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ody response

검색결과 598건 처리시간 0.038초

EphA2 Receptor Signaling Mediates Inflammatory Responses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Lung Injury

  • Hong, Ji Young;Shin, Mi Hwa;Chung, Kyung Soo;Kim, Eun Young;Jung, Ji Ye;Kang, Young Ae;Kim, Young Sam;Kim, Se Kyu;Chang, Joon;Park, Moo Su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3호
    • /
    • pp.218-226
    • /
    • 2015
  • Background: Eph receptors and ephrin ligands have several functions including angiogenesis, cell migration, axon guidance, fluid homeostasis, oncogenesis, inflammation and injury repair. The EphA2 receptor potentially mediates the regulation of vascular permeability and inflammation in response to lung injury. Methods: Mice were divided into 3 experimental groups to study the role of EphA2 signaling i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lung injury model i.e., IgG+phosphate-buffered saline (PBS) group (IgG instillation before PBS exposure), IgG+LPS group (IgG instillation before LPS exposure) and EphA2 monoclonal antibody (mAb)+LPS group (EphA2 mAb pretreatment before LPS exposure). Results: EphA2 and ephrinA1 were upregulated in LPS-induced lung injury. The lung injury score of the EphA2 mAb+LPS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IgG+LPS group ($4.30{\pm}2.93$ vs. $11.45{\pm}1.20$, respectively; p=0.004). Cell counts (EphA2 mAb+LPS: $11.33{\times}10^4{\pm}8.84{\times}10^4$ vs. IgG+LPS: $208.0{\times}10^4{\pm}122.6{\times}10^4$; p=0.018)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EphA2 mAb+LPS: $0.52{\pm}0.41mg/mL$ vs. IgG+LPS: $1.38{\pm}1.08mg/mL$; p=0.192) were decreased in EphA2 mAb+LPS group, as compared to the IgG+LPS group. In addition, EphA2 antagonism reduced the expression of phospho-p85, phosphoinositide 3-kinase $110{\gamma}$, phospho-Akt, nuclear factor ${\kappa}B$,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Conclusion: This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a role for EphA2-ephrinA1 signaling in the pathogenesis of LPS-induced lung injury. Furthermore, EphA2 antagonism inhibits the phosphoinositide 3-kinase-Akt pathway and attenuates inflammation.

Streptococcus mutans GS-5 Glucosyltransferase의 클로닝과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Streptococcus mutans GS-5 glucosyltransferase)

  • 김수경;김재곤;백병주;양연미;이경열;박정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82
    • /
    • 2008
  • 치아우식은 주로 mutans streptococci에 의해 야기되는 감염성 질환으로서 주 원인균에는 streptococcus mutans가 있다. S. mutans가 치아우식을 유발하는 분자 생물학적 기전은 몇 가지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S. mutans는 AgI/II와 같은 세포 표면의 섬유성 단백질을 매개로 치면의 타액성 피막에 일차적으로 부착한다. 두번째 단계에서 자당의 존재하에 glucosyltransferase(GTF)는 glucan과 같은 다당체를 합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합성된 glucan은 glucan binding proteins와 상호작용하여 치면세균막을 형성해서 세균의 군집화를 가능하게 한다. 많은 실험과 임상연구에서 S. mutans의 주요 항원(Ag I/II, GTFs, GBPs)들이 치아우식 병리기전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왔고, 따라서 이런 항원들이 면역계에 작용하여 치아우식을 막는 백신으로 이용 가능하다. 본 실험은 streptococcus mutans GS-5로부터, GTFb, GTFc, GTFd 유전자를 복제하고 염기서열분석을 하였으며, 이중 GTFd가 먼저 재조합 단백질 생산을 위해 발현 벡터에 클로닝 되었으며, 이로부터 단백질이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이번 실험에서 얻은 순수 GTF 항원은 동물실험을 통해 특정 GTF 활성부위에 대한 항체 생산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RpoB_{127-135}$ Peptide Derived from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 Processed and Presented to HLA-$A^*0201$ Restricted CD8+ T Cells via an Alternate HLA-I Processing Pathway

