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maximum daily rainfall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8초

L-모멘트법을 이용한 한강유역 일강우량자료의 지역빈도해석 (Frequency Analysis of Daily Rainfall in Han River Basin Based on Regional L-moments Algorithm)

  • 이동진;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19-13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1일, 2일, 3일 연최대강우자료를 대상으로 L-모멘트법을 이용한 지점 빈도해석과 지역 빈도해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지역빈도해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한강유역을 남한강, 북한강, 한강하류부 유역의 3개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각 유역에 대한 자료의 이산도 및 동질성을 검토하였으며, 각 소유역에 대하여 여러 분포형을 적용한 결과, 남한강유역과 한강하류부 유역은 lognormal 분포형, 북한강 유역은 gamma-3 분포형이 적정분포형으로 선정되었다. 지역빈도해석과 지점빈도해석을 통하여 선정된 확률분포형을 이용, Monte Carlo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재현기간에 따른 상대편의와 상대제곱근 오차를 산정하였다. 지역빈도해석과 지점빈도해석을 비교한 결과 상대제곱근오차에 있어서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한 경우가 지점빈도해석에 비해 그 결과가 우수하였으며, 재현기간이 커질수록 그 차이는 현저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강유역의 강우량에 대해서 지역빈도해석 수행함이 지점빈도해석에 비해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PDF

일강우자료를 이용한 강우사상의 변동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Change Analysis of Rainfall Events using Daily Rainfall Data)

  • 오태석;문영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11호
    • /
    • pp.933-951
    • /
    • 2009
  •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우리나라의 물순환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강우는 여러 기상인자들과 복잡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발생한다. 따라서 강우는 물순환 과정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 인자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여러 시계열 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강우의 발생 시계열을 연별, 계절별 및 월별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시계열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변동성 분석과 경향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최근 10년 동안에 강우특성의 변화에 대한 상대오차를 계산하여 과거 자료들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강우자료의 고유 특성인 무작위성에 의하여 뚜렷한 통계적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최근 10년간 강우량은 증가하였으며, 강우일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계절별과 월별에 따른 강우특성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후정보와 지리정보를 결합한 계층적 베이지안 모델링을 이용한 재현기간별 일 강우량의 공간 분포 및 불확실성 (Spatial distribution and uncertainty of daily rainfall for return level using hierarchical Bayesian modeling combined with climate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 이정훈;이옥정;서지유;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0호
    • /
    • pp.747-757
    • /
    • 2021
  • 극한 강우의 정량화는 홍수방어계획의 수립에 대단히 중요하며 극한 강우의 일반적인 척도는 T-년 재현기간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정보와 지리정보가 결합된 계층적 베이지안 모형을 이용하여 재현기간별 일 강우량의 공간 분포 및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서울-인천-경기 지역에 적용하였다. 한국 기상청에서 운영 중인 서울-인천-경기 지역의 6개 종관기상관측소의 연 최대 일 강우량이 일반화된 극치 분포에 적합되었다. 지점 빈도해석과 지수 홍수법을 이용한 지역 빈도해석으로부터 도출된 재현기간별 일 강우량과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적용성 및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모든 지점과 모든 재현기간에서 지수홍수법에 의한 지역 빈도해석의 불확실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층적 베이지안 모형에 의한 지역 빈도해석의 신뢰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서울-인천-경기 지역 및 공간적인 크기가 유사한 다른 지역에서 다양한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 지도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츠꾸이 선상지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오염에 대한 수문지구화학적 연구 (Hydrogeochemical Environmental Research in Nitrate Contamination in Alluvial Fan Area Groundwater in Tsukui, Central Japan)

  • Okazaki, Masanori;Ham, Young-Sik
    • 생태와환경
    • /
    • 제37권4호통권109호
    • /
    • pp.431-435
    • /
    • 2004
  • 이 연구는 일본의 카나가와현 츠꾸이에 위치하고 있는 선상지에서 지하수 수질을 조절하는 요인들을 평가하기 위해 질산성 질소에 의해 오염된 지하수를 수문지구화학적으로 조사하였다. 2003년 월별 지하수의 수위는 강우에 의해 크게 증감하였지만, 지하수 내의 질산성 질소 농도는 약간의 변화만을 보여주었다. 뿐만아니라 년중 대부분 지하수 수질 기준의 최고 오염 수준 $10mgL^{-1}$을 초과하였다. 2003년 1년간 지하수의 재충전량은 1,730mm(지하수 수위의 일 증가의 년간 총합인 20,056mm와 일별 감소량의 년간 총합인 18,326mm의 차이)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하수 수위의 일별 증가량의 년간 총합(20,056mm)은 년간 강우량보다 약 10배 이상 높았다. 더욱이 일별 감소량의 년간 총합(18,326mm)은 많은 양의 지하수가 질산성 질소 오염과 함께 방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상당히 높은 질산성 질소를 보유한 강우가 있은 후, 선상지를 통해 많은 양의 지하수 유출입이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산림지대를 포함한 이 선상지에서는 '질소 과잉' 또는 '질소 포화' 라고 하는 상태를 반영하고 있다. 많은 양의 지하수 방출은 지표수에서 질산성 질소의 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수문지구화학적 자료가 수질관리에 유용하길 기대한다.

