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xiety scale

검색결과 1,221건 처리시간 0.029초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도서관불안과 측정도구 분석 (Library Anxiety and library Anxiety Scale in the Digital Library Environment)

  • 권나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9-47
    • /
    • 2004
  • 본고는 도서관 정보 서비스 및 이용자교육의 중요한 연구 영역인 도서관 불안에 관한 연구를 디지털 도서관 환경 측면에서 새로이 검토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디지털 도서관이 활성화되기 전에 개발되어 현재까지 대부분의 도서관 불안 연구에서 측정도구로 사용된 Bostick(1992)의 도서관불안척도(Library Anxiety Scale: LAS)를 분석하면서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의 변화(예: 디지털 참고 정보봉사, 원격 이용의 증가, 서지교육에서 정보이용교육으로의 질적 전환 등)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그 도구의 한계점을 파악한 후, 이 논의를 토대로 정보이용과 관련된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판 사회적 외모불안 척도(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ppearance Anxiety Scale, K-SAAS) 타당화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ppearance Anxiety Scale)

  • 이민지;김미리혜;김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
    • /
    • 2023
  • Objective : To translate and adapt the Social Appearance Anxiety Scale into Korean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ppearance anxiety scale, which measures the fear and anxiety about being negatively evaluated by others based on one's overall appearance, including body shape. Methods : For item translation and adaptation, six bilingual translator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forward-adaptation and back-adap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The sample size is 105 for Study 1 and 212 for Study 2. Classical item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analys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 A unidimensional structure was found with a high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0.95) and a high test-retest reliability (r=0.918). In addition, the concurrent validity was examined by correlations of the scale and several other scales measuring constructs related to social appearance anxiety. Conclusion : K-SAAS appears to be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screening and assessing social appearance anxiety.

대학생의 주간 졸림과 스트레스, 불안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Sleepiness, Stress Response, and Anxiety Symptoms of Students in a University)

  • 김부용;류석환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7-142
    • /
    • 2014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daytime sleepiness, depressive symptoms, anxiety symptoms, and stress response of students in a university Methods : A total of 557 studen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filled out stress response inventory, Epworth sleepiness scale, overall anxiety severity and impairment scale, and quality of life scale. Results :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all factors in stress response inventory, overall anxiety severity and impairment scale, and quality of life scale. Sleepiness might be correlated with somatization and depression and anger in Stress response inventory. Conclusion :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group exhibited poor quality of life scale. Screening about overall quality of sleep, such as mood and anxiety should be considered for students in a university.

통증과 불안의 관계분석 (Correlation of Pain and Anxiety)

  • 강점덕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9-29
    • /
    • 2002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pain using visual analogue scale and self rating anxiety scale questionnaire. Methods: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by 83 adult patients of department relation to pain in hospitals of Daegu from June 20, to August 10, 2001. The information was used to estimate multiple regression for the pain and anxiety scale related factors association. Results: Women visual analogue scale 4.6 scores of mean was higher than man 4.3 scores. Man self rating anxiety scale 30.2 scores of mean was higher than women 26.8 scores. The scores of 6 months above was discomfort 51.8, 1 month below was mild 22.1%, 2-3 months was discomfort 10.5%, and 4-5 months was discomfort 9.3% in association between present pain index and duration. Conclusion: Visual analogue scale scor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requency of present pain index. Self rating anxiety scale scor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requency of occupation and present pain index.

  • PDF

What is the gold standard of the dental anxiety scale?

  • Seong In Chi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3권4호
    • /
    • pp.193-212
    • /
    • 2023
  •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patients' anxiety and fear about dental treatment. A patient's anxiety can be quantifi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many related scale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review, I tried to find out which scale is most suitable for the patient's dental anxiety and fear evaluation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previously developed scales and compa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scale.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 its Validity)

  • 옥보명;이창연;류병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233-25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불안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계획·실행을 위한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의 개발과 타당화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과정을 설명하고,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을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로 수학교과, 수학태도, 수학시험, 환경 등 4개 요인 30문항으로 이루어진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 MASS-M이 개발되었다. MASS-M은 중학생의 수학불안 요인으로서 '수학시험' 요인, '환경' 요인, 특히 수학적 처치를 설명하는 '수학교과' 요인과 심리적 처치를 설명하는 '수학태도' 요인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MASS-M은 중학생의 수학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타당화한 검사 도구로써, 중학생의 수학불안 관련 연구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중학생의 수학불안을 처치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불안 장애 환자와 우울 장애 환자의 감정표현불능증

