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ti-tumor effect

검색결과 1,267건 처리시간 0.034초

게르마늄 농도를 증가 시킨 동충하초 균사체 열수 추출액의 항암효과 (Anti-cancer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Mycelium in Germanium-enriched Cordyceps militaris)

  • 최정수;허지혜;김대진;남궁수민;이태복;이민우;김성욱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69-78
    • /
    • 2017
  • 게르마늄(Ge)은 거의 대부분의 영양분, 동물, 식물에서 발견되는 미량원소로 많은 연구를 통해 항균성 항바이러스성 항종양성 항돌연변이성 및 면역조절 효과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동충하초는 중국의 전통적인 약용 버섯으로 항종양성, 항산화성 및 면역조절 효과 등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미량원소를 축적시키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본 연구는 게르마늄 농도를 증가시킨 동충하초(CMGe)의 열수 추출액을 얻어내고 그 생물학적 특성을 실험하였다. 네 가지 암세포주 Ramos, A549, HepG2, CEM와 MSC에 대한 CMGe의 세포독성을 MTT assay를 통해 확인한 결과, CEM에서 항증식성이 가장 높고 MSC에 대한 세포독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누드마우스에 인간 신경아교세포종(U87MG)을 이종이식하여 종양의 부피와 무게를 조사한 결과, CMGe열수 추출액 처리군에서 종양 부피와 무게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CMGe가 앞으로 의약 및 제약산업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Sulindac의 성장억제와 세포고사 유도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duction of Sulindac on Human Lung Cancer Cells)

  • 김학렬;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5호
    • /
    • pp.514-522
    • /
    • 2004
  • 연구 배경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대장암의 화학 예방에 이용되고 있다. 지속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복용한 결과 대장암 발생의 위험이 40-50% 감소하였다. Sulindac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일종으로 대장암의 예방 효과가 있으며 암세포의 성장 억제와 세포 고사를 유도시킨다. 이에 저자들은 3가지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sulindac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A549(선암), NCI-H157(편평상피암), NCI-H460(대세포암) 세포주에 sulindac을 농도별로 투여하여, MTT assay로서 암세포의 생존율을, 유식세포 분석법과 핵산 염색으로 세포 고사의 비율을, 유산탈수소효소유리로서 세포 사멸의 정도를 시간대별로 측정하였다. 결 과 : Sulindac에 의해 농도와 시간에 의존적으로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암세포의 생존율이 감소하였고, 유산 탈수소 효소 유리는 증가하였으며, 세포 고사 역시 농도, 시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결 론 : Sulindac은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농도, 시간에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생존율 감소와 세포 고사증가를 유도하였다.

팔진탕합화적환(八珍湯合化積丸)과 Adriamycin의 병용처리시 나타나는 synergistic 항종양(抗腫瘍) 효과(效果)에 관(關)한 작용기전 연구(硏究) (Study on Synergistic Anti-tumor Effect of Combination with Adriamycin and Palginhonhapwhajucwhan)

  • 문구;문석재;원진희;조정연;박상구;송봉길;박래길;이병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43-452
    • /
    • 2000
  •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ynergistic effect on cytotoxicity of combination with adriamycin and Palginhonhapwhajucwhan, a traditional prescription for cancer treatment in oriental medicine, in Chang, HL-60, Hep-3B and Alexander cells. Methods : We observed cell viability in Chang, HL-60, Hep-3B, and Alexander cells by crystal violet staining. Those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driamycin alone, Palginhonhapwhajucwhan alone and combination of two medications for 10 hr. On condition of $0.5{\mu}l/ml$ adriamycin alone, $15.6{\mu}l/ml$ Paljintanghapwhajucwhan alone and combination of two medications, at first, we observed colony forming of Chang and HL-60 cells. Second, we observed DNA fragmentation by agarose electrophoresis in Chang, HL-60, Hep-38 and Alexander cells. Third, we measured the catalytic activation of caspase-1, 2, 3, 6, 8, and 9 protease in Chang cells and caspase-3 protease in Chang, HL-60, Hep-3B and Alexander cells by using fluorogenic substrate. Finally, we isolated mRNA of Fas in Chang, HL-60, Hep-38 and Alexander cells and observed that Fas gene was amplified by RT-PCR Results : 1. The combination of adriamycin and Palginhonhapwhajucwhan synergistically augmented the cytotoxicity of Chang and HL-60 cells whereas did not in Hep-38 and Alexander cells. 2. Cotreatment of two drugs also markedly inhibited the colony forming ability both in Chang and HL-60 cells. 3. The cytotoxicity of these medicatons was revealed as apoptosis characterized by high molecular wight DNA fragmentaton. 4. The apoptotic cytotoxicity was mediated by activation of caspase-3 protease in Chang cells. 5. Synergistic increase in apoptotic cytotoxicity by combination of two medications was dependent on the expression of Fas in cancer cells. Conclusions : Combination of adriamycin and Palginhonhapwhajucwhan significantly augmented apoptotic cytotoxicity of Fas-positive cells such as Chang and HL-60 cells via acticaton of apoptosis signaling pathway.

