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sotropic network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7초

A Novel Range-free Localization Algorithm for Anisotropic Networks

  • Lee, Jae-Hun;Chung, Woo-Yong;Kim, Eun-Tai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1권4호
    • /
    • pp.223-228
    • /
    • 2011
  • In this paper, a novel range-free localization algorithm for anisotropic networks is proposed. In the proposed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ven network are considered and each sensor node estim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hop counts and the geographical distances. Unlike most of the previous localization algorithms,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well not only in the isotropic network but also in the anisotropic networks.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both isotropic and anisotropic network topologies and th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ethod exhibits excellent and robust performances.

Strain hardening behavior of linear polymer melts

  • Hong Joung Sook;Ahn Kyung Hyun;Lee Seung Jong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213-218
    • /
    • 2004
  • Linear high-density polyethylene (PE) was controlled to induce strain-hardening behavior by introducing a small amount of second component with an anisotropic structure. In order to form an anisotropic structure in the PE matrix, the polymer was extruded through a twin-screw extruder, and the structure was controlled by varying the extrusion conditions. Depending on conditions, the second component formed a film, thread and droplet structure. If the second component was kept rigid, the morphology evolution could be delayed and the second component could maintain its film or thread structure without further relaxation. In par­ticular, the second component of the thread structure made a physical network and gave rise to remarkable strain hardening behavior under high extension. This study suggests a new method that induces strain hard­ening behavior by introducing a physically networked second component into the linear polymer melt. This result is anticipated to improve the processibility of linear polymers especially when extensional flow is dominant, and to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strain hardening behavior.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하공동 주변의 지하수 유동특성 해석 (Groundwater Flow Characterization in the Vicinity of the Underground Caverns by Groundwater Level Changes)

  • 강재기;양형식;김경수;김천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3권6호
    • /
    • pp.465-475
    • /
    • 2003
  • 본 논문은 지하공동이 건설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공동내 지하수 유입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영국의 AEA Technology에서 개발한 NAPSAC과 NAMMU를 이용하여 수치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이것은 3차원의 파쇄된 매질에서 지하수 유동에 대하여 아주 유효한 유한요소 소프트웨어 패키지이다. 모델링에 사용된 입력자료는 지표조사, 시추조사, 단일공 수리시험 자료 등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공동내 지하수 유입량을 보다 정확히 산출하기 위하여 이방성 수리전도도를 고려하였으며 이방성 수리전도도값은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균열체계의 확률적 분포특성이 반영된 균열망에서 역산되었다. 연속체 개념의 수치모델링을 통하여 평수기, 갈수기와 풍수기시의 지하 공동내 유입량, 유동시간, 유동경로의 변화를 계산하였다.

그룹 기반의 DV-HoP 무선 센서네트워크 위치측정 알고리즘 (Group based DV-Hop localization Algorithm in Wireless Sensor Network)

  • 김화중;유상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A호
    • /
    • pp.65-75
    • /
    • 2009
  • 무선 센서 네트워크(WSN: Wireless Sensor Network) 환경에서 사건의 탐지(event detection)와 라우팅(routing), 정보추적(information tracking)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센서노드의 위치를 측정하는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DV-Hop 알고리즘은 멀티 홉에서 얻어지는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를 측정하며 비교적 적은 앵커로도 구현이 가능하지만 보다 정밀한 위치측정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존재한다. 그러한 요인 중 하나로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홉 간 거리가 여러 앵커 노드로 부터의 홉 간 거리의 평균값으로 계산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홀(Hole)과 같은 장애물에 의한 홉 수의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미지노드와 앵커사이에 거리 값 계산의 오차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DV-Hop 알고리즘의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 가능한 그룹기반DV-Hop(GDV-Hop)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그룹 기반 DV-Hop 알고리즘은 다양한 비컨의 라우팅 경로에 의한 위치오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불필요한 비컨전송의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센서네트워크 응용을 위한 AMR 자기센서의 공간적 출력 신호 모델링 연구 (A Study of Spatial Model for AMR Magnetometer In Wireless Sensor Network)

  • 김기태;김건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953-954
    • /
    • 2008
  • Wireless Sensor Network (WSN) surveillance applications usually employed magnetometer for recognizing the ferrous objects. Novel magnetic sensing model which includes azimuth parameter is suggested to understand the anisotropic characteristic of magnetic field through numerous outdoor experiments.

  • PDF

Effect of packing structure on anisotropic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thin ceramic pebble bed

  • Wang, Shuang;Wang, Shuai;Wu, Bowen;Lu, Yuelin;Zhang, Kefan;Chen, Hongl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7호
    • /
    • pp.2174-2183
    • /
    • 2021
  • Helium cooled solid breeder blanket as an important blanket candidate of the Tokamak fusion reactor uses ceramic pebble bed for tritium breeding. Considering the poor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eramic breeder pebble bed, thin structure of tritium breeder pebble bed is usually adopted in the blanket design. The container wall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thin pebble bed packing structure, especially for the assembly of mono-sized particles, and thin pebble bed will appear anisotropic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phenomenon. In this paper, thin ceramic pebble beds composed of 1 mm diameter Li4SiO4 particles are generated by the EDEM 2.7.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different thickness pebble beds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s are analyzed by three-dimensional thermal network method. It is observed that thin Li4SiO4 pebble bed showing anisotropic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under the practical design size. Normally,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along the bed vertical direction is higher than the horizontal direction due to the gravity effect. As the thickness increases from 10 mm to 40 mm,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ebble bed gradually increases.

