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3초

An Analysis of Stress Pattern in the Coracoclavicular Ligaments with Scapular Movements: A Cadaveric Study Using Finite Element Model

  • Kim, Yoon Sang;Kim, In-Sung;Yoo, Yon-Sik;Jang, Seong-Wook;Yang, Cheol-Jung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8권3호
    • /
    • pp.152-158
    • /
    • 2015
  • Background: Acromioclavicular (AC) stability is maintained through a complex combination of soft-tissue restraints that include coracoclavicular (CC), AC ligament and overlying muscles. Among these structures, the role of the CC ligament has continued to be studied because of its importance on shoulder kinematics, especially after AC injur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geometric change of conoid and trapezoid ligaments and resulting stresses on these ligaments according to various scapular motions. Methods: The scapuloclavicular (SC) complex was isolated from a fresh-frozen cadaver by removing all soft tissues except the AC and CC ligaments. The anatomically aligned SC complex was then scanned with a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scanner into 0.6- mm slices. The Finite element model of the SC complex was obtained and used for calculating the stress on different parts of the CC ligaments with simulated movements of the scapula. Results: Average stress on the conoid ligament during anterior tilt, internal rotation, and scapular protraction was higher, whereas the stress on the trapezoid ligament was more prominent during posterior tilt, external rotation, and retraction.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CC ligament plays an integral role in regulating horizontal SC motion as well as complex motions indicated by increased stress over the ligament with an incremental scapular position change. The conoid ligament is the key structure restraining scapular protraction that might occur in high-grade AC dislocation. Hence in CC ligament reconstructions involving only single bundle, every attempt must be made to reconstruct conoid part of CC ligament as anatomically as possible.

봉합나사를 이용한 Bankart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술 (Arthroscopic Bankart Repair using Suture Anchors)

  • 김경택;김철홍;신상화;곽종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3-177
    • /
    • 2006
  • 목적: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탈구환자에서 Bankart 병변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탈구로 인한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Bankart병변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중에 24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90례를 대상으로 Rowe와 Zarins의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관절경하에서 확인된 동반병변으로 Hill-Sachs병변이 46례에서, SLAP병변과 회전근개 파열병변은 각각 12례, 7례에서 관찰되었다. Rowe와 Zarin의 평가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82례(91.1%)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으며, 합병증으로 재탈구가 3례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탈구로 인한 전방불안정성 환자에서 Bankart병변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술은 우수한 임상 결과와 낮은 재발율을 보이고, 합병증을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술식 중에 하나라고 사료된다.

  • PDF

Bankart 병변의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술 (Arthroscopic Bankart Repair with Suture Anchor)

  • 김경택;김철홍;김성후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49-153
    • /
    • 2002
  • 목적: Bankart병변이있는 외상성재발성견관절탈구환자에서봉합나사를이용한관절경적봉합술의유용성을알아보았다. 대상및방법: 견관절의외상성전방불안정성환자에대해봉합나사를이용한관절경적Bankart병변봉합술을시행한환자중12개월이상추시가가능하였던54례를대상으로Rowe와Zarins의평가방법을이용하여결과를판정하였다.결과: 관절경하에서확인된동반병변으로Hill-S achs병변이28례에서, SLAP병변과상완골골두의연골연화증은각각6례에서관찰되었다. Rowe와Zains의평가방법에따라평가하여50례( 92.6$\%$ )에서양호이상의결과를얻었으며, 재탈구는2례에서발생하였다.결론: 외상성재발성견관절탈구로인한전방불안정성환자에서Bankar병변에대해봉합나사를이용한관절경적봉합술은우수한임상결과와낮은재발율을보이고, 합병증이낮은효과적인술식중의하나라고사료된다.

  • PDF

수술적으로 치료한 주관절 삼두근 탄발 증후군과 척골 신경 탈구 - 2예 보고 - (Operative Treatement of Snapping Triceps Syndrome and Ulnar Nerve Dislocation)

  • 강호정;이희영;이정길;한수봉;김성재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50-254
    • /
    • 2009
  • 목적: 주관절 내과 부위의 동통, 탄발 및 동측 수부 척측으로 척골 신경 증상이 있을 때, 주관절 삼두근 탄발 증후군을 의심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2예의 환자에서 이학적 검사를 통해 주관절 내측에서 2차례의 탄발을 확인한 후 역동적 초음파 검사로 확진 할 수 있다. 결과 및 결론: 주관절 삼두근 탄발 증후군의 수술적 치료는 척골 신경의 탈구에 대해서는 피하 전방 전이술을 시행하며, 삼두근 내측두의 탈구에 대해서 내측두건의 단순 건 절단술로도 우수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봉합나사와 골터널을 이용한 골성 반카르트 병변의 고정 (Alternative Fixation Technique for Bony Bankart Lesion with Using Suture Anchor)

  • 김병국;이호재;김고탁;단진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574-578
    • /
    • 2019
  • 급성 견관절 탈구에 동반된 골성 반카르트 병변은 골편과 상완인대의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안정된 고정이 치료에 필수적이며, 이의 실패는 견관절 재발성 불안정성과 외상 후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다. 반카르트 병변에 큰 뼈 조각 또는 분쇄된 골절 파편이 있는 경우, 관절경 수술 시 제한된 시야와 조작의 어려움으로 큰 골편을 골절 부위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어렵다. 개방형 시술 시는 골편에 도달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연부 조직 유리 및 절제가 필요하여 이는 신경과 혈관 합병증, 견갑하건의 약화 및 견관절 강직 등, 외과적 접근법과 관련된 병적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저자들은 관절경적 수술이 용이하지 않은 크기의 관절와 골절이 동반한 견관절 전방 탈구 환자에서 골절면에 봉합나사 고정 후 골 터널을 만든 골편에 봉합사를 통과한 후 골편 및 상완인대를 함께 매듭 하여, 해부학적 위치로 안정된 정복을 얻는 수술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Bankart 수술 후 발생한 금속 봉합 나사못 합병증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Metallic Suture Anchor Failures after Bankart Repair)

