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d user behavior

검색결과 1,704건 처리시간 0.026초

사용자 모션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Space Design Process Using User′s Motion Data)

  • 안신욱;박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87-19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a digital space design process using user's motion data' through a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In the progress of developing a developing of design process, this study was concentrated on searching a digital method applying user's interactive reflections. As introducing a concept of space form being generated by user's experiences, we proposed'a digital design process using user's motion data'. In the experimental stage, user's motion data were extracted and transferred as digital information by user behavior analysis, optical motion capture system, immersive VR system, 3D softwares com computer programming.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nother useful digital design process was embodied by building up a digital form-transforming method using 3D softwares providing internal algorithm.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terms of attempting a creative and interactive digital space design method, avoiding dehumanization of existing ones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and the experimental approach.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평가 비디오정보 분석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video-protocol analysis system for the user interface design.)

  • 김병욱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9-118
    • /
    • 1998
  • 최근의 전자와 반도체기술의 발달에 따른 지능형 제품의 등장은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중요성을 더욱더 증대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실제 제품 사용을 비디오로 기록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에 대한 실제 제품 사용상에서의 분석과 이러한 다양한 측면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 성 평가에서의 비디오 정보 분석 방법개발의 일환으로 컴퓨터를 활용한 비디오 정보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우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품의 실제적 사용에서 나타나는 사용자들의 제품 사용행위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의 구조를 설정한다. 이어서 이 구조를 근거로 하여 사용 성 실험의 비디오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분석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는 사용 성 평가 직전에 이루어진 설문을 통한 사용자 정보를 조사하는 모듈, 사용자의 실제 제품 사용 비디오 정보를 통한 정보추출 모듈, 이를 토대로 한 사용자 특성파악 모듈, 마지막으로 제품의 인터페이스 개선 안을 제안하는 모듈 등으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Research on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Methodology in IOT Environment

  • Kim, Byung-Taek;Cho, Yun-S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3-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user's perceived privacy, security, and user satisfaction when providing visualization information about objects and service provider behaviors that users can not perceive in internet service process. Through previous research, we have examined the importance of privacy and security factors as a key factor to be consider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n addition, service blueprint, which is one of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to examine the flow of service usage in providing Internet service of things, was examined. In the flow of things internet service utilization, it is found that the things that are out of the user's cognitive area and the behavior of the service provider take up a large part.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the trust of the Internet service securit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experience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security visualization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r of the object and the invisible service provider in the non-contact aspect of the user and the objec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we conducted experiments and questionnaires on the use of virtual objects' internet environment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m.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visual information feedback on non - contact and invisible objects and service provider's behaviors had a positive effect on user's perceived privacy, security,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we conclude that it can be used as a service design evaluation tool to eliminate psychological anxiety about security and to improve satisfaction in internet service design.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great help for the research on application method of service design method in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사용자의 지각 현상을 통한 공간인지 및 공간행위에 대한 연구 - 공간인지와 사용자 행태와의 관계 - (A Study on Spatial Perceptions and Behaviors through the Perception Phenomenon of the User -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Perception and User Behavior -)

  • 김가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143-151
    • /
    • 2013
  • As we recognize the space, humans will experience a process to synthesize elements of cognitive various methods, come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 It is intended that on humans to recognize the space, it is intended to act directly under study how to recognize. Humans can know that the determining action based on the values and physical condition, based on the space in which they have been recognize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behavior of the human as a result. Social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 physical region that is cultural difficulties constitute experience specific areas therein. Space for human activities and human, can know that it is not a memory of human behavior, to have a closer relationship with human perception. That is, the description will be aware of the space via the perceptual phenomenon of man due to physical elements performed in the space, what acts about what happen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for this, and emotion space production consisting only of physical visual element future, and use act of the area to be expressed from his recogni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perceptual elements, diverse experience richer and more it is a case where deemed necessary access space configuration capable of a broad depth study of this portion is happening, in order to constitute a space, a new interpretation for human behavior is progressing.

엘리먼트 기반 XML 검색 시스템에서의 이용자의 정보 탐색 행태 연구 (Interactive Searching Behavior with Elements-Based on XML Documents Retrieval System)

  • 정영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59-176
    • /
    • 2009
  •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엘리먼트 기반의 구조화된 XML 검색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이용자의 정보 탐색행태를 조사하여 XML 검색에 대한 이용자 기반의 효과적인 접근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절차 및 방법은 INEX 2006의 iTrack(Interactive Track)을 따랐고 실험을 위해 인문계열과 이공계열의 대학생 총 16명이 참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는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전과 실험후의 서베이와 검색전과 검색후의 서베이를 통해 수집되었고 검색 수행의 전 과정은 시스템 로그로 자동 저장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Excel과 SPSS 1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팟캐스트 콘텐츠 이용자 행태분석 및 유형 파악 (Analysis of Podcast User Behaviors and Classification of Users)

