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rowning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6초

저온 blanching 및 갈변저해물질의 처리에 따른 최소가공 감자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in Fresh-Cut Potato (Solanum tuberosum var. Romano) after Low-Temperature Blanching and Treatment with Anti-Browning Agents)

  • 황태영;장지현;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99-505
    • /
    • 2009
  • 신선절단 감자의 저장 중 갈변저해 및 일정 유통기한 확보를 목적으로 신선절단 감자에 갈변저해 물질과 blanching 처리를 적용 하였다. 사용된 갈변저해 물질은 다양한 갈변저해 물질을 조사하여 그 중 효과적인 갈변저해 현상을 나타내는 화합물 중 일부를 선정, 조합하여 갈변저해 용액(0.5% ascorbic acid+0.5% citric acid+0.5% sodium chloride+0.1% trehalose)으로 조제하고 침지 처리 하였다. 또한 이 갈변저해용액을 $60^{\circ}C$로 가온하여 저온 blanching 처리를 병행한 후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PET) 용기에 포장하여 $4^{\circ}C$에서 냉장저장 하면서 저장 중 품질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포장용기 내부의 산소 농도가 감소하고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신선절단 감자의 갈변을 가장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구는 C.S.구(갈변저해용액에만 처리한 경우)로써 저장 14일 경까지도 매우 좋은 외관품질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PPO 활성은 저장 초기 및 후기 모두 C.S.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페놀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나 저장 7일경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증가하고 있었으며 pH와 적정산도는 각각 처리구 및 저장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외관품질을 중심으로 C.S.구가 가장 효과적인 갈변저해 효과 및 저장품질을 나타내었다.

Inhibitory Effects of Ultrasound in Combination with Ascorbic Acid on Browning and Polyphenol Oxidase Activity of Fresh-cut Apples

  • Jang, Ji-Hyun;Kim, Sang-Tae;Moon, Kwang-Deo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17-1422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ltrasound with ascorbic acid on the quality of fresh-cut apples. Prepared apple cubes were dipped in distilled water (US) or in 1% ascorbic acid solution (AS), both were treated with ultrasound at 40 kHz, while the other sample was just dipped in 1% ascorbic acid solution for 1 min (AA). All samples were stored at $4^{\circ}C$ for 12 days. AS treatment had an effect on apple cube color as indicated by its significantly higher L values and lower ${\Delta}E$ value whereas AA- and US-treated samples showed a considerable browning. Higher inhibition rate on browning and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of 46 and 98%, respectively, were observed after AS treatment.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 of AS-treated samples was shown during whole storage periods. This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use of ultrasound in combination with ascorbic acid had a positive effect on quality maintaining of fresh-cut apples.

전처리 방법이 건조참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Quality Properties of Dried Melon with Different Pretreatments)

  • 김지강;정석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7-153
    • /
    • 1997
  • Oriental melon has been increased in production amount, but its processed food was not made in spite of the fact that shelf-life of the fresh fruit is shor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dried product with no use sulfur treatment. Fresh melons were peeled, cut into 6 pieces, and soaked to the following pretreatments soaking in sugar syrup(SS), sodium chloride(SC), ascorbic acid(AA) and sodium polyphosphate(SP). After preatreatments the melon pieces were dried by hot air drying at 5$0^{\circ}C$ for 9 and 12 hours, and the dried melons were air blown at $25^{\circ}C$ for 1 day. The dried samples were evaluated for moisture content, texture, rotor, and sensory quality. The moisture content of dried melons soaked in SS and SC were lower than those that were soaked in AA and SP after hot air drying. The melons dried for 12 hours were high in hardness, gumminess, chewness and adhesiveness and excellent in sensory evaluation compared to 9 hours. The "L" value of SS was higher and the "a" value was lower in Hunter color. And SS treatment inhibited browning of the dried melon and improved sensory characteristics in color, flavor, texture and taste. Sucrose concentr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olor, hardness and sensory score in banal product. The combination of SS with SP represented a highly effective antibrowning treatment for the dried melon and the product was kept in good color for 3 months at room temperature.at room temperature.

