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hor nod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4초

Proxy Mobile IPv6에서 Correspondent Information Route Optimization 기법의 핸드오버 (Route Optimization Using Correspondent Information handover on Proxy Mobile IPv6)

  • 최영현;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41-644
    • /
    • 2010
  • Proxy Mobile IPv6에서는 같은 Local Mobility Anchor 내의 다른 Mobile Access Gateway에 있는 Mobile Node 들의 패킷 전송에 있어서 발생하는 삼각 라우팅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 드래프트 Liebsch와 Dutta에서 제안된 두 가지 Route Optimization 기법의 동작과정을 알아보고, 상호 데이터 전송 상황에서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는 Correspondent Route Optimization 기법을 제안한다. 통신을 맺고 있던 Mobile Node가 Local Mobility Anchor 내 다른 Mobile Access Gateway의 범위로 이동할 경우 발생하는 핸드오버 상황에서 Correspondent Route Optimization 기법을 사용하여 signaling cost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Route Optimization 기법은 Correspondent Flag를 추가하여 Mobile Access Gateway 간 Corresponding Binding을 완료하여, Route Optimization을 설정한다. 제안한 Correspondent Route Optimization 기법은 기존의 기법보다 상호 데이터 전송 상황에서 Route Optimization에 필요한 메시지 수가 적기 때문에 시그널링 비용이 감소한다.

이동 싱크 시스템에 대한 결정적 앵커 노드 방식의 연구 (A study of deterministic anchor node to mobile sink systems)

  • 박상준;이종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565-56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이동 싱크 시스템을 위한 앵커 노드의 결정 방식에 대해 고려한다. 분산 지역의 센서 시스템에 대한 싱크 시스템의 방문에서 주기적 이동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싱크가 분산된 지역을 주기적으로 방문할 경우 분리된 지역의 센서 시스템은 싱크 시스템의 방문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싱크 시스템은 지정된 시간 안에 방문 지역에 접근하며 앵커 노드는 싱크 시스템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다.

  • PDF

HMIPv6에서 게임 이론을 이용한 MAP 부하 분산 기법 (Game Theoretic MAP Load Balancing Scheme in HMIPv6)

  • 기범도;김승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7B호
    • /
    • pp.991-1000
    • /
    • 2010
  • HMIPv6는 로컬 네트워크상에 이동성 지원 포인트(Mobility Anchor Point ; MAP)라는 기능을 도입하여 MAP 하부에서의 이동은 MAP가 관리함으로써 지연과 오버헤드를 줄이고 이동 노드의 핸드오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동 노드가 새로운 도메인에 들어올 경우 최상위 MAP에 이동 노드의 등록이 집중되어 성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이론 중에서 내쉬 교섭 해(Nash Bargaining Solution ; NBS) 이론을 적용하여 HMIPv6상에서 상위 MAP에 이동 노드의 등록이 집중되지 않고 거리(Distance), 등록된 노드 수, 데이터 전송량 등의 MAP 자원 사용 비율에 따라 여러 MAP로 부하를 분산시키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상위 MAP로의 부하 집중을 방지할 수 있었고, MAP자원의 사용비율에 따라 가중치를 실시간으로 그리고 능동적으로 부여함으로써 도메인내의 MAP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or a Reliable Localization Schem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Shahzad, Farrukh;Sheltami, Tarek R.;Shakshuki, Elhadi M.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8권5호
    • /
    • pp.796-805
    • /
    • 2016
  • In many wireless sensor network (WSN) application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an individual entity or node is of limited use without the knowledge of its location. Research in node localization is mostly geared towards multi-hop range-free localization algorithms to achieve accuracy by minimizing localization errors between the node's actual and estimated position. The existing localization algorithms are focused on improving localization accuracy without considering efficiency in terms of energy costs and algorithm convergence time. In this work, we show that our proposed localization scheme, called DV-maxHop, can achieve good accuracy and efficiency. We formulate the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unctions to minimize localization errors as well as the number of transmission during localization phase.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scheme using extensive simulation on several anisotropic and isotropic topologies. Our scheme can achieve dual objective of accuracy and efficiency for various scenarios. Furthermore, the recently proposed algorithms require random uniform distribution of anchors. We also utilized our proposed scheme to compare and study some practical anchor distribution schemes.

