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ring growth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6초

기후인자가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Climate Factors on Tree-Ring Growth of Larix leptolepis Distributed in Korea)

  • 임종환;성주한;천정화;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122-131
    • /
    • 2016
  • 본 연구는 연륜기후학적 방법에 의해 기후인자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일본잎갈나무의 연도별 생장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자료에서 수집된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 자료를 정리하였다. 한편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변수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1950년부터 2010년까지 정리된 월평균 기온과 월강수량 자료를 시군 단위로 정리하였다. 기후조건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일본잎갈나무의 시군별 연륜생장 자료를 군집분석한 결과 6 개의 기후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연륜생장 자료에 대한 크로스데이팅과 표준화 절차를 통해 각 군집별 지표연대기를 제작하였다. 각 군집별 지표연대기의 적합성은 연륜생장의 평균민감도, 자기상관계수, 신호 대 잡음비, 신호강도와 같은 기초통계량 분석을 통해 점검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군집별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변수 간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반응함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일본잎갈나무의 지역별 생장특성의 추정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생장패턴의 변화 예측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륜기후학적 방법에 의한 상수리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분석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Ring Growth of Quercus acutissima and Climatic Variables by Dendroclimatological Method)

  • 문나현;성주한;임종환;박고은;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3-101
    • /
    • 2015
  • 본 연구는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상수리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실시된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의 임목조사 자료에 포함된 연륜생장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월평균 기온과 월강수량 자료를 연도별로 정리한 후 연륜생장 자료를 수집된 시군별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상수리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에 대한 기후조건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연륜생장 자료의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크로스데이팅과 표준화를 실시하여 상수리나무의 군집별 지표연대기를 작성한 후 기초통계량을 산출하여 지표연대기의 적합성을 검정하였으며, 군집별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 구명을 위해 반응함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상수리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인자 간의 통계적인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중장기 생장변화의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韓國의 森林構造에 따른 物質生産力에 관한 分析 - 年齡生長 分析에 의한 森林 樹木의 最高生産力期 및 最適伐採期 推定모델 - (Studies of the Forest Structure and Productivity in Korea -Models of Maximum Productivity and Optimum Cutting Time of the Forests by Annual Ring Growth analyses-)

  • Chang, Nam-Kee;Kim, Heui-Baek;Oh, In-Hye;Chang, Myung-A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3호
    • /
    • pp.191-202
    • /
    • 1990
  • For the maximun yield of the forest trees in the forest management, the growth of annual ring area of the major forest trees was analysed in the four areas in South Korea. The time to the maximum productivity and the optimum cutting time for the maximum yield were estimated. The growth curve of annual ring area showed sigmoid like that of other organisms. Only the growth coefficient among the areas between Fraxinus rhynchophylla and Pinus koraiensis represented significance (5% level). The growth coefficient among forest trees between Pinus densiflora and Abies holophylla, Larix kaempferi and Carpinus laxiflora, Larix kaempferi and Quercus mongolica, Larix kaempferi and Quercus serrat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and Abies holophylla represented significance (5% level). Among eight forest trees, the time to maximum productivity (tm) of Larix kaempferi was the earliest (21.4 year), and Abies holophylla was the latest (91.9 year). The optimum cutting time for the maximum yield (tc) of L. kaempferi was the earliest (29.4 year) and that of A, holophylla was the latest (122.2 year) of all communities. The optimum cutting time for the maximum yield was 1.33 times as late as the time to the maximum productivity. If the growth of annual ring area as the forest tree for wood is regarded, L. kaempferi and P. densiflora are thought to be more economical than A. holophylla and P. koraiensis.

  • PDF

직경생장(直徑生長)패턴에 따른 강원도(江原道) 소나무의 생장권역(生長圈域) 구분(區分) (Districting the Growth Zone by Diameter Growth Pattern for Pinus densiflora in Kangwon Province)

  • 송철철;변우혁;이우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71-76
    • /
    • 1995
  • 본 연구는 강원도에 분포하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지리적(地理的) 요인(要因)에 의한 소나무 생장권역(生長圈域)을 구분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초자료로는 생장추로 채취한 공시목편의 직경 연년생장량(連年生長量)의 실측치를 이용하였다. 실측된 연년생장량내의 개체간 변이를 표준화(標準化) 과정을 통해 제거하였고 표준화된 값으로 지역별 평균연대기(平均年代期)를 산출하였다. 지역별 평균연대기들을 집락분석(集落分析)하여 직경의 연년생장 패턴에 따라 생장지역을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영동과 영서지방 소나무의 연년생장 패턴이 지리적 분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영서내륙지방은 지리적 요인에 따른 생장패턴의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동소성 붉은 뺨멧새 ( Emberiza fucata ) 와 멧새 ( Emberiza cioides ) 의 Stereotyped Song 의 비교 (The Inter- and Intra-specific Comparison of Stereotyped Songs in Sympatric Gray-headed Bunting (Emberiza fucata) and Siberian-Meadow Bunting (Emberiza cioides))

