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29초

전통된장으로부터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Doenjang)

  • 김승호;이윤진;권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848-854
    • /
    • 1999
  • 전통된장으로부터 안지오텐신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를 저해하는 물질을 추출하여 그 구조를 밝혀냈다. ACE 저해물질을 열수추출한 다음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통하여 ACE 저해작용이 큰 두 개의 큰 획분을 받았다. 앞획분은 90%와 70%의 AC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단일물질로 분리되지 않아 계속하여 역상 HPLC를 통하여 순수 분리를 하였다. 그러나 앞획분은 순수분리되지 않아 결국 2차원 전기영동/TLC를 통하여 분리한 결과 분자량이 759.63인 아미노기를 갖고 있는 비펩타이드 물질임이 밝혀졌다. 뒷획분은 다른 조건의 HPLC(reverse column과 $NH_2$, column)를 이용하여 순수분리에 성공하였다. 이중 ACE 저해효과가 큰 물질은 분자량 271.33인 dipeptide인 arginine-proline임을 밝혀냈다. 이물질의 ACE $IC_{50}$$92\;{\mu}M$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부분 ACE 저해물질이 3개 내지 7개 등의 긴 펩타이드임을 감안할 때, 짧은 dipeptide로 ACE 저해펩타이드가 한국의 전통된장에서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옥수수 글루텐 효소 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활성 저해 펩타이드의 정제 (Peptide Inhibitors for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from Corn Gluten Digests.)

  • 오광석;이동건;홍정운;성하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1-56
    • /
    • 2003
  • 안정성이 확보된 식품에서 ACE저해 활성 물질을 검색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옥수수 글루텐을 Flavourzyme, Pescalase, 그리고 Thermolysine/Pescalase 등으로 가수분해하여 얻은 가수 분해물로부터 ACE 활성 저해 펩타이드를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분리, 정제하였다. 10% 에탄올로 평형화된 ODS chromatography를 이용 단백질 분획들을 얻고, Bio-Gel P-2 column과 reverse phase HPLC를 통해 5개의 ACE 저해 펩타이드를 분리, 정제하였다. 그 아미노산 서열은 LPF($IC_{50}$ = 40 $\mu$M), GPP($IC_{50}$ = 17.6 $\mu$M), PNPY($IC_{50}$ = 30.7 $\mu$M), SPPPFYL($IC_{50}$/ = 63 $\mu$M), and SQPP($IC_{50}$ = 17.2 $\mu$M)로 밝혀졌다. 이 펩타이드들은 경구투석 시 가수분해 효소에 대응하여 체내에서 안정성이 뛰어나고, 소장에서도 쉽게 흡수될 것으로 사료되어 상시 섭취하는 식품이나 음료에 첨가하여 이용한다면 그 유용성이 기대된다.

바지락 단백질 Thermolysin 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Peptide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from Thermolysin Hydrolysate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Proteins)

  • 이태기;염동민;김선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29-533
    • /
    • 2002
  • 바지락 단백질의 thermolysin 가수분해물로부터 분자량 한계범위가 10,000 da인 한외여과막을 통과한 저분자량의 물질을 Sephadex LH-20 column을 이용한 겔 크로마토그래피에서 ACE에 대하여 저해 활성을 가지는 3개의 획분을 분취하여 SP-Toyopearl 650S column과 SuperQ-Toyopearl 650S column을 이용한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4개의 활성 획분을 얻었다. 이 중 가장 높은 절해 활성을 나타내는 획분의 아미노산 조성은 alanine, leucine, isoleucine 및 threonine의 함량이 많았고, 활성 발현에 있어 C 말단 아미노산 잔기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proline의 함량도 $3.7\%$%인 것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 활성은 $IC_{50}$ 값이 0.748 $\mu$g이었다.

