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nt compound

검색결과 826건 처리시간 0.04초

Cinnamaldehyde Attenuates Cataractogenesis via Restoration of Hypertension and Oxidative Stress in Fructose-Fed Hypertensive rats

  • Singh, Amrita;Ahmad Khan, Samsroz;Choudhary, Rajesh;Bodakhe, Surendra Haribhau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7-144
    • /
    • 2016
  • Objectives: Several studies have revealed that systemic hypertensi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cataractogenesis. However, th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is often unclea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cataractogenic effect of cinnamaldehyde (CA), a natural organic compound, in rats with fructose-induced hypertension. Methods: The ra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For six weeks, the normal group received a suspension of 0.5% carboxy methyl cellulose (10 mL/kg/day, p.o.) while five other groups received a 10% (w/v) fructose solution in their drinking water to induce hypertension. By the end of the third week hypertension had been induced in all the animals receiving fructose. From the beginning of the fourth week to the end of the sixth week, one of those five groups (control) continued to receive only 10% (w/v) fructose solution, one group (standard) received ramipril (1 mg/kg/day, p.o.) plus 10% (w/v) fructose solution, and three groups (experimental) received CA at doses of 20, 30, and 40 mg/kg/day p.o., plus 10% (w/v) fructose solution. Blood pressure was measured weekly using a non-invasive blood pressure apparatus. After six week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nd the anti-cataractogenic effects on the eye lenses were evaluated. Results: Administration of fructose elevated both the systolic and the diastolic blood pressures, which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CA at all dose levels. In th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alonaldehyde (MDA) level and decreases in the total protein, $Ca^{2+}$adenosine triphosphate (ATP)ase activity, glutathione peroxidase,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levels, a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were observed. Administration of CA at all doses significantly restored the enzymatic, non-enzymatic, antioxidants, total protein, and $Ca^{2+}$ATPase levels, but decreased the MDA level,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CA modulated the antioxidant parameters of the serum and lens homogenates in hypertension-induced cataractogenic animals.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그 성분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ctive Components of the Extracts from Pleurotus ostreatus)

  • 김민희;정은정;김용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25
    • /
    • 2016
  • 느타리버섯을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에탄올 추출 농도에 따라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인 ergothioneine,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 측정과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물 추출물(에탄올 0%)의 ergothioneine과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이 각각 $2.98{\pm}0.05mg/g$, $9.51{\pm}0.45mg/g$, $2.83{\pm}0.03mg/g$으로 가장 높았고, 에탄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물 추출물에서 각각 $80.41{\pm}0.56%$, $91.47{\pm}0.11%$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FRAP 값도 물 추출물이 $8.86{\pm}0.33\;FeSO_4\;eq$. mM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ergothioneine은 total phenolic compounds (r = 0.818)와 flavonoid (r = 0.837)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DPPH (r = 0.614) 및 ABTS라디칼 소거능(r = 0.483)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은 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NecroX-5 protects mitochondrial oxidative phosphorylation capacity and preserves PGC1α expression levels during hypoxia/reoxygenation injury

  • Vu, Thi Thu;Kim, Hyoung Kyu;Le, Thanh Long;Nyamaa, Bayalagmaa;Song, In-Sung;To, Thanh Thuy;Nguyen, Quang Huy;Marquez, Jubert;Kim, Soon Ha;Kim, Nari;Ko, Kyung Soo;Rhee, Byoung Doo;Han, 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0권2호
    • /
    • pp.201-211
    • /
    • 2016
  • Although the antioxidant and cardioprotective effects of NecroX-5 on various in vitro and in vivo models have been demonstrated, the action of this compound on the mitochondrial oxidative phosphorylation system remains unclear. Here we verify the role of NecroX-5 in protecting mitochondrial oxidative phosphorylation capacity during hypoxia-reoxygenation (HR). Necrox-5 treatment ($10{\mu}M$) and non-treatment were employed on isolated rat hearts during hypoxia/reoxygenation treatment using an ex vivo Langendorff system. Proteom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and non-labeling peptide count protein quantification. Real-time PCR, western blot, citrate synthases and mitochondrial complex activity assays were then performed to assess heart function. Treatment with NecroX-5 during hypoxia significantly preserved electron transport chain proteins involved in oxidative phosphorylation and metabolic functions. NecroX-5 also improved mitochondrial complex I, II, and V function. Additionally, markedly highe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coactivator-$1{\alpha}$ ($PGC1{\alpha}$) expression levels were observed in NecroX-5-treated rat hearts. These novel results provide convincing evidence for the role of NecroX-5 in protecting mitochondrial oxidative phosphorylation capacity and in preserving $PGC1{\alpha}$ during cardiac HR injuries.