홍수피해유형별 홍수 위험 지수 적용성 분석 (Analysis of the Applicability of Flood Risk Indices According to Flood Damage Types)

  • 김묘정;김광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29-3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IPCC에서 제시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이론, OECD에서 개발한 PSR 모형, EEA에서 개발한 DPSIR 모형을 활용하여 산정된 홍수위험지수들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홍수위험지수 산정을 위하여 세부 지표로 일 최대 강수량, 1시간 최대 강수량, 10분 최대 강수량, 연평균 강수량, 1일 강수량이 80mm 초과한 일수, 인구 밀도, 자산 밀도, DEM, 도로연장, 하천개수율, 유수지용량, 하수도 보급률, 배수펌프시설 등의 2000년에서 2015년도 자료를 정규화하여 전국 113 중권역 단위로 구축하였다. 산정된 홍수위험지수는 4개의 홍수피해유형 즉 인명피해, 피해면적, 피해액, 피해빈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홍수위험지수와 피해유형별 상관분석 결과 피해액, 인명피해 및 피해면적에 대해서는 PSR 기법이, 홍수발생빈도에 대해서는 DPSIR 기법에 따른 지수의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 강우량의 모의 발생을 통한 갈수유량 계열의 산정 및 빈도분석 (Low Flow Frequency Analysis of Steamflows Simulated from the Stochastically Generated Daily Rainfal Series)

  • 김병식;강경석;서병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265-27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Markov 연쇄 모형에 의해 산정된 모의 일 강우량을 일 유출모형인 Tand 모형에 입력시켜 모의 일유출량을 산정함으로써 저수유량계열을 확장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모의된 일 유량계열로부터 지속기간별 연 최저치 계열을 작성하였으며, 지속기간별 연 최저치계열에 대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분포형은 Lognormal-2, Lognormal-3, Gamma-2, Gamma-3, LogGamma-3, Gumbel-2, Weibull-2 분포이었으며, 모수추정은 모멘트법과 최우도법을 사용하였다. Kolmogorov - Sminorv 검정방법으로 지속기간별 연 최저치 계열에 적합한 확률분포형을 결정하고, 용담댐 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지속기간별 갈수 빈도곡선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면 과거 저수 유량계열의 통계적 특성을 잘 나타내는 일 유량의 모의가 가능 하여, 갈수유량계열 자료가 빈곤한 유역에서 확률 갈수량을 추정하는데 유용하리라고 판단된다.

  • PDF

고속도로 노면 강우유출 오염부하 원단위 산정 (Analysis of Unit Pollution Load on Highway runoff)

  • 강희만;이두진;배우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5-68
    • /
    • 2012
  • Impervious surface increase due to urbanization,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pavement increased the runoff coefficient, peak flow, and reducing the infiltration flow and thereby causing flooding and river erosion is occurring in aquatic ecosystems are known to impair.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use type of detailed land into the road, reststop, tollgates and etc. focused on major domestic highway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runoff pollutants and to calculate applicable unit pollution load. Because of high runoff coefficient and short travel time to drainage. first flush occurred clearly. Average EMCs of runoff in the highway was investigated as TSS 108.47 mg / L, COD 28.16 mg / L, BOD 13.61 mg / L, TN 6.38 mg / L, TP 0.03 mg / L, Cu 118.17 ${\mu}g$ / L, Pb 345.3 ${\mu}g$ / L, Zn 349.47 ${\mu}g$ / L. Unit pollution loads calculated by detailed land use area of highways based on average annual rainfall, EMCs, applicable basin areas and etc. were 46.6 kg/km2/day of BOD, 1.4 kg/km2/day of TP, 8.81 kg / km2/day of TN and these were BOD 50.8%, TP 66.7%, TN 64.4%in comparison of the unit pollution loads which applies fallow land standards of the TMDL(Total Maximum Daily Load). It was considered that discharged loads can be excessively calculated in case highway non-point management plans based on unit pollution load of the current land standard.