  • PDF

이팝나무 잎으로부터 항산화 및 항갈변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Antioxidant and Antibrowning Substance from Chionanthus retusa Leaves)

  • 이영남;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19-1425
    • /
    • 2004
  • 본 연구는 이팝나무 잎의 용매분획물을 이용하여 DPPH 소거 작용,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실험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높은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MPLC를 이용하여 그 활성물질을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화합물은 $^1H$, $^{13}C$-NMR 및 2DNMR을 이용하여 luteolin-4'-O-glucoside로 구조동정을 하였다. 분리한 luteolin-4'-O-glucoside와 기존 항산화제와의 비교실험에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다. 순수하게 분리한 luteolin-4'-O-glucoside를 이용하여 tyrosinase 저해 활성도 농도 의존적이었으며, $IC_{50}$ 값은 23.2 ${\mu}g/mL$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luteolin-4'-O-glucoside는 식품첨가물로 항산화제로서의 활용도 및 미백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Citric acid와 phytic acid가 첨가된 된장의 색도와 품질특성 (Color and Quality Properties of Doenjang Added with Citric Acid and Phytic Acid)

  • 곽은정;박완수;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55-460
    • /
    • 2003
  • 된장의 생산성 증대 및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된장의 갈변을 억제하기 위해 0.25%와 0.5% citric acid와 phytic acid를 첨가하여 된장을 제조하고 이들 유기산이 색도와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30^{\circ}C$에서 80일간 저장하면서 pH, 산도, 아미노태 질소, 효소활성, 색, 갈변억제율, 미생물수를 측정하였고 관능검사도 실시하였다. Citric acid와 phytic acid 첨가농도와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산도와 갈변억제율은 더욱 증가하였고, pH, 아미노태 질소 및 효소활성은 더욱 저하되었다. 총균, 효모 및 젖산균수는 pH 저하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관능검사결과, panel들은 갈색 정도의 차이만을 유의적으로 인식하였고 향, 구수한 맛, 신맛, 기호도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못하였다. 한편 0.25% 첨가시는 갈변은 억제되면서 품질특성뿐 아니라 관능적 특성도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citric acid와 phytic acid는 새로운 된장의 갈변억제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바닐린과 갈변억제제 병용처리가 신선절단 사과의 품질유지와 미생물증식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Effects of Vanillin and Antibrowning Agent on Changes of Quality and Microorganisms in Fresh-Cut Apples)

  • 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5-389
    • /
    • 2008
  • 신선절단 사과 제조에 있어 갈변 및 연화 억제제인 $NaturalSeal^{TM}$처리에 고농도 vanillin의 첨가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절단사과에 6% $NaturalSeal^{TM}$과 120 mM vanillin을 병용처리하고 플라스틱 필름으로 포장하여 $4^{\circ}C$에서 3주 동안 저장하면서 1주 간격으로 품질특성과 미생물 생육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신선절단 사과의 L값, 가용성 고형분 및 적정산도는 $NaturalSeal^{TM}$ 단독 처리구 보다 $NaturalSeal^{TM}$과 vanillin의 병용 처리구에서 감소가 촉진되었다. 총호기성미생물 및 효모와 곰팡이의 생육은 $NaturalSeal^{TM}$ 단독 처리구 보다 $NaturalSeal^{TM}$과 vanillin의 병용 처리구에서 억제되었다. 이로써 신선절단 사과에 $NaturalSeal^{TM}$ 처리 시 120 mM vanillin의 첨가는 항미생물 효과는 부여하지만 품질특성의 손실은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구마의 육질색 종류별 고구마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ours Prepared from Sweet Potatoes with Different Flesh Colors)

  • 김경은;김성수;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76-1480
    • /
    • 2010
  • 육질색에 따른 일반고구마, 주황색고구마 및 자색고구마로부터 갈변방지제 처리와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고구마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구마 분말의 조단백질, 회분 및 식이섬유 함량은 자색고구마에서 가장 높았고 조지방과 전분 함량은 주황색고구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구마 분말의 평균 입자크기는 주황색고구마 분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고구마 분말에서 둥근형 또는 다각형의 전분입자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고구마 분말의 수분흡수지수 및 oil 흡수율은 열풍건조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이 동결건조에 의한 분말보다 높은 경향을 주었다. 고구마 분말의 수분용해도지수는 일반고구마와 자색고구마의 경우 건조조건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반면, 주황색고구마의 경우 열풍건조 한 분말에서 수분용해도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냉장저장 중 사과슬라이스의 개별페놀성분함량과 제변화 (Changes in the Content of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in Apple Slices during Cold Storage)

