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energy production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34초

해상 풍력발전의 경제성 분석 (Estimation of Cost of Energy for Offshore Wind Turbines)

  • 정태영;문석준;이한민;임채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7.1-177.1
    • /
    • 2010
  • Large offshore wind farms have actively been developed in order to meet the needs for wind energy since the land-based wind farms have almost been fully developed especially in Europe. The key problem for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wind farms may be on the high cost of energy compared to land-based ones. NREL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has developed a spreadsheet-based tool to estimate the cost of wind-generated electricity from both land-based and offshore wind turbines. Component formulas for various kinds and scales of wind turbines were made using available field data. Annual energy production has been estimated based on the Weibull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wind. In this paper, this NREL estimation model is introduced and applied to the offshore wind turbines now under designing or in production in Korea, and the result is discussed.

  • PDF

부남군도에서의 조류발전단지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idal Current Farm in the Bunamgun-do)

  • 양창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5-92
    • /
    • 2013
  • 최근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감축하는 세계적 추세와 함께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2012년부터는 500 MW 이상의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사업자는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의 적용을 받는다. 조류자원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이며, 이러한 조류자원은 매우 크지만 제한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조류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술적, 경제적인 측면의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부남군도 해역에 부존하는 조류자원 실용화 기술개발을 위하여 조류에너지원에 대한 자료수집 등의 현황분석과 수치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등을 통하여 조류에너지 분포도를 조사하고 이용 가능한 연간 에너지 생산량을 산정, 조류발전기를 모듈화 하여 최적의 조류발전단지 구성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강원권 및 동남권 지역의 파력발전 잠재성 평가 (Assessment of Wave Power Potential in the Kangwon and Dongnam Regions, Korea)

  • 장미향;최요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91-10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강원권 및 동남권에 해당하는 동해와 남해일부 해역을 대상으로 파력발전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서 기대할 수 있는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지역 해역에 750kW급 파력발전기 28대를 설치하는 것을 가정하고,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의 NWW3(Noaa Wave Watch III) 모델로부터 구축된 평균 유의파고 및 첨두파주기 자료와 스텐포드 대학과 미네소타 대학이 공동 개발한 InVEST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연간 전력 생산량과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지역에서의 발전 전력량은 최대 1,207MWh/year, 최소 163MWh/year로 산정되었으며, 연안보다는 육지로부터 먼 해역으로 갈수록 발전 전력량이 점차 증가하는 공간적 분포 패턴을 보였다. 파력발전 시스템의 운영기간을 25년으로 가정하고 시스템 도입을 위해 투입되는 비용과 생산되는 전력의 판매 수익을 함께 고려하여 순현재가치(NPV)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파력발전 시스템으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해저 케이블과 강원권과 동남권 지역의 해안가에 위치한 10개의 발전소들의 설비를 이용하여 내륙으로 공급할 경우에는 NPV가 최대 5,882달러(약 6,600천원), 최소 -63,494달러(약 -71,000천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파력발전 시스템으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울릉도와 독도의 전력망으로 공급할 경우, 해저 케이블 설치를 위해 투입되는 초기 비용이 크게 줄어들어 울릉도, 독도 인근 해역에서 NPV 값이 최대 28,095달러(약 31,600천원)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력 판매단가가 증가할수록 동해상의 NPV의 손익분기선이 육지 쪽으로 가까워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울릉도, 독도 인근 해역에서는 전력 판매단가가 현재 수준보다 100원 상승할 경우 NPV 값이 최대 88,158달러(약 99,000 천원)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MERRA 재해석 자료를 이용한 복잡지형 내 풍력발전단지 연간에너지발전량 예측 (Prediction of Annual Energy Production of Wind Farms in Complex Terrain using MERRA Reanalysis Data)

  • 김진한;권일한;박웅식;유능수;백인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82-90
    • /
    • 2014
  • The MERRA reanalysis data provided online by NASA was applied to predict the annual energy productions of two largest wind farms in Korea. The two wind farms, Gangwon wind farm and Yeongyang wind farm, are located on complex terrain. For the prediction, a commercial CFD program, WindSim, was used. The annual energy productions of the two wind farms were obtained for three separate years of MERRA data from June 2007 to May 2012,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values listed in the CDM reports of the two wind farms. As the result, the prediction errors of six comparisons were within 9 percent when the availabilities of the wind farms were assumed to be 100 percent. Although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he MERRA reanalysis data seem useful tentatively to predict adjacent wind resources when measurement data are not available.

HeMOSU-1호 관측풍속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서남해안의 풍력 발전량 예측 (Prediction of Wind Power Generation at Southwest Coast of Korea Considering Uncertainty of HeMOSU-1 Wind Speed Data)

  • 이기남;김동현;권오순
    • 신재생에너지
    • /
    • 제10권2호
    • /
    • pp.19-28
    • /
    • 2014
  • Wind power generation of 5 MW wind turbine was predicted by using wind measurement data from HeMOSU-1 which is at south west coast of Korea. Time histories of turbulent wind was generated from 10-min mean wind speed and then they were used as input to Bladed to estimated electric power. Those estimated powers are used in both polynominal regression and neural network training. They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for daily production and yearly production. Effect of mean wind speed and turbulence intensity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nd discussed. This technique further can be used to assess lifetime power of wind turbine.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의 섭식양과 성장양으로부터 에너지 대사의 추정 (Estimation of Energy Budget from Food Consumption and Growth of Hexagrammos agrammus)

