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ylopectin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8초

수침기간에 따른 찹쌀가루와 찹쌀전분의 이화학적 및 구조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axy Rice Flours and Starches during Soaking Time)

  • 박사라;노준희;신말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57-465
    • /
    • 2016
  • Effects of soaking time on the physicochem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axy rice flours and starches purified from flours using the alkaline steeping method were investigated. Korean cultivar Sinseonchal waxy rice was washed and soaked in tap water (1:2 w/w)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15 days. On each day of soaking for 0, 1,2 3, 5, 10, and 15 days, pH of soaking water was measured and rice grains were dried, ground, and passed through 100 mesh sieve. The pH was reduced to 3.90 by day 5 and increased to 4.60 by day 15. The protein and ash contents, swelling powers and solubilities of flours and starches decreased with increasing soaking time. The water-binding capacities increased while trends were not similar to soaking time. The flour particle size distribution ranged from two to four peaks with increasing soaking times. Starch granule size decreased with increasing soaking time. The peak, trough, and final viscosities of flours and starches showed similar trends until 10 days and 15 days, respectively. The starches presented higher viscosities than the flours. The branch chain length distributions of amylopectin of starches showed an increaseed DP6~12 portion and decreased DP13~24 portion with increasing soaking time of waxy rice grains.

${\beta}-Glucan$이 보리 전분의 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Glucan$ on Gelatinization of Barley Starch)

  • 최희돈;석호문;김성란;박용곤;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45-550
    • /
    • 2003
  • ${\beta}$-Glucan이 보리 전분의 호화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VA 분석에 의하면 ${\beta}$-glucan의 첨가에 의해 전분은 RVA 상에서의 호화개시가 빨라지고 점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SC 분석 결과 ${\beta}$-glucan 첨가에 의해 전분입자가 안정화되어 전분의 호화개시 및 peak 온도가 증가하였으며, X-선 회절 양상 결과에서도 ${\beta}$-glucan 첨가에 의해 전분의 결정성이 증진되어 DSC 분석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beta}$-glucan 첨가는 전분의 호화과정 중의 전분입자의 형태 및 amylose, amylopectin의 용출양상과 팽윤력, 용해도 등의 호화시 발생하는 특성의 변화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Glycogen-Debranching Enzyme from Hyper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shibatae

  • Van, Trinh Thi Kim;Ryu, Soo-In;Lee, Kyung-Ju;Kim, Eun-Ju;Lee, Soo-B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792-799
    • /
    • 2007
  • A gene encoding a putative glycogen-debranching enzyme in Sulfolobus shibatae(abbreviated as SSGDE) was cloned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he recombinant enzym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by heat treatment and Ni-NTA affinity chromatography. The recombinant SSGDE was extremely thermostable, with an optimal temperature at $85^{\circ}C$. The enzyme had an optimum pH of 5.5 and was highly stable from pH 4.5 to 6.5. The substrate specificity of SSGDE suggested that it possesses characteristics of both amylo-1,6-glucosidase and $\alpha$-1,4-glucanotransferase. SSGDE clearly hydrolyzed pullulan to maltotriose, and $6-O-\alpha-maltosyl-\beta-cyclodextrin(G2-\beta-CD)$ to maltose and $\beta$-cyclodextrin. At the same time, SSGDE transferred maltooligosyl residues to the maltooligosaccharides employed, and maltosyl residues to $G2-\beta-CD$. The enzyme preferentially hydrolyzed amylopectin, followed in a decreasing order by glycogen, pullulan, and amylose.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glycogen-debranching enzyme from S. shibatae may have industrial application for the efficient debranching and modification of starch to dextrins at a high temperature.

작은와포자충에서 면역황금염색법을 이용한 actin과 myosin의 위치 관찰 (Localization of actin and myosin in Cryptosporidium parvum using immunogold staining)

