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fouling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7초

소수성 졸-겔로 개질된 센서 막 표면의 미생물 비점착과 광학 특성 연구 (A Study on Microorganisms Antifouling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Sensing Membrane Surface Modified by Hydrophobic Sol-gels)

  • 김선용;이종일
    • 공업화학
    • /
    • 제19권2호
    • /
    • pp.222-22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광학센서의 응용을 위해 소수성 졸-겔로 개질된 고분자 막의 미생물 비점착 특성과 광학특성을 조사하였다. DiMe-DMOS (Dimethoxy-dimethylsilane)와 TMOS (Tetramethyl-orthosilicate)를 이용하여 제조한 소수성 졸-겔로 코팅된 컨퍼컬디쉬 표면과 유리표면에 E. coli JM109, B. cereus 318 그리고 P. pastoris X-33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부유세포를 증류수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그람 염색법에 의해서 점착된 미생물을 염색하였다. 점착된 미생물의 수는 SEM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유리표면에는 $2{\sim}3{\times}10^4$개/$mm^2$의 미생물이 점착되었으나 소수성 졸-겔 표면에는 200~300개/$mm^2$의 미생물이 점착됨으로써 소수성 졸-겔의 비점착 효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수성 졸-겔과 절광물질인 흑연을 혼합하여 제조한 절광층(Light insulating layer)을 pH나 용존산소 검출막 위에 재코팅한 후, pH나 용존산소의 검출막의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EOS/염기 및 MTMS/산 혼성 용액으로 제조한 반사방지 코팅막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nti-reflective Coating Film Prepared from Hybrid Solution of TEOS/Base and MTMS/Acid)

  • 박현규;김효섭;박주식;김영호
    • 공업화학
    • /
    • 제30권3호
    • /
    • pp.358-364
    • /
    • 2019
  • 반사 방지(anti-reflective; AR) 코팅막의 광학 특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tetraethylorthosilicate (TEOS)/염기 및 methyltrimethoxysilane (MTMS)/산 혼성 용액의 혼합비를 변화시키며 다양한 AR 코팅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AR 코팅막은 UV-Vis, 접촉각 측정기, AFM, FT-IR 및 연필 경도 시험을 통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MTMS/산 용액의 함량이 10 wt%인 혼성 용액으로 제조한 AR 코팅막에서 유리 기판은 매우 우수한 광학 특성(97.2%의 투과율), 우수한 내오염성($121^{\circ}$의 물 접촉각 및 $90^{\circ}$$CH_2I_2$ 접촉각), 중간 정도의 기계적 강도(4 H의 연필 경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우수한 내오염성은 기판의 표면 위에서 혼성 용액 내 소량의 MTMS/산 용액으로부터 유래된 메틸기($-CH_3$)의 고른 분산에 기인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연필 경도 시험 결과로부터, AR 코팅막의 기계적 강도는 MTMS/산 용액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rformance and antifouling properties of PVDF/PVP and PSf membranes in MBR: A comparative study

  • Hazrati, Hossein;Karimi, Naser;Jafarzadeh, Yoones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1권2호
    • /
    • pp.159-166
    • /
    • 2020
  •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and antifouling properties of polysulfone (PSf) and polyvinylidene fluoride/polyvinylpyrrolidone (PVDF/PVP) membranes in a membrane bioreactor (MBR) were investigated. The membranes were prepared via phase inversion method, and then characterized by a set of analyses including contact angle, porosity and water flux and applied in a lab-scale MBR system. Soluble microbial product (SMP),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EPS), FTIR, gel permission chromatography (GPC)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PSD) analyses were also carried out for MBR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BR with PSf membrane had higher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which resulted in formation of larger flocs in MBR. However, in this MBR had high compressibility coefficient of cake layer was higher (n=0.91) compared to MBR with PVDF/PVP membrane (n=0.8); hence, the fouling was more profound. GPC analysis revealed that compounds with molecular weight lower than 2 kDa are more formed on PSf membrane more than PVDF/PVP membrane. The results of FTIR analysis confirmed the presence of polysaccharide and protein compounds on the cake layer of both membranes which was in good agreement with EPS analysi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ir concentration was higher for the cake on PSf membrane.

A novel approach to bind graphene oxide to polyamide for making high performance Reverse Osmosis membrane

  • Raval, Hiren D.;Das, Ravi Kiran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8권6호
    • /
    • pp.613-623
    • /
    • 2017
  • We report the novel thin film composite RO membrane modified by graphene oxide. The thin film composite RO membrane was exposed to 2000 mg/l sodium hypochloride; thereafter it was subjected to different graphene oxide concentration ranging from 50 mg/l to 1000 mg/l in water. The resultant membrane was crosslinked with 5000 mg/l N-hydroxysuccinimide.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membranes were analysed by solute rejection and water-flux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100 mg/l graphene oxide exposure followed by 5000 mg/l N-hydroxysuccinimide treatment resulted in the membrane with the highest solute rejection of 97.78% and water-flux of 4.64 Liter per sqm per hour per bar g. The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by contact angle for hydrophilicity,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for surface morphology, energy dispersive X-Ray for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urface, Atomic force microscope for surface roughness, ATR-FTIR for chemical structure identif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graphene oxide modified membrane increases the salt rejection performance after exposure to high-fouling water containing albumin. Highly hydrophilic, antifouling surface formation with the nanomaterial led to the improved membrane performance. Moreover, the protocol of incorporating nanomaterial by this post-treatment is simple and can be applied to any RO membrane after it is manufactured.