간장으로부터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활성 저해물질 생성 균주의 분리 동정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Strain Producing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Soy Sauce)

  • 차명화;박정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94-599
    • /
    • 2001
  • 혈압상승을 주도하는 효소인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의 활성을 저해하는 펩타이드를 생산하는 protease 분비 균을 간장으로부터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여러대두 발효식품으로부터 단백질 분해능이 있는 균주를 분리하고, 분리된 균주들 중에서 ACE 저해활성이 가장 높은 균주인 SS103 균주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SS103 균주는 운동성이 있는 gram 양성 간균으로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호기성균이었으며, pH 5~9 사이에서 생육하고 생육온도는 2$0^{\circ}C$~$50^{\circ}C$로 내열성이 약한 중온균의 특성을 보였으며, glucose, sucrose, mannitol 및 sorbitol 등의 당 이용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세포의 지방산 조성은 $C_{15:0}$ anteiso, $C_{17:0}$ cis 형 및 $C_{17:0}$ iso 형이 주된 지방산으로 각각 33.9%, 18.8% 및 16.5%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겨과를 토대로 SS103 균주는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Bacillus subtilis SS103 균주의 최적 배양 조건은 $37^{\circ}C$, 초기배양액 pH 8.0에서 배양시간 48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통기량이 높은 경우 효소활성도 높은 특성을 보였다.을 보였다.

  • PDF

양파 조미액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Inhibitory Effect of Onion Seasoning on Angitensin Converting Enzyme)

  • 마상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5-400
    • /
    • 2000
  • 양파 조미액으로부터 ACE 저해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hexane, ethylether, ethylacetate, butanol과 물로 분획시, 4.8g의 당 함량과 31.9 mg의 phenol성 물질을 함유한 butanol 분획이 82.1%의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70.3%의 ACE 저해활성을 보인 양퍄 조미액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Butanol 분획을 Amberite XAD-2column으로 분리한 결과, ACE 저해활성을 보이는 미흡착 분획(F1)를 얻었다. 활성분획 F1을 Sephadex LH-20column으로 분획한 결과, 4개(F1-1,F1-2,F1-3,F1-4)의 분획을 얻었으며, 이중 F1-3 분획의 ACE 저해활성은 93%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얻어진 활성분획F1-3을 Supercosil LC-18 column을 이용하여 분리한 결과, 6분대에서 ACE 저해활성을 가지는 단일 peak(F1-3a)를 얻었다. 각 정제 과정에서 얻은 분획들은 전형적인 flavonoid의 band I과 bandII의 피크를 보였다. 또한 ACE에 대한 저해기작은 flavonoid 물질이 보이는 전형적인 비경쟁적 저해양상을 보였다.

  • PDF

효소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우유 케이신의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효과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roperties of Bovine Casein Hydrolysates in Different Enzymatic hydrolysis Conditions)

  • 김현수;인영민;정석근;함준상;강국희;이수원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7-93
    • /
    • 2002
  • 최근 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한ACE 저해 펩타이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여러 가지 식품 단백질의 효소 가수분해물로부터 얻어진 펩타이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케이신을 여러 가지 상업용 단백질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ACE저해 효과가 높은 가수분해물 제조시 가수분해 조건이 ACE저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하였으며 적정 가수분해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ACE 저해효과를 가지는 케이신 가수분해 물을 제조하기 위한 효소 종류, 첨가량 및 가수분해시간은 효소는 Aspergillus oryzae 유래의 promod 192를 사용하고, 효소의 첨가량은 케이신에 대하여 1%, 반응시간은 47$^{\circ}C$에서 12시간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이 때 케이신 가수분해물의 $IC_{50}$/값은 248.71ug/m1(통상법), 265.84ug/ml(전처리법)로서 ACE 저해효과가 높았다.

