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le of bed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1초

위어 설치각도에 따른 흐름특성 및 하도 변화의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and Bed Changes Over Oblique Weirs)

  • 장창래;김기정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4호
    • /
    • pp.245-25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해 위어의 설치 각도 변화에 대한 위어 상하류에서 흐름특성 변화와 하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위어의 설치 각이 증가함에 따라 위어의 길이는 증가하지만, 위어의 유효길이는 감소하였다. 위어 상류에서는 유사가 퇴적되어 배수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델타가 발달하고, 하류로 이동하였다. 델타의 이동속도는 위어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하며, 크기는 증가하였다. 무차원 위어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무차원 사주의 파장이 감소하고, 무차원 사주의 파고는 증가하였다. 무차원 사주의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무차원 사주의 파고는 감소하였다.

ADCP 다중빔 수심계측자료의 위상학적 보정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Topological Correction Algorithms for ADCP Multibeam Bathymetry Measurements)

  • 김동수;양성기;김수정;정우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3-554
    • /
    • 2013
  •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s (ADCPs) are increasingly popular in the river research and management communities being primarily used for estimation of stream flows. ADCPs capabilities, however, entail additional features that are not fully explored, such as morphological representation of river or reservoir bed based upon multi-beam depth measurements. In addition to flow velocity, ADCP measurements include river bathymetry information through the depth measurements acquired in individual 4 or 5 beams with a given oblique angle. Such sounding capability indicates that multi-beam ADCPs can be utilized as an efficient depth-sounder to be more capable than the conventional single-beam eco-sounders. The paper introduces the post-processing algorithms required to deal with raw ADCP bathymetry measurements including the following aspects: a) correcting the individual beam depths for tilt (pitch and roll); b) filtering outliers using SMART filters; d) transforming the corrected depths into geographical coordinates by UTM conversion; and, e) tag the beam detecting locations with the concurrent GPS information; f) spatial representation in a GIS package. The developed algorithms are applied for the ADCP bathymetric dataset acquired from Han-Cheon in Jeju Island to validate themselves applicability.

축소 헬기 지상시험을 위한 헬리콥터 섀시다이나모미터 개발 (Development of Helicopter Chassis Dynamometer System for the Scaled Helicopter Ground Test)

  • 김익태;김재수
    • 항공우주기술
    • /
    • 제11권1호
    • /
    • pp.185-19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축소 로터의 성능시험과 축소 헬기 Flight Test Bed 개발이 가능한 헬리콥터 섀시다이나모미터(HCDS)를 개발하여 지상시험을 수행하였다. 축소 헬기는 엔진 출력에 따른 컬렉티브 피치각의 상호 관계로부터 로터의 일정 회전속도에 대한 추력과 동력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결과로 OGE에서의 정지비행효율(F.M.)이 0.76으로 비행시험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본 헬리콥터 섀시다이나모미터(HCDS) 시험 결과는 축소 헬기 개발과 로터 블레이드의 성능 평가에 활용할 것이다.

유동층조립기를 이용한 금매분말과립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eamed Prunus mume Powder Granules in a Fluid-Bed Granulator)

  • 신명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700-705
    • /
    • 2012
  • 매실은 구연산함량을 지표성분으로 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아, 재배가 증가됨에 따라 공급과잉에 이르러 다양한 가공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매실의 저장성을 높이고, 매실 성분을 그대로 섭취하기 위하여 금매분말과립을 제조하였다. 과육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청매를 증숙하여 금매를 제조하고 과육만을 분리하여 건조한 후 유동층조립기를 이용하여 과립을 제조하였다. 과립제조 시 증류수와 매실농축액을 분사하여 제조된 과립 SPPGW와 SPPGE에 대하여 일반성분, 매실제품의 지표성분인 구연산,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PPGE에서 금매제조 시 추출액에서 유래한 지방과 구연산함량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리적 특성 분석에서는 금매분말을 과립화하였을 때 유동성과 용해성이 증진되어 과립화가 분말의 형태보다 편리한 제품의 형태임을 알 수 있었고, SPPGW가 유동성은 우수하였으나 용해성이 SPPGE보다 떨어지는 현상을 나타냈다. 관능특성분석 결과에서는 SPPGE는 색이 진하고 과립이 반짝거리며, 입안에서 쉽게 부서지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소비자기호도 평가결과에서는 SPPGE가 외관,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소비자들은 SPPGE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매실을 금매의 형태로 제조하여 분말화한 후 과립화하는 것이 편리성을 증가시켜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과립화 과정 중 분사액은 물로만 분사하는 것보다 매실농축액을 사용하는 것이 용해성이나 기호성을 높이는데 효율적이었다.