  • Kim, Kil-Won;Shi-Ryong Par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3호
    • /
    • pp.317-327
    • /
    • 1993
  • Stands profiles, yearly changes in growth of annual rings, age and diameter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individuals in the Pinus densiflora stands around the Yeocheon industrial complex were investigated. Growth of annual ring in Pinus densiflora, which survived when vegetation of this area was damaged by air pollutants, was suppressed for about 10 years since 1974 when factories in this area began to operate, but since then such suppressed growth tended to be recovered. It was supposed that the suppresed growth was originated from air pollution and that improvement of growth since the suppressed period was due to the release from competition with them by death of neighbouring trees and the resuction of the amount of air pollutants. Physiognomy of Pinus densiflora stands showed mosaic pattern composed of different patche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individuals an stand profiles were similar to those of Pinus densiflora stands regenerated after natural and artificial disturbances. In an age distribution diagram, age of Pinus densiflora population ranged from 1 to 33 years, Among these individuals were recrited corresponded to the suppresed period of growth of annual ring in Pinus densiflora survived when the vegetation was damaged by air pollution. On the other hand, from the result of analysis of frequency distribution diagram of diameter, it was postulated that even if whis Pinus densiflora community can be maintained as it is for the time being, it might be changed to Quercus community with the lapse of time. Regeneration; Pinus densiflora; Air pollution; Annual ring; Age structure; Diameter structure; Quercus spp. In these analyses, factors for individual recognition and species recognition were suggested.

  • PDF

Tree Ring Ca/Al as an Indicator of Historical Soil Acidification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uthern Korea

  • Lee, Kwang-Seung;Hung, Dinh Viet;Kwak, Jin-Hyeob;Lim, Sang-Sun;Lee, Kye-Han;Choi, Woo-J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9-233
    • /
    • 2011
  • BACKGROUND: Soil acidification, which is known to be one of the reasons of forest decline, is associated with decreases in exchangeable Ca and increases in Al concentration, leading to low Ca/Al ratio in soil solution. As tree rings are datable archives of environmental changes, Ca/Al ratios of annual growth ring may show decreasing patter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soil acidif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a/Al pattern of Pinus densiflora tree ring in an attempt to test its usefulness as an indicator of historical soil acidification. METHODS AND RESULTS: Three P. densiflora tree disks were collected from P. densiflora forests in Jeonnam province, and soil samples (0-10, 10-20, and 20-30 cm in depth) were also collected from the tree locations. Soils were analyzed for pH and exchangeable Ca and Al concentrations, and Ca/Al was calculated. Annual growth rings formed between 1969 and 2007 were separated and analyzed for Ca/Al. Soil Ca/Al was positively (P<0.01) correlated with soil pH, suggesting that soil acidification decreased Ca while increasing Al availability, lowering Ca/Al in soil solution. The Ca/Al of tree rings also showed a decreasing pattern from 18.2 to 5.5 during the period, and this seemed to reflect historical acidification of the soils. CONCLUS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pH and Ca/Al and the decreasing pattern of Ca/Al of tree ring suggest that Ca/Al of tree ring needs to be considered as a proxy of the progress of soil acidification in P. densiflora forest in southern Korea.

연륜 변화를 이용한 의성지역 주요 조림수종의 생장특성 (The Growth Characteristic of the Main Afforestation Species Using the Change of the Annual Ring in Uiseong Area)

  • 이동섭;김동근;배관호;서형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74-281
    • /
    • 2005
  • 의성군의 기후특성은 여름 고온과 강우집중이 높으며, 이 또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겨울에 저온과 건조가 심하고, 점진적으로 저온일이 증가하고, 강-우량이 감소하는 지역이다. 또한 의성군 조림지의 토양은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전형인 pH $4.5\~5.6$사이의 산성토양으로 나타났으며, 부식층의 두께는 조림수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A층의 두께는 평균 $10\~20cm$ 정도로 비교적 얕은 편이었다. 또한 전형적인 갈색 산림토양을 나타내고 있고 일부 아카시나무 조림지는 층위의 구분이 불분명한 미숙 토양으로 나타났다. 의성군 지역의 임지환경에 따른 주요조림 수종의 생장특성은 낙엽송의 경우 성재재적이 가능한 흉고직경 6cm에 도달하는 기간이 최소 5년에서 9년 정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년생장량이 현격히 떨어지는 시기는 수령이 17년에서 19년 사이에 떨어지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북사면에서 동사면이나 북동사면에 비하여 연륜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의 경우 서사면과 동북사면에서 연륜폭의 변화가 적고 고른 반면 남사면과 동사면에서는 연륜의 변화폭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비슷한 수령과 토양에서 사면방향이 다른 차이만으로도 연륜폭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성재재적에 이르는 시기는 $7\~9$년 정도에 가능하며 연년생장율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것도 19년 내외가 되면 연년생장율이 $10\%$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무에 있어서 연륜폭은 전체적으로 사면 특성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현재 까지 특별한 간벌이 없는 관계로 점진적으로 연년생장량이 감소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북동사면과 남서사면간의 비교에서는 연륜폭 변화가 서사면과 동사면의 비교에 비하여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성재재적에 이르는 시기는 입지에 상관없이 6년 정도 소요되면 연년생장량은 약 19년 전후에 연년생장율이 $10\%$이하로 떨어져서 생육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리나무에 있어서는 임지내에서 계곡부와 산록부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서 상수리나무 또한 토양이 비교적 비옥하고 보습성이 높은 계곡부에서 연륜의 변화가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년생장량 또한 비교적 시계열적으로 떨어지면 조림 후 17년 전후해서 $10\%$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카시나무는 사면방향에 따른 변이보다는 기후 등의 영향으로 연륜폭 변화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북서사면과 북동사면 사이에 연륜폭 변화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요 조림수종은 성재재적이 되는 흉고직경 6cm에 이르는 시기가 최소 5년에서 9년 정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며, 연년생장량이 현격히 떨어지는 시기는 수령이 13년에서 19년 사이에 일어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엽송의 경우 사면방위에 따라 조림의 성공과 생육이 결정되며 리기다소나무와 잣나무는 사면방위, 기후가 영향을 미치며, 조림 후 임지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상수리나무, 아카시나무 등의 활엽수종에서도 자연발생적인 임지라 하더라도 임지의 관리를 통한 충분한 보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남 편백림에서의 입지환경요인과 연륜생장량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ite Environmental Factors and Tree Ring Growth in Chamaecyparis obtusa Stands in Jeonnam Province)