Upregulation of Renin-angiotensin, Endothelin and C-type Natriuretic Peptide in Rat Glomerulus with B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 Bae, Eun-Hui;Kim, Soo-W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0권6호
    • /
    • pp.343-347
    • /
    • 2006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RAAS), endothelin (ET) and local natriuretic peptide (NP) system for glomerulopathy induced in the experimental bilateral ureteral obstructive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200{\sim}220g$ body weight) were bilaterally obstructed by ligation of the proximal ureters for 24 hours. Control rats were treated in the same ways, except that no ligature was made. The glomeruli were isolated from cortex by graded sieve methods, and the mRNA expressions of local renin-angiotensin system (RAS), aldosterone synthase (CYP11B2), endothelin-1 (ET-1) and NP system were determin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Following the b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the mRNA expressions of reni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1 as well as ET-1 were increased, while that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 was not changed. The expressions of CYP11B2 and angiotensin II receptors were not changed. C-type natriuretic peptide (CNP) expression was increased, while its receptors (natriuretic peptide receptor-B) were not changed. We suggest that the upregulation of local RAS and ET playa role in the progressive glomerular injury, and that the enhanced CNP activity also plays a compensatory role in obstructive uropathy in the glomerulus.

The High Production of Multimeric Angiotensin-converting-enzyme-inhibitor in E. coli

  • Park Je-Hyoen;Kim Sun-Hoi;Ahn Sun-Hee;Lee Jong-Hee;Kim Young-Sook;Lee Sang-Jun;Kong In-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4권2호
    • /
    • pp.84-87
    • /
    • 2001
  • Multimeric angiotensin-converting-enzyme-inhibitor (ACE}) containing a trypsin cleavable linker peptide between ACEI was constructed. We made synthetic DNA coding for the ACEI peptide with asymmetric and complementary cohesive ends of linker nucleotides. A tandemly repeated DNA cassette for the expression of concatameric short peptide multimers was constructed by ligating the basic units. The resultant multimeric peptide expressed as soluble and trypsin treated peptide was shown at the same retention time with chemically synthetic ACEI by HPLC.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the technique developed for the production of the ACEI multimers with trypsin cleavable linker peptides can be generally applicable to the production of short peptide.

  • PDF

Characterization of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KIM, JAE-HO;LEE, DAE-HYOUNG;JEONG, SEOUNG-CHAN;CHUNG, KUN-SUB;LEE, JO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1318-1323
    • /
    • 2004
  • This study describes th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1­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peptid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Maximal production of the ACE inhibitor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obtained from 24 h of cultivation at $30^{\circ}C$ and its ACE inhibitory activity was increased by about 1.5 times after treatment of the cell-free extract with pepsin. After the purification of ACE inhibitory peptides with ultrafiltration, Sephadex G-25 column chromatography, and reverse-phase HPLC, an active fraction with an $IC_{50}$ of 0.07 mg and $3.5\%$ yield was obtained. The purified peptide was a novel decapeptide, showing very low similarity to other ACE inhibitory peptide sequences, and its amino acid sequence was Tyr-Asp-Gly-Gly-Val-Phe-Arg-Val-Tyr-Thr. The purified inhibitor competitively inhibited ACE and also showed a clear antihypertensive effect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at a dosage of 1 mg/kg body weight.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Pholiota adiposa

  • Koo Kyo-Chul;Lee Dae-Hyoung;Kim Jae-Ho;Yu Hyung-Eun;Park Jeong-Sik;Lee Jo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57-763
    • /
    • 2006
  •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s have generally been very useful to remedy or prevent hypertension. This study describes the extr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CE inhibitor from the fruiting body of Pholiota adiposa ASI 24012, which can be used as an antihypertensive drug. The maximal ACE inhibitory activity $(IC_{50};0.25mg)$ was obtained when the fruiting body of Pholiota adiposa ASI 24012 was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t $30^{\circ}C$ for 12 h. After the purification of ACE inhibitor with ultrafiltration, Sephadex G-25 column chromatography, and reverse-phase HPLC, an active fraction with an $IC_{50}$ of 0.044 mg was obtained. The purified ACE inhibitory peptide was a novel pentapeptide, showing very little similarity to other ACE inhibitory peptide sequences. The molecular mass of the purified ACE inhibitor was estimated to be 414 daltons with a sequence of Gly-Glu-Gly-Gly-Pro, and showed a clear antihypertensive effect o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at a dosage of 1 mg/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