『각사등록』에 의한 조선시대 경상도지역 측우기 강우량자료 복원 및 분석 (Restoration and Analysis of Chugugi Rainfall Data in 『Gaksadeungnok』 for the Gyeongsang-do during the Joseon Dynasty)

  • 조하만;김상원;박진;전영신
    • 대기
    • /
    • 제24권4호
    • /
    • pp.481-489
    • /
    • 2014
  • The Chugugi and Wootaek data of Gyeongsang-do (Dagu, Jinju, Goseong) were restored from "Gaksadeungnok", the governmental documents reported by the local government to the central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analyzed. The duration of the restored data represents 6 years for Daegu (1863, 1872, 1890, 1897, 1898, and 1902), 3 years for Jinju (1897, 1898, and 1900), and 2 years for Goseong (1871 and 1873). Total number of the restored data was 134, including 83 in Daegu, 25 in Jinju, and 26 in Goseong with the period ranging from March to September. The summer data from June to August accounts for approximately 50% (73 data), while the April data also shows relatively high number of 22, followed by September and March. Most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to October, while this time winter data was not found even in October. The rainfall patterns using Chugugi data were investigated. First, the number of days with rainfall by annual mean showed 41 days in Daegu, 39 in Jinju, 33 in Goseong,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time series distribution of daily rainfall, the ratio between the number of occurrences with over 40 mm of heavy rainfall and the number of rainy days showed 14 times (8%) in Daegu, 24 (39%) in Jinju, and 4 (6%) in Goseong, respectively. The maximum daily rainfall during the period was recorded with 80mm in Jinju on August 24, 1900. The result of analyzing monthly amount of rainfall clearly indicated more precipitation in summer (June, July and August) with the relatively high records of 284 mm and 422 mm in April, 1872 and July, 1902, respectively, in Daegu, while Jinju recorded the highest value of 506 mm in June, 1898. When comparing the data with those observed by Chugugi in Seoul during the same period from "Seungjeongwonilgi", the monthly rainfall patterns in Daegu and Seoul were quite similar except for the year of 1890 and 1897 in which many data were missing. In particular, in June 1898 the rainfall amount of Jinju recorded as much as 506 mm, almost 4 times of that of Seoul (134 mm).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there was a large amount of the precipitation in the southern region during 1898.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of Wootaek data based on Chugugi observations, the unit of 1 'Ri' and 1 'Seo' in Daegu can be interpreted into 18.6 mm and 7.8 mm.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with the previous result found in Gyeonggi-do (Cho et al., 2013), 1 'Ri' and 1 'Seo' may be close to 20.5 mm and 8.1 mm, however, more future investigations and studies will be essential to verify the exact values.

비점오염 발생 원단위 산정방법에 대한 고찰 - 논 비점오염 원단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s of Nonpoint Pollutant Unit Load - Focus on Nonpoint Pollutant Unit Load in Paddy Field -)

  • 최동호;최순군;김민경;허승오;홍성창;엽소진;윤광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3호
    • /
    • pp.15-22
    • /
    • 2019
  • In order to preserve water environment, Total Maximum Daily Load(TMDL) is used to manage the total amount of pollutant from various sources, and the annual average load of source is calculated by the unit load method. Determination of the unit load requires reliable data accumulation and analysis based on a reasonable estimation method. In this study, we propose a revised unit load estimation method by analyzing the unit load calculation procedure of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NIER) method. Both methods were tested using observed runoff ratio and water quality data of rice paddy fields. The estimated values with the respective NIER and revised NIER methods were highly correlated each other. However, the Event Mean Concentration(EMC) and the runoff ratio considered in the NIER method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rainfall classes, and the difference in unit load increases as the runoff and EMC increase. The error can be further increased when the EMC and runoff ratio are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in rainfall patterns by climate change and change of agricultural activiti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calculate unit load by applying the revised NIER method reflecting the non point pollution runoff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rainfall classes.

ODA사업을 통한 미계측 중소하천 유역 홍수예경보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f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in the un-gauged small and medium watershed through ODA)

  • 고덕구;이치헌;전제복;고석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381-393
    • /
    • 2021
  •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재난안전 신기술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일환으로 2019년 라오스 볼리캄싸이주 남싼강유역의 보리칸을 대상으로 홍수예경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미계측 중소하천유역인 대상 지역에 강우량와 유출량의 실시간 관측을 위한 관측소 및 경보국을 설치하였으며, 실시간 자료 관리와 홍수예경보 기능 등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도 개발되었다. 홍수경보 기준 설정 및 홍수예측을 위한 nomograph 개발을 위해 대상 지역의 30년 치 연도별 최대 일강우량자료와 하천측량성과를 바탕으로 수리·수문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시스템 구축 과정과 방법론을 소개하고, 시스템 설치 후 2020년 실시간 관측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수행한 시스템의 적용성 검토 결과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