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racite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8초

국산(國産) 무연탄(無煙炭)과 폐플라스틱을 사용(使用)하는 합금철용(合金鐵用) 코크스의 제조(製造)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Manufacturing Cokes for Ferroalloy Using Domestic Anthracite and Waste Plastic)

  • 이계승;송영준;서봉원;이대영;이성용;윤시내;김윤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7권4호
    • /
    • pp.47-56
    • /
    • 2008
  • 본 연구는 플라스틱과 무연탄을 혼합한 다음 소결하여 합금철용으로 사용 가능한 코크스를 얻기 위하여 수행 되었으며, 무연탄과 플라스틱의 연소 특성 및 물성을 조사하고, 선탄기초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삼척지역의 3종 무연탄 시료에 대한 물성 측정 결과 각 무연탄 시료에는 $100{\mu}m$ 이상의 회분들이 $25{\sim}30%$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발열량은 태안시료 5,205cal/g, 장성시료 4,893cal/g, 경동시료 4,873cal/g 이었다. 2. 선탄 기초 실험 결과 3종의 국산 무연탄을 중액선별로 선탄하는 경우에 중액의 비중이 2.4이고 석탄의 입도는 $35{\sim}140mesh$로 조절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나타났다. 3. 플라스틱의 열분해 특성상 코크스용 점결제로 사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은 분말 페놀수지, 액상 페놀수지, SAN, 멜라민수지 등 이며,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서는 액상 페놀수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0.1 MWth 급 순환유동층에서의 무연탄 연소 전산유체역학 모사 (Anthracite Oxygen Combustion Simulation in 0.1MWth Circulating Fluidized Bed)

  • 고은솔;국진우;서광원;서수빈;김형우;강서영;이시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3호
    • /
    • pp.417-428
    • /
    • 2021
  • 낮은 반응성으로 인해 복잡한 공정이 필요한 무연탄은 순환유동층 내의 동적 거동을 통해 연소 특성이 고찰되어야 한다. Pilot 규모의 0.1MWth 급 순산소 순환유동층 연소로에서의 무연탄 연소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해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순산소 순환유동층 보일러는 연소로(0.15 m l.D., 10 m High), 싸이클론, 재순환부 등으로 구성되었고 동일한 크기의 3D 모델 반응기를 구축하였다.실험에 사용한 무연탄은 평균 입도 1,070 ㎛, 밀도 2,326 kg/m3이다. 공기 연소에서 순산소 연소로의 연소 환경 변화에 따른 반응기 내부의 기-고 흐름 패턴을 고찰하였다. 이때, 공기 연소와 순산소 연소에서 온도 분포는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압력 분포는 순산소 연소에서 더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공기 연소에 비해 순산소 연소에서 더 높은 CO2 농도를 가지므로 이산화탄소 포집이 활발히 이루어질 것을 예상해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무연탄 활용 시 순환유동층 반응기의 최적화된 설계 및 운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石炭의 黑鉛性에 關한 硏究 (第1報) (Studies on the Electric Resistecna of Coals (1))

  • 오신섭;이석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2-25
    • /
    • 1961
  • The attempt to distinguish between graphite and domestic anthracite was means, especially electric resistance. The specific resistance values of various coals and graphites were determined by Wheaston Bridge equipped with more finely adjustable slide wire. The result of graphite was in the below of 0.08 ohm-cm and that of anthracite has $10^{-1}{\sim}10^1$ohm-cm range.

  • PDF

석유화학폐수슬러지와 유기성 폐기물 혼합에 의한 연소특성 및 고형연료 폐기물화 재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Evaluating of RDFs(Refused Derived Fuels) from Mixture of Petrochemical Wastewater Sludge and Organic Matters)