  • 안선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89-498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how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form on the inside of apple slices during cold storage,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four types of phenols, ingredient variation of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and the influence of phenolic compounds on enzymatic browning. This study measured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pH and vitamin C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HD and FA were the main phenolic compounds found in the apple slices, and HD was the most prevalent phenol. Furthermore, comparison of the CG and EP content revealed that there were more CGs than EPs. The phenol content tended to decrease considerably in the fresh apple slices and water-dipped apple slices but only slightly in the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s and 0.5% ascorbic acid solution-dipped apple slices. The degree of browning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fresh apple slices, water-dipped apple slices, 0.5% ascorbic acid solution-dipped apple slices and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s. The vitamin C content tended to decrease in the fresh apple slices, water-dipped apple slices, 0.5% ascorbic acid solution-dipped apple slices and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s. The pH tended to increase in all sample groups, but the pH of the water-dipped apple slices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The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s had the lowest value of pH. The change in soluble solids tended to increase in all treatment groups, but this increase was less in the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browning and chlorogenic acid conte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when stored in the fridge, the change in phenol ingredient content in apple slices influences the browning of the slice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HD and FA were the main phenolic compounds, while CG was shown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browning.

최소가공 처리에 의한 양상추의 갈변 및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 (Effect of inhibition on Browning and Microbial Growth of Minimally Processed Lettuce)

  • 차환수;김순임;김병삼;김상희;박선주;조한선;최해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31-335
    • /
    • 2004
  • 갈변과 미생물 증식으로 인해 저하되는 양상추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상추를 최소처리하여 이들 품질저하요인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갈변억제방법으로는 다양한 침지수에 따른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고, 미생물 증식억제방법으로는 염소처리법과 전기분해수 그리고 유기산 처리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양상추의 갈변은 색도에 있어서 ascorbic acid 1$\%$와 citric acid 1$\%$ 혼합침지수로 처리하였을 때 초기 L 값이 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a 값은 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갈변억제효과를 보였다. 갈변의 지표라 할 수 있는 PPO 활성에 있어서도 ascorbic acid 1%와 citric acid 1% 혼합침지수로 처리하였을 때 양상추의 PPO 활성이 대조구에 비해 1.5배 감소되었다. 미생물증식은 염소처리의 경우 차염소산 나트륨을200 ppm 농도로 처리한 침지수가 3 log cycle 감소시켰고, 전기분해수의 경우 무격막 처리수가 미생물 증식을 2 log cycle 억제하여 미생물 증식억제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갈변억제에 효과적인 ascorbic acid와 citric acid 처리수로 침지하였을 때 저장 2일째 까지는 미생물 증식이 없었으나 저장 4일째 대조구는 7 log cycle 인데 비해 처리구는 3 log cycle 로 나타나 강력하게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양상추의 갈변과 미생물 증식에 있어서 ascorbic acid와 citric acid로 최소 가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갈변 방지제 처리가 최소 가공한 배 절편의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Browning Agent Application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Maintenance for Minimally Processed Pear Slices)

  • 박용서;임명희;코삭;이건순;오대민;정규진;허북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9-24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keeping quality of the minimally processed pear slices during the cold storage. Korean pears, 'Shin-go (Niitaka)', 'Chu-hwang' and 'Won-hwang’ were immersed in 1% ascorbic acid, 0.1% calcium propionate, 1% citric acid, 0.2% N-acetyl cysteine and 0.5 M 4-hexylresorcinol solution for 3 three minutes and then stored at $1{\pm}0.5^{\circ}C$ for 10 days. We have also examined into the firmness and the color difference of pears slices 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anti-browning agents. The firmness of pears slices which that were immersed in 0.1% calcium propionate and 0.2% N-acetyl cysteine solution were not significant a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fter 10 days after of cold storage. However, the ${\Delta}E^*$ values of 'Shin-go' slices which that were treated with 0.1% calcium propionate and 0.2% N-acetyl cysteine solution and stored for 10 days decreased by 3.18 and 3.83, when compared with that in of the control, which decreased by 6.36. The ${\Delta}E^*$ values of 'Chu-hwang' slices which that were treated with 0.2% N-acetyl cysteine and 0.1% calcium propionate solution had the slight difference by differed by only 2.09 and 2.14, when compared with that in of the control, which differed by 3.04. The ${\Delta}E^*$ values of 'Won-hwang' slices which that were treated with 1% citric acid and 0.5 M 4-hexylresorcinol were 4.49 and 5.83, respectively, while that in of the control decreased by 8.95. It was assumed that the anti-browning agent treatment had the different activities among varieties of the pear varieties slices, however, application of 0.2% N-acetyl cysteine and 0.1% calcium propionate application had greater the higher antibrowning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