곶감, 생감 및 감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Persimmon, Fresh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 홍정희;김현정;최용화;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957-9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곶감, 생감 및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생리활성을 검색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곶감, 생감 및 감잎 각각 147.79, 301.45 및 $315.90\;{\mu}g/mg$으로 생감 및 감잎에 폴리페놀 함량이 곶감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감잎의 경우 폴리페놀 함량에 비례하여 DPPH radical 소거활성,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및 salivary $\alpha$-amylase 저해활성이 증가되었다. 항암활성도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생감 및 감잎추출물이 위암 세포인 AGS에 대해 $65{\sim}70%$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폴리페놀 함량에 차이가 있는 곶감과 생감의 경우 free radical 소거능 및 salivary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항고 혈압 활성은 곶감, 생감 및 감잎 추출물 모두 80% 이상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은 감잎 추출물의 항균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곶감 및 생감의 경우 E. coli O157:H7에 대해서만 약한 항균력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같은 감류임에도 건조 상태 및 부위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감잎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암 활성은 폴리페놀 함량에 기인하나, 곶감은 생감 및 감잎에 비하여 폴리페놀 함량은 상대적으로 적으나 항산화, 항당뇨, 항고혈압 및 항균효과가 있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효과를 나타내는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원목재배와 병재배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ve of Grifola frondosa by log cultivation and bottle cultivation)

  • 김종봉;서혜영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5-19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잎새버섯에서 병재배와 원목재배에 따른 생리활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SOD 유사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등을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40^{\circ}C$ 물에서 추출한 원목재배 잎새버섯의 $5.96{\pm}0.81mg/g$이 가장 높았고 총 페놀함량은 $40^{\circ}C$ 물에서 추출한 병재배버섯의 $44.53{\pm}0.89$mg/g이 가장 높았다.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자공여능은 BC-W40 잎새버섯 추출물의 $97.14{\pm}0.71%$가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소거능은 pH 1.2에서 BC-W40 잎새버섯 추출한 것의 $62.55{\pm}0.36%$가 가장 높았다. 가장 높은 SOD 유사활성은 LC-W40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의 $18.95{\pm}1.39%$였다. 잎새버섯의 Xanthine 저해 효과는 BC-W40 추출물 $54.13{\pm}0.40%$가 가장 높았고 그 효과는 농도에 비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잎새버섯이 우수한 항산화 기능이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잎새버섯의 생리활성들은 재배 방법에 따라 일정하지는 않았고 용매의 종류, 농도 및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도, 아질산소거능 등과 같은 생리작용 요인들에 따라 달랐다.

벼 발아초기 종자를 이용한 고효율 단기형질전환 방법 (High-efficiency and Rapid Agrobacterium-mediated genetic transformation method using germinating rice seeds)

  • 이혜정;;지무근;장대원;조용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251-257
    • /
    • 2011
  • 벼의 염기서열 분석이 완료됨에 따라 유전자의 세포내 기능을 밝히기 위한 기능유전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효율적으로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해 원하는 유전자를 식물체 내로 형질전환을 하기 위한 노력은 지금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캘러스를 유기한 후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해 접종하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성숙 종자를 소독한 후 2,4-D가 포함된 액체배지에 24시간 침종하여 배 부분이 발아하기 시작하는 종자를 이용해 바로 아그로박테리움을 접종하여 체세포변이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아그로박테리움이 식물 조직내로 침투할 수 있는 효율을 증가시키며, 그 후 캘러스를 유기하여 재분화 시킴으로써 형질전환 식물체를 얻는 방법을 새롭게 수립하였다. 배양과정 중 공동배양 배지에 아그로박테리움 성장억제물질인 silver nitrate와 항산화 물질인 DTT를 첨가하여 공동 배양 기간을 7일 이상으로 늘림으로써 벼 형질전환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고, PCR 분석을 통해 원하는 목표 유전자가 형질전환체에 안정적으로 도입이 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방법은 형질전환 효율이 낮은 일품벼와 같은 품종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새로운 공동배양 방법은 우수한 농업적 형질을 가진 벼 육종 소재 및 품종 개발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세 가지 고추속 식물의 원형질체 분리 및 배양에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rotoplast Isolation and Culture in Three Capsicum Species)

