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onic exchange membrane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9초

Treatment of organic dye solutions by electrodialysis

  • Majewska-Nowak, Katarzyna M.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4권3호
    • /
    • pp.203-214
    • /
    • 2013
  • Laboratory tes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dye solution desalination by electrodialysis. The study involved anionic dye and mineral salt recovery by obtaining two streams from a salt and dye mixture - dye-rich solution and salt solution. A standard anion-exchange and cation-exchange membranes or monovalent selective anion-exchange membranes were used in the ED stack. It was found that the separation efficiency was strongly dependent on the dye molecular weight. The best results for standard ion-exchange membranes were achieved for the desalination of Direct Black solution. Furthermore, the obtained results implied that the application of monovalent selective anion-exchange membranes improved the recovery of dye and salt solutions - the dye concentration in the diluate remained constant irrespective of the molecular weight of anionic dyes, whereas the salt recovery remained very high (99.5%).

다공성 폴리에틸렌 막에 폴리에틸렌이민을 함침 시킨 음이온교환막의 제조 연구 (Preparation of Poly(ethylenimine) Anionic Exchnage Membrane Impregnated in Porous Polyethylene Membranes)

  • 박찬종;김일형;김성표;이학민;정성일;최호상;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1권1호
    • /
    • pp.91-9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polyethylene (PE) 이차전지용 격리막에 poly(ethylenimine) (PEI)을 함침시켜 isophthaloyl dichloride (IPC)을 이용한 가교반응 통하여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의 특성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함수율, 접촉각, FT-IR, 이온교환용량, 이온전도도 등을 측정하였다. PEI와 IPC의 반응은 아민과 -COCl기와의 반응으로 아마이드기가 생성된다. 이온교환용량의 경우 30초 반응에서 1.96 meq./g dry membrane부터 600초 반응으로 인한 1.14 meq./g dry membrane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온전도도의 경우 IPC와의 가교시간이 30초일 때 $9.15{\times}10^{-2}S/cm$의 높은 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 하전 모자이크 막과 이온교환 막의 전기적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on-Exchange Membrane and Charged Mosaic Membrane)

  • 양원강;송명관;조영석
    • 멤브레인
    • /
    • 제17권1호
    • /
    • pp.37-43
    • /
    • 2007
  • 크로노포텐시오미터(CP)와 전류-전압곡선(I-V)을 사용하여 음/양 이온 교환 층의 영향을 하전 모자이크 막에서 조사하였다. 역시 전해질과 음/양이온의 계면에서 이온수송을 실험하였다. 결과 음/양이온 교환 막은 전류범위에서 점점 전압강하가 나타났고, 특히 저 농도의 KCl 전위는 일정하였다. 한편 복합 하전 모자이크 막은 여러 전해질 수용액의 종류와 농도에 관계없이 전위의 변화는 없었다. CP와 I-V의 측정은 이온교환 막 계면에서 일어나는 이온수송에 대한 기초해석으로 대단히 유효하였다.

Removal of different anionic dyes from aqueous solution by anion exchange membrane

  • Khan, Muhammad Ali;Khan, Muhammad Imran;Zafar, Shagufta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8권3호
    • /
    • pp.259-277
    • /
    • 2017
  • Adsorption is a widely used technique for the removal of dyes from wastewaters by variety of adsorbents. In this work, the main focus is on the potential assessment of anion exchange membrane for the removal of different dyes using batch system and investigation of experimental data by applying various kinetic and thermodynamic models. The removal of anionic dyes i.e., Eosin-B, Eriochrome Black-T and Congo Red by anion exchange membrane BII from aqueous solution was carried out and effect of various parameters such as contact time, membrane dosage, temperature and ionic strength on the percentage removal of anionic dyes was studied. The experimental data was assessed by kinetic models namely pseudo-first-order, pseudo-second-order, Elovich liquid film diffusion, Bangham and the modified Freundlich models equation have been used to analyze the experimental dat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sorption of these anionic dyes on BII follows pseudo-second-order kinetics with maximum values of regression coefficient (0.992-0.998) for all the systems. The adsorption of dyes was more suitable to be controlled by a liquid film diffusion mechanism. The adsorptive removal of dye Eosin-B and Eriochrome Black-T were decreased with temperature and thermodynamic parameters such as free energy (${\Delta}G^o$), enthalpy (${\Delta}H^o$) and entropy (${\Delta}S^o$) for adsorption of dyes on membrane BII were calculated at 298 K, 308 K and 318 K. The values of enthalpy and entropy were negative for EB and EBT representing that the adsorption of these dyes on BII is physiosorptive and exothermic in nature. Whereas the positive values of enthalpy and entropy for CR adsorption on BII, indicating that its adsorption is endothermic and spontaneous in nature. It is evident from this study that anion exchange membrane has shown good potential for the removal of dyes from aqueous solution and it can be used as adsorbent for dues removal on commercial levels.