  • Cho, Jang-Eun;Cho, Sang-Nae;Cho, Sunga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0-255
    • /
    • 2014
  •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resides and replicates inside macrophages. In our previous report, we reported that CD8+ T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specific for the peptide derived from MTB RNA polymerase beta-subunit ($RpoB_{127-135}$) could be induced in TB patients expressing HLA-$A^*0201$ subtype. In order to examine whether $RpoB_{127-135}$ specific CD8+ T cells can recognize MTB infected macrophages in vitro, CD8+ T cell lines specific for $RpoB_{127-135}$ peptide were generated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of healthy HLA-$A^*0201$ subjects by in vitro immunization technique. In this study, we observed $RpoB_{127-135}$ specific CD8+ T cells could recognize and destroy macrophages infected with MTB for 2 to 4 days. $RpoB_{127-135}$ specific CD8+ T cell immune response was inducible from PBMC of healthy subjects expressing HLA-$A^*0206$ subtype, one of HLA-A2 supertype members. Next, we investigated the HLA-I processing mechanism of $RpoB_{127-135}$ peptide in MTB infected macrophages. As a result, the presentation of the MTB derived epitope peptide, $RpoB_{127-135}$, to CD8+ T cells was not inhibited by the treatment with brefeldin-A (ER-Golgi transport inhibitor) or lactacystin (proteasome inhibitor), which blocks the classical HLA-I processing pathway. However, $RpoB_{127-135}$ specific CD8+ T cell activity was blocked either by the blocking agent for the endocytosis (cytochalasin D) or by the blocking antibody (W6/32) for HLA-I molecules. Therefore, the $RpoB_{127-135}$ peptide may be processed by accessing the alternate HLA-I processing pathway.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nd presentation mechanisms of the MTB derived proteins will help to improve the efficacy of vaccines and the efficiency of therapeutic agents for TB.

플라보노이드 루테올린의 lippopolysacharide로 유도한 type 1 interferon 억제 효과 (Flavonoid Luteolin Inhibits LPS-induced Type I Interferon in Primary Macrophages)

  • 정원석;배기상;조창래;박경철;구본순;김민선;함경완;조범연;조길환;서상완;이시우;송호준;박성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986-992
    • /
    • 2009
  • Type I interferons (IFNs) are critical mediators of the innate immune system to defend viral infection.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IRF) and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STAT) play critical roles in type I IFN production in response to viral infection. Luteolin is natural polyphenolic compounds that have anti-inflammatory, cytoprotective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However, the mechanism of action and impact of luteolin on innate immunity is still unknow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luteolin on the lipopolysacch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Luteolin inhibited Type I IFNs expression of mRNA and increased interleukin(IL)-10 expression of mRNA. Next, we examined the protective effects of IL-10 using IL-10 neutralizing antibody (IL-10NA). Blockade of IL-10 action didn't cause a significant reduction of Type I IFNs than LPS-induced luteolin pretreatment. Pretreatment of luteolin inhibited the level of IRF-1, and IRF-7 mRNA and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IRF-3. Also, luteolin reduced the activation of STAT - 1, 3. Theses results suggest that luteolin inhibits LPS-induced the production of Type I IFNS by both IRFs and STATs not IL-10 and may be a beneficial drug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

ATF3를 통한 caffeic acid phenethyl ester에 의한 NAG-1 유전자의 발현 증가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Induces the Expression of NAG-1 via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

  • 박민희;정정욱;이성호;백승준;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7-42
    • /
    • 2018
  • NAG-1 단백질은 TGF-${\beta}$ superfamily 유전자로서 암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고 항암 활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 유래의 파이토케미칼 CAP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에 의한 항암유전자 NAG-1의 발현과 발현조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인간 대장암 세포주 HCT116에서 CAPE의 처리에 의해 농도의존적, 시간의존적으로 NAG-1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다른 대장암 세포주인 LOVO 세포주에서도 농도의존적으로 NAG-1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p53-null HCT116세포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CAPE에 의한 NAG-1의 발현은 전사조절인자인 p53에 의존하지 않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3가지 종류의 NAG-1 프로모터 construct를 이용한 실험에서, cis-element 후보가 -474와 -1,086사이에 있음을 증명하였다. CAPE에 의해 전사조절인자인 ATF3와 CREB의 발현이 변화되는 지를 확인한 결과, CREB은 전혀 발현이 증가되지 않는 반면 ATF3는 CAPE 처리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pCG-ATF3와 pCREB의 cotransfection 실험에서 CREB은 NAG-1의 발현에 영향을 못 미치는 반면, ATF3의 과대발현에 의해 NAG-1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CAPE에 의한 NAG-1의 발현은 주로 전사조절인자인 ATF3를 경유하여 일어남을 시사한다.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에 감염된 넙치의 cDNA microarray 분석 : 수온에 따른 면역 유전자 발현의 차이 (cDNA microarray analysis of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infect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mmune gene expression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