IMO-AFS 협약 채택에 따른 국내 대처방안 연구 (A study for Domestic Respond to the 'AFS' Convention of IMO)

  • 설동일;김인수;이국진;박성진;박상호;김동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2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39-44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IMO-MEPC AFS 협약 채택(2001년 10월 5일)에 대한 국내 업게의 동향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AFS 협약과 연계된 국내법 마련(해양환경관리법 입법 방향, 선박안전법의 개정안)과 아울러 국제방오시스템증서 발급 방안, 효과적인 유해방오시스템 규제 방안(항만국 통제의 방안)을 제시하며, AFS 협약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관련부서의 일원화 방안 등을 마련하였다.

  • PDF

Biosurfactant Production by Marine Actinomycetes Isolates Streptomyces althioticus RG3 and Streptomyces californicus RG8 as Promising Sources of Antimicrobial and Antifouling Effects

  • Hamed, Moaz M.;Abdrabo, Mohamed A.A.;Youssif, Asmaa 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56-366
    • /
    • 2021
  • Two marine actinobacterial isolates, RG3 and RG8, were identified using 16Sr DNA as Streptomyces althioticus RG3 and Streptomyces californicus RG8 and submitted to the database of genetic information with accession numbers MW661230 and MW661234, respectively; they were found to have emulsification indexes of 60 ± 2.5% and 53 ± 2.2%, respectively. The biosurfactants obtained were stable at a temperature of 35℃ for both strains; they were stable at 10% NaCl, in the case of S. althioticus RG3 and at 10-15% NaCl in the case of Str.californicus RG8; both strains produced the most biosurfactant when exposed to alkaline conditions. We characterized the biosurfactants, including features such as their chemical composition,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alysi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biosurfactant extracts was evaluated using the well diffusion method against Vibrio alginolyticus MK170250, Escherichia coli ATCC 8739, Pseudomonas aeruginosa ATCC 4027, and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S. althioticus RG3 biosurfactants were found to have bett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those of Str. californicus RG8, indicating that they may be used in pharmaceutical industries and in the manufacture of antifouling products.

기름/물 분리막 기술에 대한 총설 (Review on Oil/Water Separation Membrane Technology)

  • 이병희;라즈쿠마 파텔
    • 멤브레인
    • /
    • 제30권6호
    • /
    • pp.359-372
    • /
    • 2020
  • 기름/물 분리막은 다른 분리 기술들에 비해 낮은 에너지 비용과 높은 성능 수준을 갖고 있다. 초친수성과 수중에서 소유성은 효과적인 기름/물 분리막을 개발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와 더불어 방오속성과 생분해성도 효과적인 기름/물 분리막을 개발할 때에 고려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본 리뷰 논문에서는 다양한 화학성분과 형태를 변형시켜 개발된 기름/물 분리막의 특성과 분리 효율을 개선한 연구들을 소개한다.

센서 응용을 위해 포스포릴 콜린으로 개질된 고분자 막 표면의 미생물 점착 특성 (Adhesion properties of Microorganisms onto surfaces of phosphorylcholine(PC)-modified copolymer for sensor applications)

  • 김선용;손옥재;채규호;이종일
    • KSBB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226-23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포스포릴콜린 (MPC)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점착현상을 방지하는 고분자 공중합체 막을 제조하여 각종 미생물에 대한 비점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즉, 유리, MPC를 함유하지 않은 PGMA, 그리고 5%, 10% MPC 함유량의 PGMA를 사용하여 E.coli. B.cereus, P.pastoris등 미생물의 점착특성을 그람염색과 SEM촬영을 통해 연구하였다. 그람음성 미생물 E.coli JM109는 MPC 개질 고분자 공중합체의 표면에 점착된 세포수가 유리나 MPC를 함유하지 않은 PGMA에 비해 96.5% 이상 감소하였다. 또한 그람양성 미생물 Bcereus 318은 유리 표면에 비해 MPC가 함유된 고분자 공중합체 표면에 점착된 세포수가 95% 이상 감소하였으며, 효모의 일종인 P.pastoris X-33은 유리나 MPC를 함유하지 않은 PGMA에 비해 MPC가 함유된 고분자 공중합체 표면에 92%이상 점착되지 않았다 한편, MPC 함량에 따른 고분자 공중합체 막에 점착된 미생물의 갯수는 MPC 함량이 각각 5%, 10%인 공중합체 표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일정량 이상의 MPC가 고분자 공중합체 내에 함유될 때 비점착 효과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우수한 비점착 효과를 가진 MPC 개질 고분자 공중합체를 광학센서등의 검지부 표면에 코팅할 경우 미생물, 단백질등의 점착으로 인한 센서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