  • PDF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이 흑색종(黑色腫)의 폐전이(肺轉移) 억제(抑制) 및 면역조절작용(免疫調節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Chungsangbohahwan on Murine Melanoma-induced Lung Metastasis)

  • 하지용;유병길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59-175
    • /
    • 1998
  • 1. 연구배경 최근 놀라운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난치병이라고 생각되어 오던 질환들이 하나씩 정복되어 가고 있으나 평균수명의 연장,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한 고지방식, 스트레스 및 과학기술발전의 부작용 등을 이유로 새로운 질환들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종양도 이런 대표적인 질환중 하나로 최근 경제적, 시간적으로 많은 투자를 해왔으나 아직까지 그 발생원인이나 성장기전 등이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효후(哮吼)를 치료하는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을 이용하여 흑색종의 폐전이 억제능과 이에 의한 면역증강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2. 연구결과 B-16 세포를 이용한 C57BL/6계 마우스에 있어서의 폐전이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검액처리 7일후에는 52.70%, 14일후에는 19.43%의 유의성있는 억제율을 보였으며,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의 B-16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항암작용을 알아 보기 위한 시험관내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의 용량이 $5{\mu}g/well$, $2.5{\mu}g/well$, $1.25{\mu}g/well$, and $0.625{\mu}g/well$인 경우 유의성있는 효과를 얻을수 있었으며 생존율에 의한 $IC_{50}$$2.17{\mu}g/well$이었다. NK-activity를 측정한 결과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투여군이 작동세포와 표적세포의 비율이 100:1, 50:1의 경우에 있어서 $72.63{\pm}5.17%$, $26.94{\pm}2.43%$를 보여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31.12%, 43.68%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IL-2의 생산능을 측정한 결과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투여군은 $1392.00{\pm}22.31pg/ml$을 보여 대조군에 비해 4.04%의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 PDF

SNU-16 위암 세포의 mRNA 및 miRNA 프로파일에 미치는 제주조릿대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Sasa quelpaertensis Extract on mRNA and microRNA Profiles of SNU-16 Human Gastric Cancer Cells)

  • 장미경;고희철;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01-512
    • /
    • 2020
  • 제주조릿대 잎은 항염, 해열 및 이뇨작용을 가지고 있어 위궤양, 목마름 및 토혈 치료를 위한 민간의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저자들은 제주조리대 잎에서 분리한 피토케미칼 풍부 추출물(PRE)과 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PRE)은 여러 위암 세포주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항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EPRE의 세포사멸 유도 기전에 관여하는 분자표적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EPRE을 처리한 SNU-16 세포에서 mRNA와 microRNA (miRNA)의 프로파일 변화를 분석하였다. RNA sequencing 분석을 통해 총 2,875개의 차등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DEGs)을 동정하였다. 유전자 온톨로지(GO)와 KEGG 경로 분석 결과, EPRE는 세포사멸, 유사 분열-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 및 염증 반응, 종양 괴사 인자(TNF) 신호 전달 및 암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PPI) 네트워크 분석으로 세포사멸 및 세포죽음과 관련된 유전자들 간의 상호작용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miRNA sequencing 분석을 통해 총 27개의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miRNAs (DEMs)를 동정하였다. GO와 KEGG 경로 분석 결과, EPRE는 세포주기, 세포사멸 및 tropomyosin-receptor-kinase (TRK) 수용체 신호 전달, 성장인자-β(TGF-β), 핵인자 κB (NF-κB) 및 암 경로에 관여하는 miRNAs의 발현을 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EPRE의 항암 효과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Levosulpiride, (S)-(-)-5-Aminosulfonyl-N-[(1-ethyl-2-pyrrolidinyl) methyl]-2-methoxybenzamide, enhances the transduction efficiency of PEP-1-ribosomal protein S3 in vitro and in vivo

