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estral rite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6초

도시 가족의 재산.제사상속 의식과 행동의 변화에 대한 연구 (Th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the Inheritance of Asset and Ancestral Rites among Urban Families)

  • 김기영;박혜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1호
    • /
    • pp.269-281
    • /
    • 2001
  •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th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the inheritance of asset and ancestral rites among urban families. The aged were selected out of the continuing education center in Seoul for questionnaires to figure out the subjects abov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r the attitude toward the inheritance of ancestral rites, it was positive for the eldest son or the one who inherited much asset or the religious organization to perform the ancestral rites. But it was negative for the married daughter or the adopted son to hold the ancestral rites. 2. For the inheritance behaviour of the ancestral rites, it is not common for the eldest son to inherit ancestral rites but common to perform it. 3. In the group who are positive to donate their property to society, it is common not to prefer the eldest son in inheriting property. In the group who are positive about preferring the eldest son in inheriting property, they preferred the eldest son in succession to an asset. 4. Most of sons, especially the eldest son, were preferred in inheriting asset and ancestral rites. And they were much more preferred in inheriting ancestral rites than asset.

  • PDF

$\ulcorner격몽요결\lrcorner$에에 나타난 제례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Ancestral Rites Through the "Kyung-moon-yokyul")

  • 김인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2호
    • /
    • pp.59-70
    • /
    • 1997
  • As the ancestral rites is one of ritural ceremony in our country it's tradition have performed to-da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both filial piety as a thought of worshipping ancestors and the traditional ancestral ceremony through examinition of 「kyung-mong-yokyul」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practice of the filial piety and contribute to the morals of life and the culture of home life in nodern society. Also through it's litereture it is to research the forms of ancestral ceremony (time place, memorial dress, foods, etc)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the responsibility of acting ancestral rites at home life. According to 「kyung-mong-yokyul」on ancestral rites it stressed on the true heart rather than unrational materialistic courtesy. And the ancestral rites in the family system of traditional socity was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among practices at home especially the host(the eldest son and the eldest daughter in family) who hol this ceremony played a important roles.

  • PDF

祭需에 관한 문헌고찰 (A Study on Foods for the Ancestral Rites)

  • 이길표;김인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33-143
    • /
    • 1999
  • Originally, ancestral rites is a ceremony to pay filial piety to ancestors continuously even though they died, and this is a startingpoint based on the thought of paying respect to ancestors and 'root consciousness' which Korean people have. In the earliest days, Korean people worshipped nature and the sacrificial rituals were performed mainly for the fods of the skies and the earth. After the end-Koryeo Era introduced [Juja-Garye]ancestrial rites of forefather in home generalized. By the way, the foods for ancestrial rites on the original literature centering the [Sa-Rye-Pyon-Ram]are as follows: raw meat(saeng: 牲), rice and broth(ban, gaeng: 飯羹), fruits(果), slice meats(po: 脯), salted dry fish(jaban(佐飯), rice punch(sikhye: 食醯), soup(tang: 湯), fish and meat, roasts beef (jeok: 炙), roast vegetable(sookchae: 熟菜), rice cake(pyon: 餠), noodles(麵), soy(醬), Kimchi(沈菜), drink(酒), green tea(cha: 茶) etc. Today, ancestral rites, basically with this conception, has a function to bind the family and relatives as one. But as double income family are increasing, most housewives have heavy burden mentally and financially to prepare the food for the ancestral. The foods for ancestral rites can be said a way to express the internal true heart, and a basic medium to practice the filial piety. Many documents let us know that a few days before the ancestral rites, we should prepare the food for it with careful and pious attitude. And, they stress that our sincere attitude in preparing food is important rather than its quantity. In this industrial society, we have lots of difficulty preparing and observing the same service as it in the traditional socity. But I think that housewives can be freed from the burden they have to some degree when they realize what the true meaning of ancestral rites is and that the food for it plays a role an external expression.