  • 한영립;최영익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7-244
    • /
    • 2015
  • This objectives of research are to figure out combustion characteristic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with petrochemical sludge by adding wasted organic matters which are waste electric wire, anthracite coal and sawdust, and to exam heating value and ignition temperature for using refused derived fuels(RDFs). After analyzing TGA/DTG, petrochemical sludge shows a rapid weight reduction by vaporing of inner moisture after $170^{\circ}C$. Gross weight reduction rate, ignition temperature and combustion rates represent 68.6%, $221.9^{\circ}C$ and 54.1%, respectively. In order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RDFs, the petrochemical sludge by adding wasted organic matters which are waste electric wire, anthracite coal and waste sawdust. The materials are mixed with 7:3(petrochemical sludge : organic matters)(wt%), and it analyzes after below 10% of moisture content. The ignition temperatures and combustion rates of the waste electric wire, anthracite coal and waste sawdust are $410.6^{\circ}C$, $596.1^{\circ}C$ and $284.1^{\circ}C$, and 85.6%, 30.7% and 88.8% respectively. In heating values, petrochemical sludge is 3,600 kcal/kg. And the heating values of mixed sludge (adding 30% of the waste electric wire, anthracite coal and waste sawdust) each increase up to 4,600 kcal/kg, 4,100 kcal/kg and 4,300 kcal/kg. It improves the ignition temperatures and combustion rates by mixing petrochemical sludge and organic matters.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duction of RDFs is sufficiently possible by using of petrochemical sludge by mixing wasted organic matters.

석탄회 시용이 연초 생육과 토양중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of Fly Ash on Tobacco Growth and on Accumulation of Heavy Metal in Soil)

  • 홍순달;석영선;송범헌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12
    • /
    • 1998
  •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y ash on growth responses and on accumulation of the heavy metals in soil. Two kinds of fly ash, anthracite and bituminous coal, were treated with different levels of 0, 0.4, 0.8, and 1.2 kg/pot(20L). Tobacco growth was better by application of fly ash than that by the control. However, the early stage of growth by application of bituminous coal, 1.2 kg/pot, was decreased due to the boron toxicity occurred by fly ash. Generally, tobacco yiel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pplying fly ash, showing the highest yield at 1.2 kg/pot for anthracite and at 0.8 kg/pot for bituminous coal.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in leaves was higher with fly ash than that of the control, while the content of calcium in leaves was low, Contents of heavy metal and the other minera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of fly ash. Soil pH after experiment was linearly increased with application level of fly ash, indicating that the application of bituminous coal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anthracite. Contents of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Ca^{2+}$+ and $Mg^{2+}$ in soil were increased by application of fly ash, especially with bituminous coal. Contents of Cu, Cr, and Ni were increased with application level of bituminous coati even if the contents were still lower than critical levels for farming land. The other heavy metals were similar between the control and the application of fly ash.

  • PDF

갈탄과 무연탄으로부터의 초청정석탄 제조 및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에서의 산화거동연구 (Oxidation of Ash Free Coal from Lignite and Anthracite Coals in a Molten Carbonate Fuel Cell)

  • 이상우;김유정;김태균;이기정;이충곤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63-70
    • /
    • 2016
  • In this study, ash free coals(AFCs) were produced with lignite and anthracite coals in a microwave. The AFCs were analyzed with proximate analysis,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ry (FTIR),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he extraction yields of the AFCs were 16.4 wt%, 7.6 wt% at lignite and anthracite coal, respectively.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AFCs were similar regardless of the original coal types. Oxidation behavior of the AFCs was investigated by supplying a mixture of 3g of AFC and 3g of electrolyte into the coin-type 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For the evaluation of AFC fuel performance, electrochemical analysis of the steady-state polarization and step-chronopotentiometry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tandard hydrogen fuel (69 mol% $H_2$, 17 mol% $CO_2$, 14 mol% $H_2O$). The AFCs showed similar electrochemical oxidation behaviors regardless of the original coal types. The overvoltage of the AFCs was larger than the hydrogen fuel, although OCV of the AFCs was higher.

國産無煙炭의 炭質에 關한 考察 (A Study on the Quality of Korean Anthracites)

  • 이계수;정병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5-60
    • /
    • 1965
  • 韓國에서 産出되는 無煙炭의 炭質을 綜合的으로 調査하기 爲하여 약 40 個所의 炭鑛에서 試料를 採取하여 工業分析, 元素分析, 其他 特殊分析을 하여 檢討하였다. 이 結果에 依하면 國産無煙炭은 一般的으로 低質炭에 屬하여 그 中 約 半은 黑鉛性을 가지고 있었으며 國産無煙炭의 主要成分의 範圍는 다음과 같았다. 水分:$4{\sim}7%$, 灰分:$20{\sim}30%$, 揮發分:$3{\sim}5%$, 硫黃分:$0.2{\sim}0.5%$, 炭素:$62{\sim}73%$, 水素:$0.3{\sim}$1.0%, 窒素:$0.2{\sim}0.5%$, 酸素:$2.0{\sim}4.0%$, 發熱量:$5,200{\sim}6,100cal/g$.