  • 김종관;장창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1-126
    • /
    • 1998
  • 본 연구는 von Bertalanffy의 성장식과 섭식양을 이용하여 자연조건하에서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의 에너지 대사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이며, 표본은 부산 동백섬 연안과 삼천포 신수도 연안에서 채집된 것이다. 에너지 대사 모델은 섭식양, 함장양, 흡수양, 동화양, 이화양, 배설양, 불소화배출양 등으로 구성된 표준화된 에너지 수지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에너지 대사의 구성요소별 측정단위는 열량단위가 아닌 중량단위로서 나타내 었다. 노래미에 의해 섭식된 연간섭식양이 에너지 대사의 구성요소별 배분되는 양 또는 을은 어체의 연령에 따라 달랐다. 에너지 대사의 구성요소별 추정값을 연령군별로 비교한 결과, 연간배설양은 어체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어체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연령군별 평균체중 (W)과 연간흡수양($A_b$) 및 연간리화양(R) 간에는 각각 $A_b=4.592W^{0.666}$의 비선형과 R=0.007+0.567W의 선형관계가 있었고, 연간섭식양 (C)과 연간동화양 (A) 및 연간리화양 간에는 각각 A=-7.026+0.061C와 R=-20.749+0.048C의 선형관계가 있었다.

  • PDF

발전용 연료전지 형식에 따른 균등화 발전비용 분석 (Analysis of 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for Type of Stationary Fuel Cells)

  • 이동근;이스라엘;배용균;김영상;안국영;이선엽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643-659
    • /
    • 2022
  • For the economic analysis of fuel cells, 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ype, capacity, and annual production of the fuel cells. The cost of every component was calculated through the system component breakdown. The direct cost of the system included stack cost, component cost, assembly, test, and conditioning cost, and profit markup cost were added. The effect of capacity and annual production was analyzed by fuel cell type.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stack life, capital cost, project period, and fuel cost. As a result, it was derived how much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fuel cell improves as the capacity increases and the annual production increases.

충북 월악산 지역 48년생 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량 (Biomass and Energy Content of Pinus densiflora Stand in Mt. Wolak, Chungbuk Province)

  • 이돈구;김영수;권기철
    • 임산에너지
    • /
    • 제25권1호
    • /
    • pp.24-30
    • /
    • 2006
  • 충북 월악산 동사면(해발 300m)에서 48년생 소나무 천연림의 바이오매스와 연간 순생산량을 추정한 결과, 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는 줄기부 87.3 ton/ha, 가지부 41.43 ton/ha, 잎 9.41 ton/ha로서 지상부 전체가 138.14 ton/ha로 추정되었으며, 연간 순생산량은 줄기부 5.3 ton/ha/yr, 가지부 2.93 ton/ha/yr, 잎 2.62 ton/ha/yr로서 지상부 전체 10.85 ton/ha/yr로 추정되었다. 또한 소나무림 지상부의 에너지량은 2,981 GJ/ha, 연간 에너지 고정량은 239 GJ/ha/yr로 나타났다. 한편, 월악산 지역 소나무림의 엽면적지수는 6.58로 나타났다.

  • PDF

경기도 광주 지역 36년생 리기다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량 (Biomass and Energy Content of Pinus rigida Stand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 권기철;이돈구
    • 임산에너지
    • /
    • 제25권1호
    • /
    • pp.39-45
    • /
    • 2006
  • 경기 태화산 북서사면(해발 250m) 36년생 리기다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는 수간 목부 166.1ton/ha, 수간 수피부 22.4ton/ha, 가지 51.9ton/ha, 고사지 16.0ton/ha, 당년생 잎 3.8ton/ha, 전년생 잎 6.6ton/ha, 구과 1.3ton/ha로서 지상부 252.0ton/ha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순생산량은 수간 목부 15.4ton/ha/yr, 수피 1.7ton/ha/yr, 가지 5.2ton/ha/yr, 당년생 잎 3.8ton/ha/yr, 구과 1.3ton/ha/yr, 지상부 27.4ton/ha/yr로 추정되었다. 리기다소나무림 지상부의 에너지량은 5,434GJ/ha, 연간 에너지 고정량은 597GJ/ha/yr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림의 광합성부는 지상 5.2m부터 시작되고 최대 광합성부는 지상 11-13m 사이의 높이에 나타났다.

  • PDF

Can cities become self-reliant in energy? A technological scenario analysis for Kampala, Uganda

  • Munu, Nicholas;Banadda, Nobl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19-225
    • /
    • 2016
  • Energy self-reliance is important for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for any nation. An energy self-reliance technological analysis for Kampala the capital city of Uganda is presented. Three renewable energy sources: Municipal Solid Waste (MSW), solar and wind are assessed for the period of 2014 to 2030. Annual MSW generation will increase from $6.2{\times}10^5$ tons in 2014 to $8.5{\times}10^5$ and $1.14{\times}10^6$ tons by 2030 at 2% and 3.9% population growth respectively. MSW energy recovery yield varies from 136.7 GWh (2014, 65% collection) to 387.9 GWh (2030, 100% collection). MSW can at best contribute 2.1% and 1.6% to total Kampala energy demands for 2014 and 2030 respectively. Wind contribution is 5.6% and 2.3% in those respective years. To meet Kampala energy demands through solar, 26.6% of Kampala area and 2.4 times her size is required for panel installation in 2014 and 2030 respectively. This study concludes that improving renewable energy production may not necessarily translate into energy self-reliant Kampala City based on current and predicted conditions on a business as usual energy utilization situation. More studies should be done to integrate improvement in renewable energy production with improvement in efficiency in energy uti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