계층적 Mobile IPv6에서의 이동노드를 기반으로 한 경로 개선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ute Improvement Method based on Mobile Node in Hierarchical Mobile IPv6)

  • 김철규;김정석;김정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1-356
    • /
    • 2004
  • 경로 최적화를 기본으로 한 Mobile IPv6의 바인딩 갱신은 자주 이동하는 노드에 의해 시그널링 트래픽 증가를 초래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MAP(Mobile Anchor Point)를 두어 매크로 이동성과 마이크로 이동성의 지역적 이동성을 고려한 계층적 Mobile IPv6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계층적 Mobile IPv6는 패킷 전송에 있어서 MAP를 항상 거쳐야 하므로 MAP의 패킷 집중현상이 발생하고 경로 최적화를 보장하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동 노드의 이동성을 고려한 경로 개선을 수행하여 MAP로의 패킷 집중현상의 완화특성을 해석한다.

  • PDF

사용자 주도 폼 다이얼로그 시스템의 VoiceXML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oiceXML Application of User-Controlled Form Dialog System)

  • 권형준;노용완;이현구;홍광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4B권3호
    • /
    • pp.183-190
    • /
    • 2007
  • VoiceXML은 음성을 통해 웹 자원 탐색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XML 기반의 새로운 마크업 언어이다. VoiceXML로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은 기계 주도 폼 다이얼로그 구조와 상호 주도 폼 다이얼로그 구조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다이얼로그 구조들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서비스 시나리오가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유롭게 웹 자원을 탐색하는 서비스를 구축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서비스 시나리오가 결정되는 음성 웹 서비스의 구축을 위해 사용자 주도 폼 다이얼로그 시스템의 VoiceXML 어플리케이션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정보로부터 인식 후보들을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음성 앵커로 사용하고 각각의 음성 앵커론 새로운 음성 노드로 연결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예로 IT 용어사전을 내장한 뉴스 서비스를 구현하여 음성 앵커의 검출 및 등록 여부를 확인하였고, 음성 인식률 및 사용자가 의도한 정보를 성공적으로 제공했는지 판단하는 척도가 되는 적중률과 응답 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시스템이 기존의 VoiceXML 폼 다이얼로그 구조의 시스템보다 더 자유로운 웹 자원의 탐색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중 다중 링을 이용한 측위 기법 (Localization Scheme with Weighted Multiple Ring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안홍범;홍진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7권5호
    • /
    • pp.409-414
    • /
    • 2010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노드의 지리적인 위치를 요구하는 응용들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 다양한 위치 측위 알고리즘들이 제안 되었지만, 대부분의 알고리즘은 특정한 하드웨어로 얻은 RSSI와 LQI 측정치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추가적인 정보를 이용하지 않아도 기존 연구와 근사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가중 다중 링을 이용한 측위' 알고리즘 WMRL(Weighted Multiple Rings Localization)을 제안한다. 고정노드(anchor nodes)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고정노드는 주기적으로 서로 다른 신호 세기의 비콘(beacon) 신호를 송출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비콘 신호는 공간상에 링을 형성하게 되며, 파워 레벨의 세기에 따라 다수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동시에 링 간에 교차영역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측위 계산을 위해 각 링의 거리 비율에 따른 가중치 모텔을 제안한다. 또한, 센서노드는 수신이 가능한 고정노드로부터 가장 가까운 링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센서노드는 자신의 위치를 고정노드 좌표의 가중 합으로 구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분산적으로 위치를 계산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요구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비 신뢰적인 RSSI 및 LQI에 의존하지 않고, 각 링 간의 거리 비율로 측위가 가능한 것이 특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MRL은 시뮬레이션 결과 2개의 링, 즉 2개의 파워 레벨로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기존의 centroid 방식보다 평균 측위 에러가 2배 감소하였고, 3개의 링을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WCL(Weighted Centroid Localization)과 대등한 측위 결과를 보였다.