전동 유압 슬라이딩 데크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기구학 및 구조해석 (Kinematics and Structural Analysis for Optimization of an Electro-Hydraulic Sliding Deck Systems)

  • 문혁주;유범상;오영섭;김만중;이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1-28
    • /
    • 2017
  • 농기계 상하차를 위한 전동 유압 슬라이딩 데크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 경량화가 필수적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덤프 각도에 따른 슬라이딩 데크의 진출길이를 계산하고, 허용가능 각도 중 가강 큰 하중 받는 각도에서 재질과 두께를 변경하며 구조해석을 진행, 최적 두께와 재질을 선정하였다. 먼저 슬라이딩 데크 진출길이 계산식을 도출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파악하고, 시스템을 단순화 하는 작업을 시행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입 출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자유도 계산을 수행 하였고, 단순화한 모델을 이용하여 덤프각도에 따른 슬라이딩 데크의 진출길이 계산식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계산식을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덤프각도에 따른 슬라이딩 데크 진출길이 계산을 수행하였고, 시스템의 최대 최소 각도에서의 진출길이를 파악 하였다. 신뢰성 확보를 위해 시스템의 축소모형을 제작하여 실험을 통해 계산식을 검증하였다. 슬라이딩 데크 재질과 두께를 결정하기 위해 데크를 단순화 하였고, 데크 제작에 쓰이는 대표적인 재질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단순화한 모델을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최대 하중을 받는 조건에서 두께와 재질에 따른 변형량과 응력을 비교하였다. 해석결과 ATOS80을 이용할 경우 두께를 줄이면서 더 적은 변형량을 가지게 되어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목재의 계면과 기계적 물성 및 돌침대용 석재/목재간 접착제에 따른 접착력 평가 (Interfac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ifferent Heat Treated Wood and Evaluation of Bonding Property between Stone and Wood for Rock Bed)

  • 권동준;신평수;최진영;문선옥;박종만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2호
    • /
    • pp.69-75
    • /
    • 2015
  • 돌침대에 사용되는 석재의 무게를 줄여 경량화를 추구하려면 석재의 두께를 줄이고 보강재료로 석재의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돌침대용 석재/목재 보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돌침대에 삽입될 돌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석재와 목재를 접합하였다. 목재의 강도 향상과 표면개질을 위하여 열처리 조건에 따른 목재의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대기 조건에서 열처리한 목재의 경우 고온의 온도에 따라 목재의 강성이 높아졌다. 열처리 최적조건은 표면에너지와 인장, 굴곡 강도변화 경향을 바탕으로 $100^{\circ}C$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석재와 목재간 높은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적의 접착제 조성을 연구하였다. 아민계 에폭시 접착제, 폴리우레탄(PU)계 접착제, 염화고무계(CR) 접착제 마지막으로 염화비닐초산계 접착제에 따른 석재와 목재간 랩 전단실험을 진행하였다. 랩 전단 실험 후 파단면을 관찰해볼 때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할 때 목재 기지의 인열 파괴가 발생되었다. 접착면에서의 전단력이 목재 자체의 파괴 강도보다 높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접착제 조건이 에폭시계 접착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Energy Reduction of Light Shelf Applying Punching Plate