  • PDF

전통제례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Korean Traditional Ancestral Rites)

  • 김인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1-6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late confucian ideas in Chosun-Dynasty with ancestral rites in order to recover our traditional rules of propriety and morality which is disappeared in mordern society. For this object, this study reviewed ceremonies of traditional society in examining original literature such as $\ulcorner$Kyung-moon-yokyal$\lrcorner$ by Lee Yul Kok, $\ulcorner$Karae-geep-ram$\lrcorner$, $\ulcorner$Oee-rae-mun-hae$\lrcorner$y Kim Jang Saeng, $\ulcorner$Sarae-pyun-ram$\lrcorner$ by Lee Jae which is written in Chosun-Dynasty. By this literatures, the main idea of ancestral rites represented in literture is that filial piet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and a true heart rather emphasized more than formality. From this study, I figured out that our traditional ancestral rites and its performance offered the mode군 good opportunities to learn how to respect other an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create better cultural life in modern home.

  • PDF

제례진설에 나타난 상징성의 재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recognition of symbolism in Ancestral Memorial Rites Arrangement)

  • 이철영;박채원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4호
    • /
    • pp.85-95
    • /
    • 2022
  • 본 연구는 전통사회와 현대를 이어주는 제례(祭禮)가 의례(儀禮)의 전승(傳乘)이라는 관점에서 제례진설에 나타난 상징성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전통의례의 삶과 죽음에 대한 유교적 생사관과 사상적 바탕이 되었던 음양오행론, 우주구조의 이해와 사시(四時)의 변화로 나타난다. 제사상의 진설이 조상의 존재를 인정하고 상징체계를 통해 산 자와 죽은 자가 시간과 공간적으로 소통하는 의례적 도구로 이해하였다. 또한 사계절과 하늘·땅·지하의 공간을 제수(祭需)의 선정과 배열을 통해 상징화하고 구체화하였다. 현대 제례진설에서 위치를 결정하는 요인은 대상에 대한 시·공간적 분석을 필요로 한다. 이는 제물이 기능적 역할 뿐만 아니라 제물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시·공간적 상징성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례진설에 나타난 사상적 배경과 상징체계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제례문화의 계승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구사당(九思堂) 김낙행(金樂行)의 제문(祭文) 연구(硏究) - 호소력의 근원에 대한 탐색 - (A Study on Gusadang Kim Nakhaeng's Writing for Ancestral Rites - Exploring the source of his appealing)

  • 정시열
    • 동양고전연구
    • /
    • 제59호
    • /
    • pp.93-120
    • /
    • 2015
  • 본고는 구사당 김낙행의 제문이 갖는 호소력의 근원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구사당은 18세기 영남의 유학자로서 지행합일과 실천궁행의 학덕으로 칭송받은 분이다. 구사당의 제문과 그의 스승인 밀암 이재의 서찰은 '구제밀찰'이라는 별호가 붙여질 정도였지만 현재 구사당의 제문에 대한 연구 성과는 전무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구사당의 제문 가운데 감정 표현이 특히 풍부한 3편을 논의 대상으로 했다. 제2장에서는 '미시적 관점에서 기억의 재구'라는 제목하에 구사당의 제문이 호소력을 갖춘 한 편의 작품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이유를 밝혔다. 산 자와 죽은 자가 공유할 수 있는 기억이 존재하는 데서 제문은 시작된다. 고인과의 일화가 제문이라는 무대에서 상세하게 재구성되는 데는 저자의 기억이 큰 역할을 한다. 제3장에서는 '고조된 감수성의 수사적 재구'라는 제목으로 제문에 필요한 수사적 장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문의 격을 높이고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사가 필요하다. 제문은 양식적 특성상 슬픔을 드러내는 글이지만 단순히 감정의 배출구가 되어서는 곤란하다. 제4장에서는 '애상적 분위기의 서사적 재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향한 산 자의 손짓이 호소력 있는 이야기가 되기 위해서는 서술의 초점이 분명해야 한다. 구사당은 서술 방식을 명확히 한 상태에서 고인의 인품과 안타까운 죽음, 지난 시절의 인연과 남은 자의 그리움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제문은 글을 통해 고인을 애도하고, 산 자의 슬픔을 재현하는 장이다. 이렇게 재현된 글이 제문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호소력을 지녀야 한다. 본고에서는 제문의 생명이라 할 수 있는 이러한 호소력이 진정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상례·제례에 관한 연구 - 현행 가정의례법령을 중심으로 (A Study on Funeral Rites and Ancestral Memorial Rites - Focusing on the current Family Ritual Act)