  • Ahn, Eun-Hee;Kim, Dae-Won;Kim, Duk-Soo;Woo, Su-Jung;Kim, Hye-Ri;Kim, Joon;Lim, Soon-Sung;Kang, Tae-Cheon;Kim, Dong-Joon;Suk, Ki-Tae;Park, Jin-Seu;Luo, Qiuxiang;Eum, Won-Sik;Hwang, Hyun-Sook;Choi, Soo-Young
    • BMB Reports
    • /
    • 제44권5호
    • /
    • pp.329-334
    • /
    • 2011
  • Many proteins with poor transduction efficiency were reported to be delivered to cells by fusion with protein transduction domains (PT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evosulpiride on the transduction of PEP-1 ribosomal protein S3 (PEP-1-rpS3), and examined its influence on the stimulation of the therapeutic properties of PEP-1-rpS3. PEP-1-rpS3 transduction into HaCaT human keratinocytes and mouse skin was stimulated by levosulpiride in a manner that did not directly affect the cell viability. Following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induced inflammation in mice, levosulpiride alone was ineffective in reducing TPA-induced edema and in inhibiting the elevated productions of 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s, such as cyclooxygenase-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terleukin-6 and -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PEP-1-rpS3 + levosulpiride was significantly more potent than by PEP-1-rpS3 al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vosulpiride may be useful for enhanc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PEP-1-rpS3 against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인진호(茵蔯蒿) 관련 국내 연구 동향 고찰 (Literature Review of Studies Related with Injinho in Korea)

  • 나란희;방창호;장석오;최지혜;고하늘;김래희;이윤진;김강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1-366
    • /
    • 2010
  • This study was practiced to investigate the existing study trends for Injinho that is numerously used for hepatobiliary diseases in oriental medicine. The studies selected from the domestic academic database included the following keywords in the title or abstract;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iwayomogi', 'Artemisia scoparia'. The studies considered were those published from January 1990 to May 2009. 198 studies were found to include the keywords related to the study subjects either in their title of contents or abstracts, and 104 studies among them were finally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81 studies among 104 studies(78%) were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09, while 23 studies(22%) were published between 1990 and 1999. Classification was proceeded according to study subjects as followed; 23 studies confirming hepatoprotective effect after artificial liver damage in a number of cells or the organ itself, 18 studies on anti-tumor effect, 12 studies on hyperlipidemia and fatty liver disease, and 4 studies on liver cirrhosis and hepatocyte regeneration. Furthermore,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study methods as followed; 56 studies practicing in vitro, 33 studies practicing in vivo, 11 studies practicing both in vitro and in vivo. 2 studies on specific cases and 1 study on documentary records. The majority of studies report the affirmative effects of Injinho. However most study methods were restricted to in vitro and in vivo. Hereafter, case reports on various fields and multicenter clinical trials on Injinho is necessary.

