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Mobile Router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33초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이동 메쉬 라우터의 이동 경로 정보를 고려한 라우팅 프로토콜 (Trajectory Information-based Routing Protocol for Mobile Mesh Router in Wireless Mesh Networks)

  • 조용진;정홍종;김동균;유관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1A호
    • /
    • pp.912-92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무선 메쉬 네크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버스와 전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 중인 승객들에게 인터넷접속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무선 메쉬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승객들에게 차량의 이동과 관계없이 신뢰성 있는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동 메쉬 라우터가 차량에 장착되고, 이 라우터가 인터넷 게이트웨이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가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메쉬 라우터와 인터넷 게이트웨이 간의 경로 탐색을 위해 차량의 이동 경로정보와 링크품질을 고려한 ETT-TR (Expected Transmission Time with TRajectory information) 메트릭 및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NS2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된 방법이 종단간 지연시간 감소 및 처리량 향상에 기여함을 보였다.

Route Optimization Scheme for Mobile Content Sources in Content Centric Networking

  • Lee, Jihoon;Rhee, Eugen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8권1호
    • /
    • pp.22-27
    • /
    • 2020
  • Content centric networking (CCN) is regarded as promising internet architecture because it can provide network efficiency in terms of bandwidth consumption by separating contents from a specific network location and decrease network congestion events. However, the application of a CCN does not widely consider the side effects of mobile devices, particularly mobile content sources. For content source mobility, a full routing update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a route optimization scheme is proposed for mobile content sources in a CCN environment to provide low communication overhead, short download time, and low resource consumption. The proposed scheme establishes a direct path between content requesters and a mobile content source for the exchange of interest and data packets using interest-piggybacked data packets. Based on the inherent CCN naming characteristics, the content source does not know the name prefix of the content consumer, and thus the proposed optimized CCN scheme utilizes the content router in the home domain of the content source.

WiBro에서 마코프 체인을 이용한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using Markov chain in WiBro)

  • 박원길;김형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90-197
    • /
    • 2010
  • WiBro의 ACR(Access Control Router)은 ACR간을 움직일 때만 홈 에이전트와 상대 노드에게 위치등록을 하므로, 위치등록비용은 MIPv6에 비해 적지만, 이동 노드의 송수신되는 모든 패킷들은 ACR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ACR이 관리하는 이동노드의 수가 많아지면 ACR의 패킷처리비용은 증가한다. 따라서 ACR도메인 내에 있는 이동 노드들을 관리하는 ACR이 잘 작동한다면 ACR도메인 내의 통신상태는 원활하다. 그러나 ACR이 잘 작동하지 않으면 네트워크의 delay가 발생하므로 ACR의 역할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WiBro의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 ACR의 성능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성능평가 요소로서 이동노드의 거부확률(deny probability)와 ACR 성능의 총이익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동모델로서 랜덤워크 모델을 이용한다.

중인터페이스를 가진 이동 IP 라우터를 이용한 해안 지역 통신 서비스 방안 (Scheme for Communication Service in Coastal Area Using Mobile IP Router with Multiple Interfaces)

  • 박천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77-182
    • /
    • 2011
  • 최근 연안지역에 선박 통항량, 다양한 양식업, 어로, 그리고 레저 활동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라 안전한 항해 통신 정보를 위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요구되어 왔다. 본 논문은 다중 인터페이스를 가진 이동 IP 라우터를 이용한 해안 지역에서 통신 서비스 지원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시스템은 선박에게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WiBro, HSDPA, 그리고 WLAN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어, 해안을 따라서 설치된 무선망을 통하여 선박에게 다양한 정보통신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공인된 끊김 없는 정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인증된 경로 최적화 프로토콜 (Authenticated Route Optimization Protocol for Network Mobility Support)

  • 구중두;이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781-787
    • /
    • 2007
  • NEMO(Network Mobility) 기본 지원 프로토콜은 경로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고 있지 않으며 MR(Mobile Router)과 HA(Home Agent) 사이의 양방향 터널 구간을 제외한 다른 구간에서는 특별한 보안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R과 MNN(Mobile Network Node) 사이의 양방향 터널을 통해 위임 권한 프로토콜을 수행하고 위임 권한을 획득한 MR과 CN (Correspondent Node) 사이에 인증된 바인딩 갱신 프로토콜을 통해 경로를 안전하게 최적화한다. 각 노드의 주소는 주소 소유권 증명을 위해 CGA(Cryptographically Generated Address)방식을 통해 생성한다. 끝으로 NEMO에서의 보안 요구사항과 기존에 알려진 공격을 통해 안전성을 분석하고 NEMO 지원 프로토콜과 연결성 복구력(connectivity recovery)과 종단간 패킷 전송 지연 시간율(end-to-end packet transmission delay time)을 비교하여 효율성을 분석한다.