  • 김진웅;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
    • /
    • 2014
  • 저수온기만 넙치에 대량 폐사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을 폐사가 발생하는 $15^{\circ}C$, 폐사가 발생하지 않는 $20^{\circ}C$에서 인공감염시켜 넙치의 면역 유전자 발현 profile을 cDNA microarray 분석하였으며, 특히 저수온기에 폐사가 나타나는 원인을 면역 유전자 발현과 관련시켜 알아보고자 하였다. $15^{\circ}C$, $20^{\circ}C$의 감염 세포구에 공통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는 MHC class I, IL-8, myeloperoxidase 및 endonuclease G-like 유전자로 모든 세포표면에 존재하여 항원을 제시하거나 호중구 주화성을 자극하는 유전자들이었다. 항원 가공 및 제시, 항체 생성에 관여하는 MHC class II, immunoglobulin (Ig)과 retinoblastoma 등의 유전자는 $20^{\circ}C$에서는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15^{\circ}C$에서는 발현이 감소되었다. 이로부터 폐사가 발생하지 않는 $20^{\circ}C$는 바이러스 감염초기의 항원 제시, MHC class I과 II에 의한 항원제시, apoptosis 및 이후의 항체 생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폐사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폐사가 발생하는 $15^{\circ}C$에서는 MHC class I매개의 항원 제시와 탐식 작용등의 선천 면역은 이루어지나 macrophage에 의한 MHC class II매개의 항원 제시와 apoptosis저하, 항체 생산 관련 유전자의 발현저하가 관찰되어 초기 macrophage에 의한 항원제시의 실패로 적응 면역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아 폐사가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초유중 Ig의 분리 ${\cdot}$ 정제 및 면역 반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paration of Immunoglobulin and Immunological Response from Korean Native Cattle)

  • 백승천;김용휘;신제호;유제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9
    • /
    • 1997
  • 본 실험에서는 한우초유를 33% ammonium sulfate 포화용액으로 처리하여 조면역글로블린을 얻은 후 gel filtration, ion-exchange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조면역글로블린의 분리 정도를 조사하고 affinity chromatography column을 이용하여 조면역글로블린으로 부터 Ig G의 결합정도를 알아보고 Protein G Sepharose fast flow system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대량으로 Ig G의 분리를 꾀하여 얻어진 Ig G를 이용하여 ELISA방법으로 항체 생성유무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PLC상에서 Superose 12 column을 이 용하여 한우초유의 조면역글로블린을 분리한 결과 Holstein초유의 조면역글로블린과 유사한 분리정도를 나타냈지만 약 84%의 Ig G를 한우초유의 조면역글로블린으로 부터 분리할 수 있었다. 2. Mono Q를 이용하여 HPLC에서 한우초유의 조면역글로블린을 gel filtration방법보다 짧은 시간에 분리할 수 있었지만 그다지 분리 정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Hi-trap protein G column이 protein A sepharose CL-4B column보다 더 많은 양의 Ig G를 한우초유의 조면역글로블린으로 부터 얻을 수가 있었다. 4. Protein G Sepharose fast flow system을 이용하여 20mg의 sample양을 주입하여도 충분히 Ig G를 분리할 수 있었으며, ml 당 약 1.25mg의 Ig G를 얻을 수가 있었다. 5. ELISA방법을 이용하여 한우초유의 Ig G에 대한 항체 생성 유무를 측정한 결과, 면역화된 토끼에서 정상 토끼의 혈청에서보다 titer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항체생성이 확인되었다.

  • PDF

철 결핍 조건에서 배양된 Edwardsiella tarda의 면역학적 특성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of Edwardsiella tarda grown under iron-restricted condition)

  • 최현숙;박수일;이덕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4
    • /
    • 2006
  • E. tarda의 독성 비교를 위하여 일반 TSB, iron-chelate인 2,2‘-dipyridyl 첨가 TSB 및 Fe 첨가 TSB의 세 가지 조건에서 E. tarda를 배양하였다. 독성시험의 결과는 iron-chelate 첨가 시험구의 E. tarda에서 가장 낮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각각의 OMPs와 IROMPs을 분리하여 SDS-PAGE로 항원성을 비교한 결과, iron-chelate 첨가 시험구의 E. tarda IROMPs에서 68, 73 kDa 크기의 분자들이 더 많이 발현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가지 vaccine 투여구 중에서 2,2‘-dipyridyl 첨가 배지로 배양한 균체로 제작한 DP-FKC 항원 투여구가 응집 항체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면역반응의 변화를 알기 위한 응집 항체가 조사에서는 FKC 항원과 DP-FKC 항원 투여구에서 모두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3주 째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ELISPOT을 이용한 항체 생성 세포 수의 검출에서도 응집 항체가와 유사한 pattern을 나타내었는데, 두 가지 vaccine 투여구에서 2주 째에 가장 많은 항체 생성 세포 수를 나타내었다. 공격실험에서는 3주 째에 FKC 항원 투여구가 50%, DP-FKC 항원 투여구에서는 8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DP-FKC 항원 투여구의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넙치에 대한 E. tarda의 vaccine으로는 현재 연구되고 있는 FKC vaccine보다 철 결핍 조건에서 배양된 균체의 항원인 DP-FKC vaccine이 동일한 조건으로 사용하였을 때 더 나은 방어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삼출성흉수에서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 1 Proteion의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Utility of Pleural Fluid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 1 Protein in Patients with Exudative Pleural Effusion)