장일과 암기중단 처리가 바위솔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ng-day and Night-break Treatment on Growth and Anthesi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강진호;박진서;김재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00-607
    • /
    • 1995
  • 최근 바위솔은 항암제로서 효능이 알려지면서 일부 독농가를 중심으로 인공재배되기 시작하였으나 자연산과 출하기간이 중복되고 그 기간 또한 짧음으로서 재배 바위솔의 출하기간을 임의로 조절하거나 연장할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본시험은 바위솔의 개화를 억제함으로서 출하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여 바위솔의 인공재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무처리의 자연일장에서 재배한 것에 비하여 추대기에 가해지는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가 바위솔의 생장 및 개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연일장에 비하여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가 화서의 신장을 지연시켰으며 처리 6주후인 10월 하순경부터는 엽과 구엽수도 많고, 경직경의 감소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연일장에 비하여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에서는 엽과 구엽중은 처리 2주후부터, 경중은 처리 4주후부터, 근중은 처리 4주후부터 많았던 반면, 소화중은 처리 4주부터 6주까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제적 수량인 지상부 건물중은 10월 하순 이후부터 자연일장보다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가 가해진 6주후인 10월 하순까지 소화수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10월 하순부터 일제히 개화하는 자연일장에 비하여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는 소화의 개화 및 개체의 개화율을 현저히 감소시겼다. 4. 추대 후 자연일장에서 자라는 바위솔은 소화가 sink로, 잎과 뿌리가 source로 작용하나, 장일 및 암기중단 처리에서는 줄기 및 소화가 sink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ti-inflammatory and antifatigu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Hong, Meegun;Lee, Yoon Hyeong;Kim, Seungwoo;Suk, Ki Tae;Bang, Chang Seok;Yoon, Jai Hoon;Baik, Gwang Ho;Kim, Dong Joon;Kim, Myong J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203-210
    • /
    • 2016
  • Background: Korean Red Ginseng (KRG) is a well-known natural product with anticarcinogenic and antioxidant effects. We evaluated the antifatigue effect of KRG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Methods: Eighty patients with NAFLD were prospectively randomized to receive 3 wk of KRG or placebo in addition to counseling on healthy eating and regular exercise. Liver function test, proinflammatory cytokines, adiponectin, antioxidant activity, and fatigue score were measur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between the KRG and placebo groups. Results: The liver function tes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3 wk of treatment in both groups. The mean levels (at baseline and after treatment)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were $108.0pg/mL{\pm}54.8pg/mL$ and $92.7pg/mL{\pm}39.0pg/mL$ (p = 0.018) in the KRG group and $123.1pg/mL{\pm}42.1pg/mL$ and $127.5pg/mL{\pm}62.2pg/mL$ (p = 0.694) in the placebo group,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 of adiponectin levels between the KRG ($7,751.2pg/mL{\pm}3,108.1pg/mL$ and $8,197.3pg/mL{\pm}2,714.5pg/mL$) and placebo groups ($7,711.6pg/mL{\pm}3,041.3pg/mL$ and $7,286.1pg/mL{\pm}5,188.7pg/mL$, p = 0.027). In patients with overweight, the fatigue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KRG group ($35.0{\pm}13.2$ and $24.5{\pm}8.9$, p = 0.019).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KRG might be effective in reducing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fatigue in overweight patients with NAFLD, in addition to improvements in adiponectin levels.

성숙한 3T3-L1 지방세포에서 Akkermansia muciniphila의 지방축적 감소 효과 (Effect of Reduction in the Adipose Accumulation of Akkermansia muciniphila in Mature 3T3-L1 Adipocytes)

  • 심혜윤;임수경;신주현;이도경;서재구;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6-112
    • /
    • 2019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reduction of lipid accumulation by treatment with Akkermansia muciniphila extract on 3T3-L1 adipocytes. Methods: After treating pasteurized Akk. muciniphila strains in HT-29 colorectal cancer cell, the relative expression of interleukin (IL)-8, tumor necrosis factor-α, IL-6, and IL-1β mRNA was analyzed by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pectively. 27 strains of Akk. muciniphila which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selected. 3T3-L1 pre-adipocytes were treated with Akk. muciniphila for 24 hr and then measured the toxicity using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 assay.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4 days and then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s using the medium including adipogenic reagents for 10 days. The Akk. muciniphila was treated when the medium was exchanged for differentiation medium at 4th day and insulin medium at 6th day. To observe the lipid accumulation, the cells were stained with Oil red O dye and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Results: In the cytotoxicity test, the cell viability of 3T3-L1 pre-adipocy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untreated with Akk. muciniphila, and there was no cytotoxicity of Akk. muciniphila at 1×107 CFU/mL. The results on Oil red O staining and absorbance measurements wer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ipid accumulation in the group which was treated with Akk. muciniphila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In our results, Akk. muciniphila has the inhibitory effect of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This suggests that Akk. muciniphila could be help to improve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