  • 정진구;이철영;박채원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4호
    • /
    • pp.81-90
    • /
    • 2020
  • 본 연구는 현행 가정의례법령에서 규정한 상례·제례에 관한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문제점의 제시와 실효성 확보를 연구하고자 한다. 상례·제례와 관련된 가정의례의 의식절차를 합리화하고 건전한 가정의례의 보급 및 정착을 위한 사업과 활동을 지원·조장하여 허례허식을 없애고 건전한 사회 기풍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전가정의례의 정착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동법 시행령이 제정되었다. 이에 모든 국민이 가정의례의 참뜻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가정의례의 의식절차를 엄숙하고 간소하게 행하 「건전가정의례준칙」을 정하였으며, 공무원, 공공기관·단체의 임직원 및 사회 지도층에 있는 자는 솔선하여 모범적으로 지키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1969년 제정된 가정의례준칙에 관한 법률 이후의 변화를 살펴보면, 양성평등 실현을 훼손하는 남녀차별적인 요소의 규정이 있으며, 가정의례법의 확산과 정착을 위한 교육의 진행은 각급 교육기관에 관한 처벌규정이 없어 실효성이 제한되어 왔다. 특히 국가자격제도로 운영 중인 '장례지도사 양성과정'에서도 가정의례에 관한 교육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상례·제례에 관한 가정의례법과 제도의 설치목적에 부합한 발전적 논의의 기초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주부의 가정경영관과 가정의례와의 상관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Homemaker's View of Homemanagement and the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 이길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41-164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home-maker's view of homemanagement and the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wedding ceremany, ancestral service, funeral rite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the 661 homemakers who live in Seoul, Busan, Inchon etc.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with SPSS Computer programs. Such methods as frequence, percentile, analysis of varianc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major results the study can be summaried as follows; 1) A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about view of homemanagement, 10 factors (which Eigen Value was above 1.0) out of 28 guestions were extracted. 2) In general, it can be said that the urban Homemaker's View of homemanagement varies by age, level of education, religion. 3) The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wedding ceremony, ancestral servic, funeral rites) varies by age, level of education, religion. 4) There is a positive relation i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rban homemaker's view of homemanagement and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wedding ceremony, ancestral service, funeral rites)(p<.001).

  • PDF

A study on the Metaverse based memorial service platform

  • Lee, Byong-K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93-100
    • /
    • 2022
  • 우리나라의 제사 문화는 코로나(COVID-19)로 왕래 및 접촉이 제한적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제사 문화는 직접 만나 고인을 추모한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Metaverse) 기술을 적용해 사이버 세상(가상현실)에서 고인을 추모하고 제사 의식할 수 있는 비대면 메타버스 추모관 플랫폼 서비스를 제안한다.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서비스는 고인의 일대기를 전시하는 회상관, 고인에 제사를 지내는 제사관, 고인의 유품과 유언장을 확인하는 고인 관을 구성했다. 또한, 가상현실장치(HMD:Head Mounted Display)는 어지러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Teleportation, 콘텐츠 해상도를 4K로 했다. 특히, 제사관은 상호작용(interaction) 기술을 적용해 가족 간에 제사하는 실감형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했다. 연구된 추모관 메타버스 서비스는 누구나 대면 형태가 아닌 비대면 상태에서 가족 단위로 고인을 추모하는 메타버스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이다.