  • 유재란;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155-164
    • /
    • 1995
  • Cyptosporidium parvum의 발달 단계별 actin과 myosin의 분포 위치를 면역황금염색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Depomedrol^{\circledR}$을 ICR마우스에 피하주사하여 면역억제시킨 후 C. parvum이 발현된 마우스 회장을 잘라 LR gold로 포매하여 초박절편을 떴다. 일차항체로는 chickenbackmuscle actin과 bovine uterus myosin에 대한 rabbit polyclonal antibody를 사용하였고 이차항체로는 10 mm 크기의 황금입자가 결합된 goatanti-rabbit lgG를 반응시켰다 Uranylacetate와 leadcitrate로 염색한 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Trophozoite에서는 세포막에서 주로 actin과 myosin이 관찰되었고 feederorganelle 주위 세포질에는 actin이 분포하였다. Meront와 같이 활발히 분열하고 있는 단계에서는 세포막과 세포질 전체에 actin이 분포되어있었으며 myosin은 세포막에서만 소량 관찰되었다. 핵과 anlage of rhoptries 등은 두 단백질에 모두 염색되지 않았다. Macrogametocyte 에서는 amylopectin-lile bodies에서 actin과 myosin이 모두 관찰되었으나 wall forming bodies에서는 관찰되지 않았고 feederorganelle 주위 세포질 부분에서는 actin이 관찰되었다. Sporozoite를 포함하는 oocyst와 merozoite를 포함하는 meront에서는 세포막과 세포막사이에서 actin이 다수 관찰 되었으며 myosin은 소량 관찰되었다. Merozoites가 빠져나가 속이 비어있는 parasitophorous vacuole중에는 microspike를 형성한 것들이 종종 관찰되었고 이것이 좀더 길어져 마치 microvilli와 같이 보이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러한 구조물에서도 actin이 다수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actin과 myosin은 세포막에 주로 분포하면서 C. parvum의 형태를 유지시키며 또한 세포막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cytoskeletalproteiA으로서의 역할이 주된 작용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Structur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by barley cultivars

  • Kim, Hyun-Joo;Woo, Koan Sik;Lee, Jihae;Lee, Byong Won;Lee, Yu-Young;Jeon, Yong Hee;Lee, Byoungkyu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779-787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by barely cultivars. Hwanggeumchal had a moisture content and ${\beta}$-glucan content of 12.02 and 6.23%, respectively. Hyegang had higher protein contents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particle size of starch, Hwanggeumchal and Hyegang had smaller particles of starch compared with the other cultivars at 15.7 and $15.9{\mu}m$,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on the content of damaged starch showed that Dahan and Hyegang had a damaged starch content of 1.14 and 1.20%, whereas Boseokchal and Hwanggeumchal were 0.76 and 0.49% respectively, showing low waxy cultivars. As for the content of amylose, the results show that Dahan and Hyegang had an amylose content of 37.07 and 37.75%, and Boseokchal and Hwanggeumchal were at 11.22 and 37.75%, respectively. As for the degree of amylopectin polymerization, all four cultivars had the highest degree of polymerization (DP) content of 13 - 24 at more than 54%, whereas the DP content ${\geq}37$ was the lowest at less than 5.35%. The results for the soluble and resistant starch content show that the content of soluble starch ranged from 93.90 to 95.76%, and resistant starch was 0.17 - 0.40%. After analyzing the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barley starch, the value of the setback was low in Hwanggeumchal and Hyegang;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aging process of those cultivars will be slower than that of the others.

화학적 처리방법에 의한 변성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odified Starch Made by Chemical Treatment)

  • 송은승;우나리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96
    • /
    • 2007
  • Developing carbohydrate fat replacer as materials for low-calorie and low-fat food made of Korean potato, it is expected that the new demand of fat replacer will be created. Potato starch was modified by chemical modification. Observing modified starch(treated in different method) by SEM, EZ(treated by enzyme) showed shape of deformed round oval, AC(treated by acetylation,), HPR(treated by hydropropylation) showed shape similar to that of NL(N-Lite), the commercial fat replacer. In the modified starch such as AC, peak in B and C type similar to those of general starch was found, but EZ showed non-crystalline shape. Compared to other modified starch, HPR, the chemically produced denatured starch showed very peculiar peak and structure in V-form. While the order of contents of amylopectin was in the order HPR > EZ > AC showed extremely high contents. Measuring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per the modified method,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of HPR as much higher than others. The water binding activity of modified starch was 240% in HPR. Measuring viscosity by producing general starch and modified starch as gel of 10% concentration, the CPS showed very high viscosity of 30.30 ${\times}$ 10$^3$ cp. Showing viscosity of 38.60, 31.60 10$^3$ ${\times}$ cp, the modified starch was in the order of HPR. While the calorie of starch of GPS was measured to be 3.0 Kcal/g, very low calorie those of chemically modified starch, HPR showed 2.5 Kcal/g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calorie is decreased by modified treatment. The appropriateness of processing food was experimented by substituting the existing oil and fat containing food with saturated gel of starch and modified starch in constant rate through utilization of modified starch.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materials and related products which maintain the existing quality and reduce fat contents will be constantly performed in the future.