Speciation of Cd, Cu and Zn in Sewage Sludge-Treated Soils Incubated under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 Lee, Sang-Mo;Cho, Chae-Moo;Yoo, Sun-H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85-91
    • /
    • 1999
  • The incubation study was conducted under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to study the release of the kinetically labile forms (i. e. chelating ion or anion forms) of Cd, Cu and Zn in sludge-untreated soil ("Control"), sludge 50 and $100dry\;Mg\;ha^{-1}$ treated soils ("Soil-Sludge mixtures"), and sewage sludge ("Sludge"). The chelating ion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were embedded into the samples and incubated for 16 weeks under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 The total amounts of chelating ion or anionic forms of Cd were too little to be measured during both aerobic and anaerobic incubation. On the other hand, the total amounts of chelating ion or anionic forms of Cu and Zn slightly increased throughout the incubation period under both incubation conditions. For "Control" and "Soil-Sludge mixtures" treatments, the total amounts of Cu and Zn in chelating ion and anion exchange membrane were little difference between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 and the total amounts of chelating ion form of Cu and Zn were not different from the those of anionic form of Cu and Zn. However, for "Sludge" treatment, the total amounts of Cu and Zn in anion and chelating ion exchange membrane were greater under aerobic condition than under anaerobic condition, and the total amounts of chelating ion form of Cu and Zn were greater than those of anion form of Cu and Zn under both incubation conditions.

  • PDF

Acid green-25 removal from wastewater by anion exchange membrane: Adsorption kinetic and thermodynamic studies

  • Khan, Muhammad Imran;Ansari, Tariq Mahmood;Zafar, Shagufta;Buzdar, Abdul Rehman;Khan, Muhammad Ali;Mumtaz, Fatima;Prapamonthon, Prasert;Akhtar, Mehwish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9권2호
    • /
    • pp.79-85
    • /
    • 2018
  • In this work, batch adsorption of anionic dye acid green-25 (AG-25) from aqueous solution has been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using anion exchange membrane (DF-120B) as a noval adsorbent. The effect of various experimental parameters such as contact time, membrane dosage, ionic strength and temperature on the adsorption of dye were investigated. Kinetic models namely pseudo-first-order, pseudo-second-order, Elovich, liquid film diffusion, Bangham and modified freundlich models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experimental data. Parameters like adsorption capacities, rate constant and related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very model are calculated and discussed. It showed that adsorption of AG-25 onto DF-120B followed pseudo-first-order rate expression. Thermodynamic study indicates that adsorption of AG-25 onto DF-120B is an exothermic and spontaneous process.

비드와 섬유이온교환체 고정 PE 불균질 이온교환막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E Heterogeneous ion Exchange Membrane with Bead and Fibrous ion Exchanger)

  • 황택성;박명규;강경석
    • 폴리머
    • /
    • 제26권5호
    • /
    • pp.575-581
    • /
    • 2002
  • 본 연구는 폴리에틸렌 기재에 비드와 섬유상 이온교환체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불균질 이온 교환막을 제조하였다. PE 불균질 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능은 섬유강 이온교환체의 양이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30 wt%에서 최대 1.86 meq/g 이었다. 불균질 이온교환막의 함수율, 고정이온농도 및 이온운반율도 섬유상 이온교환체의 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나. 반면 불균질 이온교환막의 전기저항은 섬유상 이온교환체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IXF (ion exchange fiber)의 혼합량이 30 wt%에서 5$\Omega$/$\textrm{cm}^2$으로 전기저항 값이 가장낮았다.