  • 신상진;정재훈;김성재;유재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0-76
    • /
    • 2006
  • 목적: 금속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견관절 습관성 전방 탈구 수술 후, 여러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 금속 봉합 나사 못 돌출 합병증을 보고하고 발생 원인, 임상 양상 및 관절경적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습관성 전방 탈구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Bankart 수술을 시행 받은 후 운동시 들리는 관절내 마찰음 및 통증 또는 불안정성을 호소하며 내원하여 관절경 재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수술 이후 재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5.2개월이었다. 환자들은 관절경 재수술시 봉합 나사못의 돌출이 확인되었으며 관절경 술식을 이용하여 돌출 봉합 나사못을 제거하였다. 결과: 주 증상은 4명에서 통증을 동반한 관절내 마찰음이었으며 이 마찰음은 외전 및 외회전시 분명하게 들렸다. 1명은 통증과 함께 견관절 불안정성을 호소하였다. 견관절 운동 범위는 외회전만 약간 감소되었을 뿐 거의 정상 소견을 나타내었다. 돌출되었던 봉합 나사못의 위치는 5시 방향 1명, 4시 방향 2명, 2시 및 3시 방향 각각 1명씩이었다. 그 중 2명은 전방 관절와연에서 5 mm 정도 내측 관절면 위에 위치하였다. 나머지 3명은 올바른 위치에 삽입되어 있었으나 나사못 주변의 연골 마모 및 골소실이 관찰되었다. 재수술시 5명 모두 상완골두에 연골 손상이 발견되었으며 1명은 관절와에도 연골 결손이 동반되었다. 재수술 후 2년째 추시 결과 재탈구나 불안정성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으며 통증에 대한 VAS 점수는 수술 전 3.4에서 수술 후 1.2로 감소되었다. Constant 점수는 수술 전 65점에서 수술 후 89점으로 증가하였으며 ASES 점수도 수술 전 67점에서 수술후 88점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봉합 나사못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은 불안정성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재활 운동 시점부터 증상이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수술 후 통증과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돌출된 봉합 나사못은 상완골두 연골의 파괴를 유발하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므로 봉합 나사못 돌출이 의심되면 관절경을 통하여 관절내의 변화를 관찰하며 돌출된 봉합 나사못을 다시 삽입하거나 제거하여야 한다. 봉합 나사못 제거에 본 수술 방법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봉합 나사못 제거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주관절 강직의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of Stiff Elbow)

  • 송현석;윤형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86-292
    • /
    • 2010
  • 목적: 관절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는 관절의 안정성과 운동 범위의 유지가 필요하다. 주관절과 연관된 환자의 주소의 대부분이 주관절의 강직이다. 최근 보고들에서 주관적의 강직에 대한 치료에서 우수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술식을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결정하기 어렵다. 대상 및 방법: Morrey 등은 기능적인 운동 범위를 30-130도의 굴곡-신전 범위, 50도 회내전 및 50도 회외전이라고 하였다. 이 범위에서 일상 생활의 약 90%가 이루어 진다. 주관절 강직은 원인이 되는 외상과 주 병변의 위치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관절 내 원인으로는 심각한 관절 내 불일치, 관절 내 유착 또는 관절 내 연골의 소실, 골극 형성에 의한 기계적 제한, 관절 내 유리체, 활액막의 과다 증식이 해당된다. 관절 외 원인으로는 외상 또는 탈구에 의한 심한 관절막의 유착, 측부 인대 또는 근육의 구축이 해당된다. 결과 및 결론: 신전 제한의 주 원인은 전방 관절막의 섬유화에 의한 구축이다. 이러한 병변은 전방 관절막 절제술이 도움이 된다. 굴곡 제한의 주 원인은 내측부 인대의 후방대의 구축이다.

관혈적 방법과 관절경적 방법을 이용한 재발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의 치료 결과 (Results of Open Versus Arthroscopic Method in Recurrent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이동호;오세진;이철호;하권익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54-158
    • /
    • 2002
  • 목적: 관혈적방법과관절경적방법을이용하여재발성견관절전방불안정환자를수술후추시결과를비교하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1995년1월부터2000년4월까지관혈적및관절경적Bankart repair를시행하고1년이상추시가가능한68명을대상으로하였으며, 23명은관절경적방법으로45명은관혈적방법으로수술을시행하였다. 추시기간은12개월에서64개월로평균34개월이었다. 결과: 관혈적수술을시행한환자들중2예에서아탈구가발생하여보존적인방법으로치료하였으며관절경적그룹에서는2예에서탈구, 2예에서아탈구가발생하여이중탈구된1예에서관혈적방법으로재수술을시행하였다. Rowe 등에의한기능적평가에서는관혈적그룹에서평균87 점이었고관절경적그룹에서평균85점이었다. 환자의주관적인만족도는관혈적그룹에서84.6 점이었고관절경적그룹에서72.5점이었다. 두그룹간의결과의통계분석상안정성과운동범위점수이외에는통계학적으로유의한차이는없었다.결론: 관혈적수술방법은안정도가높았고, 관절경적수술방법은견관절운동범위에장점이있었다. 견관절재발성전방불안정환자의수술적치료에있어서이학적검사및방사선학적검사, 진단적관절경에의해적절한수술방법을선택하는것이환자의예후에중요한요소가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