  • Choi, Yuchang;Lee, Heangwoo;Seo, Janghoo;Kim, Yongseong
    • KIEAE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5-13
    • /
    • 2014
  • Various studies on lighting energy savings are conducted, given that lighting energy consumption accounts 23.5%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Especially, external type light shelf's efficiency is acknowledged; however, its application is limited in Korea, where high rise building ratio is high, due to high wind pressure. This study delves into natural lighting system to cope with wind pressure, and proposes the punching plate-installed light shelf. This study actually draws lighting energy output, according to whether the punching plate is applied through the test-bed, and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 punching plate-installed light shelf. The conclusion is presented below: First) The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light shelf with the punching plate in winter solstice showed that the awning area decreased as the opening ratio increased so that the indoor distributed illumination tended to increase, and $-40^{\circ}$ which was advantageous for awning was determined as the proper angle. Second) The light shelf with the punching plate in spring/autumn equinox shows improved lighting according to the angle, and the appropriate angle of light shelf with the punching plate has increased to $15^{\circ}$ and $20^{\circ}$ according to the opening ratio in comparison to $5^{\circ}C$ which is the appropriate angle of light shelf with no punching plate due to the reflection area reduced by the reflecting plate with holes. Third) The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light shelf with the punching plate in summer solstice showed that the lighting performance tended to decrease as the opening ratio increased. 4) The light shelf with the punching plate incurs a 50% energy loss in comparison to the light shelf with no punching plate. However, its effectiveness has been proven in the aspects that it can bring a 50% energy saving in comparison to the case with no installation of light shelf and that it can be designed in response to wind pressure on the high floors.

교대주변의 국부세굴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Local Scour around Abutment)

  • 안상진;황보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255-263
    • /
    • 1999
  • 연직벽 교대에서의 국부세굴심을 측정한 실험실 자료들이다. 이들 자료들은 교대의 끝단형상, 정렬각도, 흐름수심, 흐름경사에 따라 국부 세굴심의 영향을 주는 자료들로 포함한다. 모형교대 끝단 형상이 직사각형, 타원형, 끝단을 깎아낸 직사각형, 예연형인 교대에서 국부세굴의 양상이 실험적 연구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실험들은 4개의 교대 형상에 대하여 흐름수심을 약 1cm씩 증가시켜서 이동상 세굴 조건하에 실험을 하였다. 수로의 하상경사는 0.01%, 0.03% 0.05% 0.1%, 0.2%로 정렬각도는 30 $^{\circ}$, 60 $^{\circ}$, 90 $^{\circ}$, 120 $^{\circ}$, 150 $^{\circ}$로 변화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다. 최대 세굴심은 끝단 형상이 직사각형, 타원형, 끝단을 깎아낸 직사각형, 예연형의 순서로 분석되었다. 실험결과들은 세굴심이 교대의 형상뿐만 아니라 정렬각도, 흐름수심, 수로경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종합병원 병실 내 광선반과 블라인드 설치 방식에 따른 자연채광 유입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flow Dayligh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of controlling Light Shelf and Blind in the Room of General Hospital)

  • 조주영;이효원
    • KIEAE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3-10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nvenient surrounding of the hospital room to be improved by specifically focusing on light environment and to examine a change of inflow of the daylight in the hospital room by using blind and light shelf device as base data of preliminary research for comprehe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ing environment and natural day light. Simulation analysis on previous facilities and the installation of horizontal light shelf that derives the inflow of day light has been specifically referred by using ECOTECT2011 program. In case of C-facility that mostly adjoined to exterior spaces, it was shown to be closer to a proper uniformity factor when an angle was controlled on the light shelf with blind installed at the same time. However, it was not overall appropriate because of visual displeasure occurred from inflow of much day light. In conclusion, it is the form of flat surface such as H-facility that provides an effect after installing the device to derive day light. Especially, it was shown that interior day light environment was improved when installing blind and controlling the angle at the same time.

접선 방향의 기체 주입에 의한 입자 마모 특성 연구 (Attrition Characteristics in an Advanced Gasifier with Swirl Injection)

  • 이시훈;박찬승;이재구;김재호
    • 공업화학
    • /
    • 제19권3호
    • /
    • pp.295-298
    • /
    • 2008
  • ASTM D5757-95에 따른 입자 마모 측정기를 이용하여 접선 방향의 기체 주입에 따른 입자 마모 특성을 고찰하였다. 접선 방향의 기체 주입에 따른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모래의 입도 분포 변화, 비산 회재의 양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입자 마모에 따라서 발생하는 미세 입자들은 기체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수직 방향의 기체 주입에 비해 접선 방향으로 기체를 주입함에 따라서 입자 마모량이 변하였으며 노즐의 각도가 감소함에 따라서 비산량이 줄어들었다. 또한 전체 유량이 동일한 경우, 사용되는 노즐이 증가할수록 입도변화가 커짐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