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recognition of symbolism in Ancestral Memorial Rites Arrangement

제례진설에 나타난 상징성의 재인식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2.10.17
  • Accepted : 2022.10.25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meaning of symbolism in ancestral memorial rite arrangemen from the view that ancestral worship connecting traditional society with modernity are the transmission of ritual. It appears as a change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hat became the basis and ideology about the Confucian view of life and death, an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structure, and a change in the four seasons. Ancestral memorial rite arrangements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ancestors. And it is understood as a ceremonial instrument which the living and the dead communicate spatially with time through the symbolic system. In addition, the four seasons, spaces of the skyground and underground were symbolized and embodied through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ancestral memorial rites. In the modern ancestral memorial rite arrangement,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location require Time-space analysis of the target. This is because the offering is understood not only as a functional role but also as a temporal and spatial symbolism to be expressed through the offering.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consider it from the perspective of inheritance of ancestral worship culture through discussions about the ideological background and symbolic system that appeared in ancestral memorial rite arrangement

본 연구는 전통사회와 현대를 이어주는 제례(祭禮)가 의례(儀禮)의 전승(傳乘)이라는 관점에서 제례진설에 나타난 상징성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전통의례의 삶과 죽음에 대한 유교적 생사관과 사상적 바탕이 되었던 음양오행론, 우주구조의 이해와 사시(四時)의 변화로 나타난다. 제사상의 진설이 조상의 존재를 인정하고 상징체계를 통해 산 자와 죽은 자가 시간과 공간적으로 소통하는 의례적 도구로 이해하였다. 또한 사계절과 하늘·땅·지하의 공간을 제수(祭需)의 선정과 배열을 통해 상징화하고 구체화하였다. 현대 제례진설에서 위치를 결정하는 요인은 대상에 대한 시·공간적 분석을 필요로 한다. 이는 제물이 기능적 역할 뿐만 아니라 제물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시·공간적 상징성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례진설에 나타난 사상적 배경과 상징체계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제례문화의 계승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숙인, (2006), "『주자가례』와 조선 중기의 제례 문화 - 결속과 배제의 정치학 -", 정신문화연구 제29권 제2호.
  2. 이경아, "禮에 나타난 象徵的 表現의 意味 分析 -眞性李氏 不遷位祭禮의 경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1982.
  3. 변태섭, "韓國古代의 繼世思想과 祖上崇拜信仰", 역사교육 3집, 역사교육연구회, 1958.
  4. 야마타 케이지, 김석근 편역, 『朱子의 自然學』, 통나무, 1998.
  5. 김상혁, 「의기집설의 혼천의 연구」,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2002.
  6. 이철영, (2007), 「한민족의 전통적 생사관에 관한 연구: 음양오행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정윤, (2001), 「陰陽五行說의 成立과 그 理論的 배경 -春秋·戰國時代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철학과 석사학위논문.
  8. 임채우, (2014),⌜주역 음양 관계론의 정합성 문제」, 『동서철학연구』, 제72호.
  9. 최영진, (1989), 「易學思想의 哲學的 探究 : 『周易』 의 陰陽對待的 構造와 中正思想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박사학위논문.
  10. 김영목, (2001), 「陰陽五行思想의 存在論的 考察」, 충남대학교 대학원.
  11. 채병윤, 『인간과 오행』, 집문당. 1997.
  12. 배영동, (1999),⌜안동지역 일상음식과 제사음식의 비교」, 『民俗硏究, vol. 9』.
  13. 김미영, (2008),⌜조상제례의 일상성과 비일상성」 『비교민속학』35집, 비교민속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