모바일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적응적 파워 조절 기반 효율적인 위치인식 기법 (Adaptive Power Control based Efficient Localization Technique in Mobile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좌형;정인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6호
    • /
    • pp.737-746
    • /
    • 2009
  • 이동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인식서비스는 센서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이다. 그동안 이동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법들은 단일 사용자인 경우만 고려하여 연구되어 이를 다중 사용자인 경우로 확장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여러 이동 사용자들이 한 지역에서 동시에 위치인식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센서노드들이 발생시키는 라디오 주파수나 초음파 등이 서로 간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이동 사용자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위치확인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발생 가능한 간섭을 최소화 하는 적응적 파워 조절에 기반한 위치인식 기법인 APL(Adaptive Power Control based Resource Allocation Technique for Efficient Localization Technique)기법을 제안한다. APL기법은 센서노드가 위치인식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주위에 있는 앵커노드를 선점하여 점유함으로써 노드간의 간섭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IEEE 802.11에 정의된 RTS(Ready To Send)패킷을 자원 선점을 요청하는데 사용하며 CTS(Clear To Send)패킷을 자원 선점을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반대로 이미 앵커노드가 다른 노드에 의해 선점하여 위치인식 작업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해당 앵커노드들을 임계영역으로 정의한다. 임계영역 처리를 위한 NTS(Not To Send) 패킷을 새로이 정의하여 노드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거리측정 작업시 앵커노드간 동기화를 위한 STS(Start to Send)패킷을 새로이 정의한다. 최종적으로 센서노드의 전송 파워를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작업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실험을 통하여 이동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 노드 간에 간섭이 많이 발생함을 보이며 제안하는 APL기법이 위치인식 작업시 간섭을 방지함을 보인다.

HMIPv6 네트워크에서 자원예약 시그널링 지연을 줄이기 위한 크로스오버 노드 발견 및 지역적 자원 갱신 방안 (A Crossover Node Discovery and Local Repair Mechanism for Reducing the Signaling Delay of Resource Reservation on HMIPv6 Networks)

  • 변해선;이미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5C권1호
    • /
    • pp.37-44
    • /
    • 2008
  •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MN(Mobile Node)의 핸드오버 후 새로운 경로 상에 자원을 예약할 때 시그널링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이전 경로와 새로운 경로가 만나는 지점에 있는 노드인 크로스오버 노드(Crossover Node:CRN)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크로스오버 노드의 발견은 MN과 CN(Correspondent Node)간 설립된 종단간 SID(Session ID)를 주요키로 사용하여 이루어지지만, HMIPv6(Hierarchical Mobile IPv6) 네트워크에서 MAP(Mobility Anchor Point)과 HA(Home Agent)간 군집(Aggregate) 세션 단위로 자원예약을 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일반적인 방법의 적용이 어렵다. 군집 예약을 할 때에는 종단간 SID와는 별도로 군집 SID를 사용하는데, MN의 핸드오버 후 이전 MAP과 HA간 설립된 세션의 군집 SID가 새로운 MAP과 HA간 설립된 세션의 군집 SID와 달라서 SID를 이용하여 크로스오버 노드를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MIPv6 네트워크에서 차세대 네트워크 시그널링 프로토콜인 NSIS(Next Step in Signaling)를 이용하여 자원을 예약하는 경우 군집 예약이 이루어진 MAP과 HA간 터널상에서 크로스오버 노드를 발견하고, 크로스오버 노드를 발견한 즉시, 군집 예약된 자원의 갱신이 지역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그널링 메시지가 항상 터널의 끝 노드까지 전달되는 기존 방안에 비해 제안하는 방안이 자원 예약을 위한 시그널링 지연을 단축시키고, 핸드오버 동안의 평균 처리율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동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상호배제 기반 위치인식 기법 (Mutual Exclusion based Localization Technique in Mobile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좌형;임동선;정인범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493-1504
    • /
    • 2010
  • 이동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인식서비스는 센서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이다. 그동안 이동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법들은 단일 사용자인 경우만 고려하여 연구되어 이를 다중 사용자인 경우로 확장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여러 이동 사용자들이 한 지역에서 동시에 위치인식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센서노드들이 발생시키는 라디오 주파수나 초음파 등이 서로 간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이동 사용자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위치확인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발생 가능한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는 LME기법을 제안한다. LME기법은 센서노드가 위치인식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주위에 있는 앵커노드를 선점하여 점유함으로써 노드간의 간섭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IEEE 802.11에 정의된 CTS패킷을 자원 선점을 요청하는데 사용하며 RTS패킷을 자원 선점을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반대로 이미 앵커노드가 다른 노드에 의해 선점하여 위치인식 작업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해당 앵커노드들을 임계영역으로 정의한다. 임계영역 처리를 위한 NTS 패킷을 새로이 정의하여 노드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거리측정 작업시 앵커노드간 동기화를 위한 STS패킷을 새로이 정의한다. 실험을 통하여 이동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 노드 간에 간섭이 많이 발생함을 보이며 제안하는 LME기법이 위치인식 작업시 간섭을 방지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