  • 박석곤;유한춘;오찬진;최우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77-784
    • /
    • 2015
  •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 조림된 편백림을 대상으로 출현종의 개체수 및 종다양성 등의 식생요인과 토양요인의 상관성을 밝히고, 편백의 연륜생장량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편백림의 식생요인과 토양요인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종다양성지수와 CEC 유효인산 치환성 $K^+$사이에서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또한, 출현종수와 CEC 유효인산 치환성 $K^+$ 치환성 $Mg^{2+}$ 사이에서도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편백의 연륜생장량과 입지환경요인간 상관관계 분석에서 연륜생장량은 유효인산, CEC, 치환성 $K^+$, 전기전도도 등 토양의 보비력 및 비옥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편백 연륜생장량의 설명변수는 치환성 $K^+$과 유기물함량, 토양산도며, 회귀모형의 설명력($R^2$)은 74.4%로 높은 수준이었다. 이 모형에서 편백의 연륜생장량은 치환성 $K^+$과 유기물함량이 높을수록 늘어났지만, 토양산도는 낮을수록 줄어들었다. 따라서, 편백의 연륜생장량은 유효인산 CEC 치환성 $K^+$ 전기전도도 등의 토양지력이 유효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편백림의 토양지력은 편백의 하층식생으로부터의 낙엽공급이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Tree-Ring Analysis for Understanding Growth of Larix kaempferi

  • Jeong-Deok JU;Chang-Seob SHIN;Jeong-Wook SE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345-357
    • /
    • 2023
  •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tem analysis to trace growth information of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and predict the future changes in growth volume. For this purpose, six L. kaempferi trees over 47 years old were cut at 1-2 m intervals from a height of 0.2 m, and circular plates of 5 cm thickness were collected for stem analysi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approximately 1-8 years are required to grow up to chest height. The annual height and diameter growth increased rapidly until the trees are 15 years old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20 years. The volume of 30-year-old trees in Oegam-ri forests, which were well-managed after artificial reforestation, was 0.4837 m3, whereas that in unmanaged Singi-ri forests was 0.1956 m3. Although the volume of individual trees differed greatly depending on the forest management status, it was found that the volume increased by 1.67-1.76, 2.49, and 3.49 times at 40, 50, and 60 years age,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legal harvesting age 30. Therefore, factors such as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effect, forest management benefits, and the condition of trees at the site should be considered before harvesting trees.

지형적 특성에 따른 월악산 신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and Tree-Ring Growths of Mongolian Oaks with Various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Mt. Worak, Korea)

  • 서정욱;박원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6-45
    • /
    • 2010
  •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factors (monthly mean temperature and total precipitation) and tree-ring growths of Quercus mongolica Fischer (Mongolian oak) with different topographic sites in Mt. Worak, more than 10 trees were selected from each of seven stands. Two cores from each tree were measured for ring width. After crossdating, each ring-width series was double standardized by fitting first a negative exponential or straight regression line and secondly a 60-year cubic spline. Seven stands were categorized in two groups using cluster analysis for tree-ring index patterns. Cluster I (four stands) was located in higher elevation (550-812 m) with aspects of east, west and northwest, and cluster II (three stands) was located in rather lower election (330-628 m) with aspects of north and northwest. The aspects of two clust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sponse-func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sponse to March precipitation for both clusters. It indicates that moisture supply during early spring season is important to radial growth because the cambial growths of ring-porous species, such as Mongolian oak, start before leaf growth. Cluster II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precipitation of middle and late growing season, t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