조선초기 왕릉제사의 정비와 운영 (A Study of sacrificial rites related Royal Mausoleums in early Joseon Dynasty)

  • 한형주
    • 역사민속학
    • /
    • 제33호
    • /
    • pp.115-143
    • /
    • 2010
  •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가 풍수·지리학과 미술사 등에 편중된 현상에서 벗어나 국가의례의 관점에서 조선초기 왕릉제사의 제도적 마련과 의식 정비, 종묘와의 차별성, 그리고 능행의 정치사적 의미 등을 천착함으로써 왕릉의 역사적 위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왕릉 제사는 태조 즉위년 추존 4대왕(비)과 신의왕후의 제릉이 조성된 후 능직(陵直)과 수호군(守護軍)이 설정되고, 사맹월(四孟月)·삭망(朔望)·속절(俗節) 등의 제사가 정해지면서 시작되었다. 능제는 태종 초반 신의왕후 한씨의 제릉에 친제가 거행되면서 정리되기 시작했다. 특히 동왕 8년 태조의 사망으로 건원릉(健元陵)이 조성되어 흉례가 시행되고, 2년 후 3년상이 끝나면서 본격적으로 제사의 시행 및 의식의 정비가 모색되었다. 왕릉 주변의 금지(禁止)설정, 능제의 재정 확보, 건원릉친제의(健元陵親祭儀)와 섭행의(攝行儀)의 제정 등이 그 실례이다. 이후 세종즉위년에 정종, 동왕 2년에 태종비 원경왕후, 동왕 4년 태종이 잇달아 사망함으로써 후릉과 헌릉이 각각 조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흉례와 관련된 제반 의식들이 재검토되었고, 제사와 관련된 여러 세부 사항들과 배릉의(拜陵儀)가 수정·보완되었다. 그 내용은 이후 부분적 수정을 거쳐 국조오례의의 길례조와 흉례조에 수록되었다. 왕릉에서 시행된 제사는 사맹월의 시제와 삭망, 속절(정조, 한식, 단오, 추석, 동지, 납일) 등 다양한데, 당시 종묘 및 원묘인 문소전에서 시행된 것과 동일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고려 이래의 전통으로 사시제(四時祭)가 능제에서 배제된 중국사의 경험과 달랐다. 그런데 조선의 능제는 국가 사전(祀典)에 대사(大祀)로 편입된 고려시대와 달리 속제(俗祭)라는 별도의 체계속에 포함시킴으로써 국가의 대사인 종묘와 구분되었다. 아울러 능제를 흉례의 체계에 부가(附加)시킨 중국과 달리 왕릉 관련 의식을 흉례와 길례로 각각 구분하여 편입시키는 독자성을 보였다. 왕릉의 제사 시기가 종묘 및 원묘와 동일하다는 사실은 왕의 친행이 종묘보다는 왕릉에 집중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태조~성종의 102년간 종묘의 국왕친제가 41회에 불과한 반면 왕릉에는 170회에 걸쳐 이루어졌고, 문소전에서는 85년간 99회의 친제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원묘인 문소전의 폐지 및 왕릉에서의 사시제 폐지를 주장하는 여론은 조선전기 내내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결국 임진 왜란 과정에서 원묘인 문소전은 파괴되었지만 복구되지 못하였고, 왕릉의 사시제는 인조대에 이르러 폐지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왕릉제사는 속절제(납일 제외)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조선시대 제사에 왕이 참여한 사례는 예상외로 많지 않다. 대표적인 제사대상인 종묘의 경우에도 대략 2~3년에 한번씩 왕의 친행이 이루어졌을 뿐이었다. 반면에 왕릉의 친제는 매년 수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누대의 선왕이 모여 있는 혼전(종묘)보다는 육신이 안치된 개별 능에 인간적인 친근감을 느끼고, 능행중에 원찰에의 행행이 쉬웠으며, 능제가 속제이기 때문에 제사과정이 간략하다는 이유 등이 결합되어 나타난 것이다. 장엄한 의장을 갖추어 진행된 능행은 일반 민에게 우리의 '왕'을 알리는 동시에 그들의 생활상을 왕이 직접 관찰하여 통치의 기반으로 삼았던 중요한 정치적 행위였다. 아울러 초기의 국왕들은 능행의 과정에서 강무(講武), 대열(大閱), 진법(陣法) 등 군사훈련을 상시적으로 시행함으로써 그들의 군사통수권을 과시하는 정치 수단으로 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