와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생존한 2명 중 1명은 우심실유출로 도관 협착으로 재수술을 받았으며 5년째 건강한 상태이며 나머지 환아도 1년째 건강한 상태로 외래 추적 중이다.

당뇨병 동물모델에서 여정엽(女貞葉) 추출물의 항당뇨 및 항염증 효과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ater Extract of Ligustrum japonicum Leaves in db/db Mouse)

  • 이윤정;이윤재;윤정주;이소민;김혜윰;신선호;강대길;이호섭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7-114
    • /
    • 2012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leaves of Ligustrum japonicum (WLJ) in db/db mouse. Methods : The db/db mice were treated orally with WLJ (300 mg/kg/day) for 10 weeks to examine the long-term effects on hyperglycemia and glomerular tissue as well as biochemical and functional abnormalities in the kidney. Results : WLJ treatment markedly reduced plasma levels of glucose, triglyceride, creatinin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in diabetic db/db mouse. Treatment of WLJ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level of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We also found that overexpressions of vascular cellular adhesion molecule (VCAM)-1 and endothelin (ET)-1 were observed in aortic tissue of db/db mouse, whereas, WLJ suppressed both expression of VCAM-1 and ET-1 in aorta. In renal tissue, overexpressions of ICAM-1 and TGF-${\beta}1$ were found in untreated db/db mouse, however, significantly decreased those levels by WLJ treatment. The insulin immunoreactivity of the pancreatic islets remarkably increased in WLJ treated db/db mouse compared with untreated db/db mouse. Taken together, WLJ treatment ameliorated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via improvement of insulin secretion and lipid metabolism, respectively. Furthermore, WLJ treatment also ameliorated hypertension via inhibition of inflammatory process in vascular and renal tissues. Conclusions : Ligustrum japonicum has an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db/db mouse. Thus, these results suggested a beneficial effect of Ligustrum japonicum in treatment with diabetes and diabetic vasculopat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