  • 임학태;염옥희;전익조;조미애;양승균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1-146
    • /
    • 2001
  • 고추 C. anuumm, C. bacatuum, C chacoense의 하배축, 자엽 및 본엽을 원형질체 분리재료로 하여 실험한 결과, 원형질체 분리를 위해서 세포벽 분해효소로 1% Cellulysin과 0.25% Macerozyme 효소의 조합과 삼투조절제로 0.65 M sorbitol을 사용하였다. 항산화제인 MES를 효소용액에 첨가하여 줌으로써 원형질체 분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변을 억제시킬 수 있었다. 원형질체를 수정된 K8p 배지에 1∼5 mg/L zeatin, 0.5 mg/L IAA, 0.1∼0.5 mg/L TDZ, 1 mg/L 2,4-D를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5일에 분열을 시작하였으며 원형질체에서 얻어진 colony들을 agarose가 첨가된 반고체 배지에 고정하여 배양하는 방법이 액체평판배양 방법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이 방법은 세포배양시 분비되는 페놀류 물질로 인한 갈변을 방지할 수 있었다. 세 가지 다른 고추속의 원형질체 배양에서 얻어진 4000여 개의 캘러스를 식물생장조절제인 TDZ, IAA, 2ip, BAP, NAA, zeatin을 이용한 100가지 다양한 조합의 재분화 배지에 옮겼으나 캘러스가 커지거나 고사하는 현상만 관찰되었을 뿐 줄기로 재분화된 식물체는 얻을 수 없었다.

  • PDF

큰느타리버섯 수확후 관리기술 최근 연구 동향 (Recent research trends of post-harvest technology for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 최지원;윤여진;이지현;김창국;홍윤표;신일섭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1-139
    • /
    • 2018
  • 큰느타리버섯은 에르고스테롤 및 글루칸과 같은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높아 항산화 활성 및 프리바이오틱 효과를 일으키는 버섯이다. 큰느타리버섯은 향이 강하며 단단해 기호도가 높지만 장기간 소요되는 선박수출 등에서는 선도유지 기간 확보가 필요하다. 버섯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은 온도, 상대습도, 공기조성 및 통풍 상태가 있으며 이로 인해 버섯의 호흡량, 수분 함량, 경도, 색도, pH 및 이취 등에 영향을 준다. 큰느타리버섯의 주요 장해는 갈변, 이취, 부패가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해 상품성이 높은 품종을 개발하거나 저장성을 높이는 처리 방법이 고안되고 있다. 버섯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건조, 감마선 조사, 키토산 처리와 같은 수확 후 처리 방법과 CA 저장과 MA 포장을 통한 저장 방법이 있다. 버섯의 건조는 자연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진공건조, 전자파진공건조 방법이 있으며 동결건조 방법을 사용한 버섯의 성분저하가 비교적 낮았다. 1 kGy 감마선 조사가 고선량에 비해 저장기간 연장에 효과적이었으며 오일, protocatechuic acid, 왁스 등의 친수성 colloid를 키토산에 첨가하여 코팅처리 하였을 때 경도유지, 호흡 및 갈변이 억제되었다. 큰느타리버섯의 CA 저장조건은 $1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5kPa $O_2$ + 10~15kPa $CO_2$의 공기 조성이 제시되었으며 MA 포장으로는 미세천공을 갖는 PP필름을 이용한 능동적 기체조성 방법이 저장 중 품질유지에 효과적이었다.