  • 강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94-104
    • /
    • 2022
  • AI스피커 시장의 확산과 인포테인먼트가 가능한 컨넥티드 카의 영향으로 오디오 콘텐츠 시장이 성장하면서 팟캐스트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팟캐스트 콘텐츠 이용자들의 행태 및 유형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배경연구에서 팟캐스트 이용 동기와 사용자 유형을 고찰하고 설문 문항 작성 시 참고하였다. 설문 조사에서는 상황에 따라 선호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파악하고 심층 인터뷰에서는 오디오 서비스 사용행태를 파악하여 사용자 유형 및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설문 결과 단독청취와 멀티태스킹 할 때 선호하는 콘텐츠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시간대에 따른 선호콘텐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심층 인터뷰에서 사용자 유형을 3가지로 구분한 결과 공부 목적의 단독 청취, 이동 중에 유익한 정보 청취, 멀티태스킹 하며 가벼운 콘텐츠 청취하는 사용자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오디오 콘텐츠 플랫폼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디자인을 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웹 이용자의 정보탐색행위 패턴 분석 (Analyzing Patterns in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Web)

  • 김성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7-214
    • /
    • 2006
  • 전통적인 정보환경에 비해 웹 환경은 매우 다양하고 이질적인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개별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서는 웹 정보탐색행위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 이용자에게서 보여지는 공통된 정보탐색행위에 초점을 맞춰 이용자들이 웹에서 어떻게 정보를 찾는지 그 행위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간대별 인터뷰 기법을 적용하여 Dervin의 인지이동 개념을 기반으로 웹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진 일련의 인지적 움직임을 파악하고 하였다. 본 연구는 응답자 21명을 대상으로 37개의 웹 탐색 경험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웹 정보탐색행위는 시작, 검색, 브라우징, 조사, 정보발견, 결정/행동, 종료의 7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었다 응답자별로 매우 다양한 행위 패턴을 보였으며 특히 브라우징 단계를 중심으로 반복되고 순환되면서 웹 정보탐색행위의 다방향적이고 비선형적인 특징을 보였다.

스마트 홈에서 마이닝을 이용한 행동 순차 패턴 발견 (Discovery of Behavior Sequence Pattern using Mining in Smart Home)

  • 정경용;김종훈;강운구;임기욱;이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9-26
    • /
    • 2008
  •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발전에 따라 일대일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스트럭처가 구축되면서, 사용자의 상황과 환경, 즉 상황인식 기반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스마트 홈은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을 연결하여 가상공간에서 현실의 상황을 정보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 중심의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에서 마이닝을 이용한 행동 순차 패턴 발견을 제안하였다. 마이닝을 이용하여 위치 트랜잭션에서 발생하는 위치간의 연관 규칙에 시간의 변이를 추가하여 행동 순차 패턴을 발견하였다. 인식된 시간 순서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의 파악 및 행동 방향을 예측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가 가능하다. 마이닝을 이용한 행동 순차 패턴의 성능 평가를 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평가 결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증명하였고 높은 만족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시장성 증대와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An Automatic Personal TV Scheduler based on HMM for Intelligent Broadcasting Services

  • ;김문철;김휘용;이한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 /
    • pp.283-288
    • /
    • 2006
  • In the future television broadcasting a flood of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will not always be welcomed by everyone. The need of accessing specific information as required is becoming a necessity. We are interested to make the life of television consumer easier by providing an intelligent television set which can adaptively proposed certain shows to the viewer based on the user historical consumed shows. The TV watching history data consists of TV program titles with their respective genres, channels, watched times and durations, etc. The method proposed is by utilizing Hidden Markov Model (HMM) to model the user preference of kind of genres the viewer will watch based on recorded genres of several weeks time. We take watching schedule from 6 PM to midnight as boundary. The range thus divided into 3 independent time band of 2 hours each resulting in 3 time bands from 6 PM to 8 PM, 8 PM to 10 PM, and lastly 10 PM to midnight. Each time band will be represented by an HMM. From each HMM we can generate a sequence of predicted genre that the user will probably watch during corresponding time-band. Our approach assumes that the user shows a consistent behavior of watching pattern in week to week basis and during the moment of watching TV. To asses the method performance experiment is conducted using real data collected from December 2002 to May 2003. Some user's data are selected and based on that predictions are made. The resulting predictions are then compared with the actual user's history. The experiment shows satisfactory result for user with middle to high consistent behavior level.

  • PDF

A model of quality and capacity variation

  • Oh, Hyung-Sik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4
    • /
    • 1985
  • This problem of product selection and princing are considered in congested and uncongested markets. In a congested market, such as a computer service market, product quality (the level of congestion) is partly a function of the amount of usage, which in turn depands on user choice. In an uncongested market, product qualities are set solely by providers. A model of quality and capacity variation is developed using a state equation description to represent user optimizing behavior. The model is used to study the problem of scarce resources among competing user demands through quality-dependent pric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