  • PDF

Proxy MIPv6 기반 망에서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기법 (A Flow-based Mobility Support Mechanism in Proxy MIPv6 based Network)

  • 이재훈;김영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B호
    • /
    • pp.592-599
    • /
    • 2011
  • PMIPv6(Proxy Mobile IPv6)는 이동 노드(Mobile Node: MN)을 대신하여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써 네트워크-기반 이동성 지원 기법이다. PMIPv6에서는 비록 MN에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가 장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단지 하나의 인터페이스만 이용하여 MN이 PMIPv6 도메언에 정속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중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이동 노드가 PMIPv6 도메인에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자의 의도를 고려한 플로우 기반 이동성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된 기법은 PMIPv6 도메인에서 라우터광고 (Router Advertisement: RA) 메시지를 이용하여 MN이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동일한 PMIPv6 도메인에 동시에 접속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IPv6 프로토콜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그널링 비용과 핸드오버 지연을 이용하여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MN의 속도와 우선 링크의 실패 확률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바일 라우터의 IPv4 네트워크 이동시 Tunnel Agent를 통한 NEMO Tunnel 유지 방안 (A NEMO Tunnel Maintenance Scheme for Roaming Mobile Routers to IPv4 Networks through Tunnel Agent)

  • 김진호;홍충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1)
    • /
    • pp.259-261
    • /
    • 2005
  • 현재 이동성을 지원하는 Mobile IPv4와 Mobile IPv6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버전의 네트워크에서는 호환이 불가능하게 설계되어있다. Mobile IPv6 프로토콜에서 확장되어 네트워크 이동성까지 지원되는 Network Mobility(NEMO) 프로토콜 역시 IPv6 네트워크 내에서만 이동성이 보장된다. 그러나 앞으로의 인터넷은 IPv4와 IPv6 네트워크가 상당기간 공존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두 버전의 네트워크 사이에 이동성이 자연스럽게 지원되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른 버전의 네트워크 사이에 NEMO 프로토콜에 대해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는 Mobile Router(MR)가 IPv4 네트워크로 이동을 한 경우에도 Tunnel Agent(TA)를 통해 NEMO Tunnel을 유지함으로써 이동성을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 PDF

Network Mobility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위치관리 기법 (An Efficient Location Management Scheme in the Network Mobility)

  • 김혜영;송의성;길준민;황종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2권2호
    • /
    • pp.190-202
    • /
    • 2005
  • 항공기, 보트, 열차 그리고 자동차와 같이 이동성 있는 네트워크들 안에서의 이동노드들은 함께 움직이며 같은 이동성을 공유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모빌리티 안의 이동노드들 공동의 이동성을 토대로 한 효율적인 위치관리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동노드가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이동노드와 통신 중인 노드들 (correspondent nodes)에게 전송할 때 멀티캐스트 기법을 적용하여 이동노드나 이동노드와 통신 중인 노드들의 증가에도 일정한 바인딩 갱신 메시지만을 발생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위치관리를 할 수 있다. 제안한 기법에 대한 분석모델을 기존의 연구들인 HMIPv6 (Hierarchical Mobile IPv6)와 NEMO (Network Mobility)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효율성을 검증한다.

WiBro 환경에서 Overlay 기반의 Mobile IPv6 이동성 구현 및 성능 시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verlay based Mobile IPv6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Measuring in IEEE 802.16/WiBro Environment)

  • 이재호;류형근;이재준;강선무;이재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6B호
    • /
    • pp.334-341
    • /
    • 2007
  • IEEE 802.16/WiBro 환경에서 효율적인 이동성을 위하여 Mobile IP 적용이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WiBro 확산과정에서 Mobile IP 이동성을 지원하는 ACR과 지원하지 못하는 ACR이 혼재된 상황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럴 경우 단말의 이동성은 보장받기 어렵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WiBro 환경에서 지속적인 단말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Overlay 기반의 Mobile IP 이동성을 실제로 구현하고 이에 대한 성능 시험을 시행한 후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향후 개선 필요 사항을 도출하였다.

VANET에서 CPU 성능을 보장하는 핸드오버 인증프로토콜

  • 조신영;김승환;임헌정;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64-667
    • /
    • 2010
  • VANET에서 빠른 핸드오버를 위한 Fast MIPv6를 사용하는데 있어 Mobile Node이 다음 Access Router로 이동함에 따라 새로운 주소를 생성하고 이전주소를 새로운 주소로 교환하는 과정인 Fast Binding Update가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인증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핸드오버 인증 프로토콜 중 Kempf가 제안한 SEND기반의 핸드오버 인증 프로토콜이 Sybil 공격 및 DoS 공격에 보안상 취약하므로 생기는 CPU 성능 저하 문제를 인증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Access Router의 주소 리스트를 사용하여 완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로 인해 CPU 성능의 효율성을 보장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