포도종자 에텔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카테킨 화합물의 항산화 및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Antioxidant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Effects of Catechin Compounds Isolated from Ethyl Acetate Fraction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 김난영;박성진;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498-1502
    • /
    • 2005
  • 본 연구는 캠벨종 포도 종자 ethyl acetate 분획물로 부터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cdot$동정하고 분리물질의 생리활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캠벨종 종자 ethyl acetate분획물로부터 sephadex LP-20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단리하고 ${1}^H$${13}^C$) NMR 분석을 통하여 (+)-catechin과 (-)-epicatechin을 동정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한 결과, (+)-catechin은 45.7$\%$의, (-)-epicatechin은 $35.1\%$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화합물이 포도종자 중의 주요한 생리 활성물질로 사료된다. 이들 화합물의 단독 또는 병용 처리 시 항산화 활성,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살펴본 결과,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catechin과 (-)-epicatechin 모두가 $RC_{50}$= 11.1 ${\mu}g/mL$$RC_{50}$= 10.4 ${\mu}g/mL$으로 높은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지질 과산화 억제는 (+)-catechin이 나 (-)-epicatechin 단독처리보다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훨씬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Induction of Microsomal Epoxide Hydrolase, rGSTA2, rGSTA3/5, and rGSTM1 by Disulfiram, but not by Diethyldithiocarbamate, a Reduced Form of Disulfiram

  • Kim, Sang-Geon;Kim, Hye-J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339-347
    • /
    • 1997
  • Disulfiram (DSF) and diethyldithiocarbamate (DDC), a reduced form of DSF, protect the liver against toxicant-induced injury through inhibition of cytochrome P450 2E1. The effect of DSF and DDC on the levels of major hepatic microsomal epoxide hydrolase (mEH)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expression was comparatively studied, given the view that these enzymes are involved in terminal detoxification events for high energy intermediates of xenobiotics. Treatment of rats with a single dose of DSF (20-200 mg/kg, po) resulted in 2- to 15-fold increases in the mEH mRNA level at 24 hr with the ED$_{50}$ value being noted as 60 mg/kg. The mEH mRNA level was elevated ~15-fold at 24 hr after treatment at the dose of 100 mg/kg, whereas the hepatic mRNA level was rather decreased from the maximum at the dose of 200 mg/kg, indicating that DSF might cause cytotoxicity at the dose. In contrast to the effect of DSF, DDC only minimally elevated the mEH mRNA level at the doses employed. DSF moderately increased the major GST mRNA levels in the liver as a function of dose, resulting in rGSTA2, rGSTA3/5 or rGSTM1 mRNA levels being elevated 3- to 4-fold at 24 hr post-treatment, whereas the rGSTM2 mRNA level was not altered. DDC, however, failed to stimulate the mRNA levels for major GST subunits, indicating that the reduced form of DSF was ineffective in stimulating the GST the expression. The effect of other organosulfides including aldrithiol, 2, 2'-dithiobis(benzothiazole) (DTB), tetramethylthiouram disulfide (TMTD) and allyl disulfide (ADS) on the hepatic mEH and GST mRNA expression was assessed in rats in order to further confirm the increase in the gene expression by other disulfides. Treatment of rats with aldrithiol (100 mg/kg, po) resulted in a 16-fold increase in the mEH mRNA level at 24 hr post-treatment. DTB, TMTD and ADS also caused 5-, 9- and 12-fold increases in the rnRNA level, respectively, as compared to control. Thus, all of the disulfides examined were active in stimulating the mEH gene in the liver. The organosulfid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GSTA2, rGSTA3, rGSTA5 and rGSTM1 mRNA levels at 24 hr after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aldrithiol was very efficient in stimulating the rGSTA and rGSTM genes among the disulfides examined.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DSF and other sulfides effectively stimulate the mEH and major GST gene expression at early times in the liver and that DDC, a reduced form of DSF, was ineffective in stimulating the expression of the genes, supporting the conclusion that reduced form(s) of organosulfur compound(s) might be less effective in inducing the mEH and GST genes through the antioxidant responsive el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