비등방성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상 홀을 이용한 다중 홉 Range-Free 측위 알고리즘 (Multihop Range-Free Localization with Virtual Hole Construction in Anisotropic Sensor Networks)

  • 이상우;김선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1호
    • /
    • pp.33-4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비등방성 센서 네트워크에서 노드 간 연결 정보만을 이용하여 일반노드의 위치를 찾는 다중 홉 Range-free 측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측위 알고리즘에서 일반노드는 자신과 앵커노드 쌍이 이루는 최단경로의 측정 홉 수와 기대 홉 수를 비교하여 최단경로의 우회 정도를 측정하고, 우회 정도에 따라 자신으로부터 앵커노드까지의 거리를 추정한다. 일반노드는 이러한 과정을 네트워크의 모든 앵커노드 쌍에 대하여 반복하며, 획득한 거리 정보를 사용하여 위치를 추정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의 Range-free 알고리즘에 비해 적은 수의 앵커노드를 필요로 하며, 적은 통신 오버헤드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성능평가를 위하여 MATLAB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기존의 Range-free 측위 알고리즘에 비해 향상된 위치정확도를 보였다.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or a Reliable Localization Schem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Shahzad, Farrukh;Sheltami, Tarek R.;Shakshuki, Elhadi M.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8권5호
    • /
    • pp.796-805
    • /
    • 2016
  • In many wireless sensor network (WSN) application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an individual entity or node is of limited use without the knowledge of its location. Research in node localization is mostly geared towards multi-hop range-free localization algorithms to achieve accuracy by minimizing localization errors between the node's actual and estimated position. The existing localization algorithms are focused on improving localization accuracy without considering efficiency in terms of energy costs and algorithm convergence time. In this work, we show that our proposed localization scheme, called DV-maxHop, can achieve good accuracy and efficiency. We formulate the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unctions to minimize localization errors as well as the number of transmission during localization phase.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scheme using extensive simulation on several anisotropic and isotropic topologies. Our scheme can achieve dual objective of accuracy and efficiency for various scenarios. Furthermore, the recently proposed algorithms require random uniform distribution of anchors. We also utilized our proposed scheme to compare and study some practical anchor distribution schemes.

Tow waviness and anisotropy effects on Mode II fracture of triaxially woven composite

  • Al-Fasih, M.Y.;Kueh, A.B.H.;Abo Sabah, S.H.;Yahya, M.Y.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6권2호
    • /
    • pp.241-253
    • /
    • 2018
  • Mode II fracture toughness, $K_{IIC}$, of single-ply triaxially woven fabric (TWF) composite due to tow waviness and anisotropy effects were numerically and experimentally studied. The numerical wavy beam network model with anisotropic material description denoted as TWF anisotropic was first validated with experimental Mode II fracture toughness test employing the modified compact tensile shear specimen configuration. 2D planar Kagome and TWF isotropic models were additionally constructed for various relative densities, crack lengths, and cell size parameters for examining effects due to tow waviness and anisotropy. $K_{IIC}$ generally increased with relative density, the inverse of cell size, and crack length. It was found that both the waviness and anisotropy of tow inflict a drop in $K_{IIC}$ of TWF. These effects were more adverse due to the waviness of tow compared to anisotropy.

비등방성 네트워크에서 위치 추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향상된 Range-Free 위치 인식 기법 (A Novel Range-Free Localization Algorithm for Anisotropic Networks to enhance the Localization Accuracy)

  • 우현재;이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7B호
    • /
    • pp.595-605
    • /
    • 2012
  • DV-Hop 위치 인식 기법은 노드가 균일하게 배치된 등방성 토폴로지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이다. 노드 간 거리는 홉 수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환경에서 홉 당 평균 거리를 사용해서 노드 간 거리를 추정한다. 하지만, 노드의 배치가 균일하지 않아 노드 간 거리가 홉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DV-hop 기법의 위치 추정의 정확도는 상당히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노드의 배치가 불균일한 비등방성 네트워크에서도 위치 추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비등방성 네트워크에서는 노드 간 경로의 형태가 곡선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노드 간의 거리 추정을 위해 필요한 홉 당 평균 거리가 홉 수 별로 다르다. 이에 제안하는 알고리즘에서는 앵커노드가 홉 수 별로 홉 당 평균 거리를 구하고, 일반 노드는 이러한 정보를 각 앵커노드로부터 전달받아, 앵커노드와 떨어진 홉 수에 따라 다른 홉 당 거리를 사용해 보다 정확하게 위치를 추정하도록 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DV-Hop 알고리즘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