역삼투막 표면에 음이온 고분자 코팅을 통한 파울링 현상 감소연구 (Study on the Fouling Reduction of the RO Membrane by the Coating with an Anionic Polymer)

  • 조은혜;정성일;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2권6호
    • /
    • pp.481-488
    • /
    • 2012
  • 폴리아마이드 역삼투막 표면에 음이온 수용성 고분자인 poly(vinyl amine)(PVAm)을 코팅한 후 오염물질인 bovine serum albumin (BSA), humic acid (HA), sodium alginate (SA)에 대하여 파울링 개선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PVAm의 코팅과 파울링 여부는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통해 관찰하였다. BSA, HA, SA 100 ppm 공급원액을 이용하여 2, 4, 8 bar로 압력을 변화시켜 투과성능실험을 수행한 결과 PVAm으로 코팅되지 않은 막과 코팅된 막 모두 압력증가에 따라 파울링 현상이 심화되었으나 PVAm으로 코팅된 막이 BSA, HA, SA의 경우 모두에서 약 30%이상 투과도가 향상되어 파울링 개선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A > SA > BSA의 순으로 파울링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HA의 경우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손상된 역삼투막의 in-situ 힐링을 통한 막 성능 복원 (Restoration of Membrane Performance for Damaged Reverse Osmosis Membranes through in-situ Healing)

  • 윤원섭;임지원;조영주
    • 멤브레인
    • /
    • 제29권2호
    • /
    • pp.96-104
    • /
    • 2019
  • 본 연구는 분리막 성능 저하로 기능을 상실한 역삼투막의 힐링을 통한 복원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손상된 막은 양이온고분자인 poly(styrene sulfonic acid) sodium salt (PSSA)와 음이온고분자인 polyethyleneimine(PEI)를 염석법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코팅했으며 또한 소재의 순서를 바꿔 코팅을 수행했다. 그리고 농도, 시간, 이온세기 등에 따라 코팅된 역삼투막의 투과도와 배제율을 측정하여 손상된 막으로부터 복원된 정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역삼투 평막에서 복원이 우수한 조건을 가정용 정수기 모듈에 적용하여 손상된 역삼투막 모듈에 또한 대하여 복원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로부터 PEI 30,000 ppm (IS = 0.1)/PSSA 20,000 ppm (IS = 0.7) 코팅 조건에서 역삼투막 모듈에 적용했을 때 염 배제율은 69%에서 86% (손상 전 모듈의 경우 90%)까지 복원되었다.

세공충진막을 위한 다공성 지지체 친수화 처리 (Hydrophilic Treatment of Porous Substrates for Pore-Filling Membranes)

  • 정다혜;이민영;박종혁;박예리;박진수
    • 전기화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1-7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세공충진막 제조를 위해 활용되는 다공성 지지체의 친수화 처리를 위해서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으며, 계면활성제 종류, 농도 및 함침 시간에 따른 친수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친수화 처리한 지지체를 이용하여 세공충진형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고 이온전도도를 비교하여 최적의 친수화 조건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경우에는 함침 적용 농도가 3.0 wt% 이상일 때 함침 초기부터 다른 농도(0.05, 0.5 및 1.0 wt%)에 비해 급격하게 친수화가 진행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에 비해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경우는 친수화 진행이 원활하지 않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친수화 정도와 음이온교환막의 이온전도도와의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러한 이유는 다공성 지지체의 친수화 공정 시 과도한 친수화 과정은 다공성 지지체의 소수 표면에 계면활성제가 과도하게 흡착하게 되어 기공률 감소가 커지게 되고 이를 통해 이온을 교환할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의 함량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막의 전기적 저항을 크게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