  • 김부용;류석환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9-154
    • /
    • 2015
  • Objective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alexithymia between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The second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lexithymia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Methods : A total of 175 patients with diagnoses of anxiety disorder or depressive disorder were recruited. Demographic, psychosocial, and clinical data were analyzed, as well as results on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a quality of life scale, the Beck Depression scale, and Beck Anxiety Inventory. Results : As compared with the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 on the TAS-20K and for factor 1 (difficulties identifying feelings) and factor 2 (difficulties describing feeling) scales of the TAS-20K and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f psychosocial well-being on the quality of life scale. Total scores on the TAS-20K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scores for some subscale on the quality of life scale.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 that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had more alexithymic symptoms and worse quality of life compared with those with anxiety disorder. Also, alexithymic symptoms a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Therefore, clinicians should try to focus on relieving symptoms to help patients restor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환아의 그림을 통한 치과치료시 불안도 평가 (ASSESSMENT OF DENTAL ANXIETY IN THE CHILD PATIENT BY THEIR DRAWINGS)

  • 최서정;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54-362
    • /
    • 2003
  • 아동의 그림을 통해 치과 치료시 불안을 측정 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만 4세 이상 9세 미만의 아동 중 3회 이상의 진료가 필요한 35명을 대상으로 내원시마다 1장씩 그림을 받아 Sheskin의 치과불안도를 수정한 6개의 분석항목으로 불안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치과불안도(Dental Anxiety Scale, DAS)가 아동들의 불안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가기록 방법인 Faces Pain Scale(FPS)을 이용하여 비교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치과불안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려 요인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DAS는 최저치 0점과 최고치 6점 사이에서 2점과 3점이 각각 32.6%(42/129)와 31.8%(41/129)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2.50점을 기록하였다. 2. DAS에서 불안을 나타내는 항목 중 많이 표현된 것은 '치료상황의 생략', '치과의사의 크기를 줄이거나 비슷하게 그림', '신체 부위의 생략이나 왜곡', '미소나 입이 없음'의 순이었으며 불안을 나타내지 않는 항목 중 많이 표현된 것은 '치과 의사의 존재', '치과기구를 그리지 않음', '미소가 있음', '신체 모든 부위의 정상적 묘사'의 순이었다. 3. FPS는 최저치 0점과 최고치 6점 사이에서 0점과 1점이 각각 65.12%(84/129)와 23.26%(30/12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0.64점을 기록하였다. 4. FPS에서 높은 불안도를 나타내는 4-6점 사이가 5.4%(7/129)로 나타났으며, 0-3점 사이의 군보다 DAS가 높게 나타났다(p<0.05). 5. DAS와 FPS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DAS로 아동의 불안을 측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0.2610, p<0.05). 6. '만 8세이상 9세 미만의 군', '남자아동'에서 높은 불안도가 나왔으며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군에서 낮은 불안도를 보여 나이, 성별, 과거 치 의과적 반응 등의 항목이 DAS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반면 내원횟수, 치료종류 등의 항목은 DAS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수학불안 대처행동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ping Behavior Scale to Mathematics Anxiety)

  • 이세나;이승훈;한석실
    • 아동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1-6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 scale to measure mathematics anxiety cop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the first 45 items selected from a review of literature, 33 items were selected by content validation, modification and revision. Validity, reliability, and item discrimination was based in responses of 1,831 subjects.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Cronbach's, $\alpha$,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s, and t-test. The resulting Scale of Children's Mathematics Anxiety Coping Behavior consisted of 26 items with 5 factors : active problem-solving, aggressive emotion expression, aversive coping, passive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Cronbach's $\alpha$ ranged from .67 to .86 for five factors. T-test showed the 26 items of the scale to be discriminant.

  • PDF

불면증의 심각도와 우울, 불안 및 불안 민감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somnia Severity and Depression, Anxiety and Anxiety Sensitivity in General Population)

  • 김나현;최홍민;임세원;오강섭
    • 수면정신생리
    • /
    • 제13권2호
    • /
    • pp.59-66
    • /
    • 2006
  • 목 적:일반인에서 불면증의 심각도와 우울, 불안 및 불안 민감성과의 연관을 조사하고 불면증의 심각도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6년 9월 강북삼성병원 건강검진센터에 건강 검진을 받으러 온 일반인 95명을 대상으로 AIS-8, BDI, STAI, ASI를 실시하였다. 연령을 통제변수로 하여 AIS-8, 수면 항목을 제외한 BDI, SA, TA, ASI 등의 변수에 편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들 척도 중 AIS-8을 설명할 수 있는 척도를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결 과:일반인 95명에서 불면증의 심각도는 수면 항목을 제외한 BDI(r=0.541, p<0.001), SA(r=0.267, p<0.05), TA(r=0.642, p<0.001), ASI(r=0.312, p<0.01)와 모두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TA와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 분석에서 불면증의 심각도를 유의하게 설명할 수 있는 척도는 TA였다(p<0.001). 결 론:이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불면증의 심각도가 우울, 불안 및 불안 민감성과 양의 상관 관계에 있으며 특히 특성 불안과 유의하게 상관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특성불안이 우울, 불면과 관련 있다는 기존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