  • 심윤수;이진화;천은미;장중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6호
    • /
    • pp.499-505
    • /
    • 2007
  • 배 경: TREM-1은 중성구, 단핵구, 대식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세포표면수용체로, 세균에 의해 그 발현이 증가하여 여러 염증전달물질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삼출성흉수를 가진 환자의 혈청과 흉수에서 soluble (s) TREM-1을 측정하여 흉수의 원인진단에 대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3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삼출성흉수로 입원한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혈청과 흉수에서 human sTREM-1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점적법(immunoblot assay)으로 sTREM-1을 측정하였다. 원인질환에 따라 결핵성, 부폐렴성, 악성흉수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 과: 혈청 sTREM-1은 원인질환 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흉수 sTREM-1은 원인질환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1), 특히 부폐렴성흉수의 sTREM-1이 결핵성흉수와(p<0.05) 악성흉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부폐렴성흉수를 진단하는 데 흉수 sTREM-1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ROC 곡선을 그린 결과 곡선밑면적은 0.818이고 (p=0.001), 흉수 sTREM-1의 cutoff 값을 103.5pg/mL로 하였을 때 민감도가 73%, 특이도가 81%이었다. 결 론: 흉수의 sTREM-1은 삼출성흉수 중 부폐렴성흉수를 진단하는 유용한 지표로 판단된다.

Albendazole을 이용한 뇌낭미충증(腦囊尾蟲症) 치험(治驗) 2예 (Two Cases of Cerebral Cysticercosis Treated with Albendazole)

  • 주경환;임한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6권2호
    • /
    • pp.165-171
    • /
    • 1991
  • Two patients with confirmed cerebral cysticercosis were treated with Albendazole(Zentel$^{(R)}$) at a daily dose of 1.200mg t.i.d. for 14 consecutive days and evaluated for tolerance and therapeutic effects. First case was 29 year old male, who had experience of 4 times of grand mal seizures during 1 year period before administration in Korea University Hospital. His chief complaints were seizure and moderate degree headache. He also had 4 subcutaneous nodules on the thorax, right and left upper arms. Among them one nodule was biopsied and confirmed microscopically as Cysticercus cellulosae hominis. Computed tomography of the brain showed four round low density lesions in right postero-frontal area, sylvian area, intra-occipital area and left parietal area. Second case was 48 year old male, who also had experience of seizures at 3 years, 5 months and 3 months before administration. In this case, no subcutaneous nodules and no headaches were noted. Brain CT showed four round low density lesions in right postero-parietal area and temporo-parietal area, and left temporo-parietal and parietal area. Serum antibody against cystic fluid antigen was detected by ELISA in both cases.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 of cerebral cysticercosis was assessed by the frequency of convulsions after treatment for 22 months follow-up. by the disappearance of the densities in cystic lesions at brain CT for 6 months follow-up, and disappearance of subcutaneous nodules, headache and so on. As the results, all low density lesions in both cases were disappeared in films of brain CT, and 4 nodules in first case were also disappeared. No more seizure and complain of headache occurred during the last 22 months after treatment in both cases. Post-treatment complete blood count and liver function test revealed no remarkable change compared to pre-treatment test. In the nations of Latin America, the physicians do not initially recommended the simultaneous administrations of steroids, reserving them only for patients whom the adverse reactions such as severe headache and/or seizures are occurred. According to them, in most patients these symptoms are controlled with aspirin and symptomatic drugs. But our experience using praziquantel is different, and most cerebral cysticercosis patients who takes PZQ had complaint of severe headache and sometimes seizure. So we simultaneously used dexamethasone as 6mg q.i.d. for 14 consecutive days and 6 days tapering thereafter in both cases for prevention of reactions produced by the host in response to the deaths of the parasites. As the conclusion, albendazole is effective in patients who presented cerebral cysticercosis and albendazole may help in the control of cysticerco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