  • PDF

활성탄과 생물여과 공정에서의 Chloral hydrate 제거 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Chloral Hydrate by Activated Carbons and Biofiltration)

  • 배상대;손희종;정철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8-22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석탄계, 야자계, 목탄계 활성탄과 흡착능이 없는 안트라사이트를 이용하여 클로랄하이드레이트에 대한 흡착 및 생물분해 특성을 평가하였다. 활성탄 공정에서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제거기작은 운전초기에는 흡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나 부착미생물의 활성이 증진되면서 부착미생물에 의한 생분해와 흡착에 의해 제거되었으며, 클로랄하이드레이트는 생분해능이 큰 물질들로 조사되었다. 입상활성탄 재질별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제거 특성은 석탄계와 야자계 활성탄에서 제거율이 높았고, 목탄계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거능을 보였으며, 안트라사이트 biofilter에서 가장 낮은 제거능을 보였다. 활성탄 재질별 부착 미생물의 생체량과 활성도는 석탄계가 가장 높았고, 야자계, 목탄계, 안트라사이트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온 변화에 따른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제거 특성은 수온이 10$^{\circ}C$ 이하로 저하될 경우 부착 bacteria의 생체량과 활성도 감소로 제거율이 감소하였다. 안트라사이트를 이용한 생물여과 공정은 수온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부착 bacteria에 의한 직접적인 생물분해가 주 제거 메카니즘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제거시 유입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수온의 영향이 매우 중요하며, 흡착능이 소진된 활성탄이나 흡착능이 없는 여재를 사용한 생물여과 공정에서는 수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유출 가능성이 있었다.

비산회재 및 무연탄을 원료로 한 흡착제 제조 (Manufacture of Adsorbent from Fly-ash and Anthracite)

  • 백일현;빈현숙;류완호;김태영;민병무
    • 공업화학
    • /
    • 제10권4호
    • /
    • pp.543-547
    • /
    • 1999
  • 본 연구는 현재 폐기되고 있는 미연탄소분을 많이 함유한 비산회재를 이용하여 흡착제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제조된 흡착제에 대한 중금속 제거 실험을 통하여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처리기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비산회재에 장성탄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세 종류의 펠릿을 제조하였으며, 장성탄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펠릿의 고정탄소함유량이 증가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탄화와 활성화를 거처 85~96%의 경도와 100~300 mg/g의 요오드 흡착량을 갖는 흡착제를 제조하였으며, 장성탄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경도 및 요오드 흡착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중금속의 제거실험에서 제조된 흡착제에 대한 Pb와 Cr의 제거율이 9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비산회재의 겨우 Pb 31.5%, Cr 5.6%의 낮은 제거율을 보였다. 이는 활성과정동안 비산회재에 함유된 미연탄소분과 $SiO_2$에 의하여 흡착성능이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 PDF

100 kWth 급 순환유동층 시스템에서 무연탄 순산소연소 특성 연구 (Oxy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nthracite in a 100 kWth Circulating Fluidized Bed System)

  • 문지홍;조성호;문태영;박성진;김재영;;이재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400-407
    • /
    • 2019
  • 순산소 순환유동층 연소기술은 기후변화 및 연료 수급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순산소 순환유동층 연소기술은 배기가스재순환 공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비교적 쉽게 포집할 수 있으며 대기오염물질 배출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연소기술이다. 새롭게 개발된 $100kW_{th}$ 급 순산소 순환유동층 연소 시스템은 연료다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연료들의 순산소연소 특성을 분석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높은 고정탄소 및 회분함량으로 인해 연소성이 낮은 연료로 알려진 무연탄을 활용하여 높은 이산화탄소를 생산하고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무연탄 순산소 연소는 아역청탄 공기연소 대비, 연소효율이 2% 향상되었으며 대기오염물질인 $SO_2$, CO, NO은 각각 15%, 60%, 99% 감소하였다. 또한, 안정적인 순산소순환유동층 연소를 통해 배기가스 내 94 vol.% 이상의 $CO_2$ 가 포집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