Disentangling Evolutionary Pattern and Haplotype Distribution of Starch Synthase III-1 (SSIIIb) in Korean Rice Collection

  • Bhagwat Nawade ;Yong-Jin Par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4-214
    • /
    • 2022
  • Soluble starch synthases (SSs) elongate α-glucans from ADP-Glc to the glucan nonreducing ends and play a critical role in synthesizing resistant starch in the rice. A total of 10 SSs isoforms were reported in rice, including granules-bound starch synthase I (GBSSI), GBSSII, starch synthase I (SSI), SSIIa (SSII-3), SSIIb (SSII-2), SSIIc (SSII-1), SSIIIa (SSIII-2), SSIIIb (SSIII-1), SSIVa (SSIV-1), and SSIVb (SSIV-2). SSIII proteins are involved in forming the B chain and elongating cluster filling chains in amylopectin metabolism. The functions of SSIIIb (SSIII-1) are less clear as compared to SSs. Here, we sought to shed light on the genetic diversity profiling of the SSIII-1 gene in 374 rice accessions composed of 54 wild-type accessions and 320 bred cultivars (temperate japonica, indica, tropical japonica, aus, aromatic, and admixture). In total, 17 haplotypes were identified in the SSIII-1 coding region of 320 bred cultivars, while 44 haplotypes were detected from 54 wild-type accessions. The genetic diversity indices revealed the most negative Tajima's D value in the temperate-japonica, followed by the wild type, while Tajima's D values in other ecotypes were positive, indicating balancing selection. Nucleotide diversity in the SSIII-1 region was highest in the wild group (0.0047) while lowest in temperate-japonica. Lower nucleotide diversity in the temperate-japonica is evidenced by the negative Tajima's D and suggested purifying selection. The fixation index (FST) revealed a very high level of gene flow (low FST) between the tropical-japonica and admixture groups (FST=-0.21) followed by admixture and wild groups (-0.04), indica and admixture groups (0.02), while low gene flow with higher FST estimates between the temperate-japonica and aus groups (0.72), tropical-japonica and aromatic groups (0.71), and temperate-japonica and admixture groups (0.52). Taken together, our study offers insights into haplotype diversity and evolutionary fingerprints of SSIII-1. It provides genomic information to increase the resistant starch content of cooked rice.

  • PDF

하천변 농경지에서 질소 시비량 차이가 옥수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itrogen Rates on The Growth and Yield of Maize in Agricultural Fields with the Stream)

  • 임정택;장재혁;노예진;류진희;정덕영;조진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01-108
    • /
    • 2014
  • 본 연구는 하천변 농경지에서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옥수수의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살펴보고 광합성 측정과 성분 분석을 통해 질소가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하천변 농경지 재배에서 질소 시비의 필요성과 적정 질소 시비를 통한 수량 증대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질소 처리에 따른 옥수수 생육특성은 초장과 착수고의 경우 질소 시비량에 의한 큰 차이가 없었다. 광합성은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36 kg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옥수수의 NDF와 ADF 함량은 처리구간 차이 없었으며 NDF는 출웅 후 8일 이후 감소하였으며, ADF는 출웅 후 15일 이후 감소하였다. 옥수수 잎의 질소 흡수량은 출웅기에 36 kg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는 이삭길이와 100립중의 경우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이삭직경과립수의 경우 무처리구와 9 kg 처리구에 비하여 18 kg 처리구와 36 kg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과피는 18 kg 처리구와 36 kg 처리구에 비하여 무처리구와 9 kg 처리구에서 두꺼웠고, 수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18 kg 처리구, 36 kg 처리구, 9 kg 처리구가 많았다. 옥수수 종실의 전분함량은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으며, 총당은 18 kg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아밀로펙틴은 18 kg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아밀로오스는 18 kg 처리구에서 가장 낮아 18 kg 처리구에서 찰성이 가장 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하천변 농경지에서 옥수수 재배시 질소시비가 필요하며 가장 이상적인 질소 시비량은 10a당 18 kg 정도로 판단된다.

찰옥수수 자식계통의 주요 품질특성과 관련된 SSR마커 (SSR Marker Related to Major Characteristics Affected Kernel Quality in Waxy Corn Inbred Lines)

  • 정태욱;문현귀;손범영;김선림;김순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85-192
    • /
    • 2006
  •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자식계통들을 대상으로 SSR 마커를 이용하여 자식계통간 유연관계 등을 분석하고 계통군화 시켜 교배 모, 부본 선정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종실의 품질특성들과 연관되어 있는 분자마커를 선발하여 품질육종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품질 찰옥수수 품종육성에 이용하기 위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64개 자식계통의 genomic DNA증폭에 의해 30개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전체 225개, 마커 별로는 $2{\sim}13$개, 평균 7.5개의 alleles가 관찰되었으며 PIC값은 $0.14{\sim}0.87$의 범위였고 평균 0.69의 다양성을 보였다. 2. 증폭된 밴드의 유무를 이용하여 계통간 유전적 거리를 구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9개 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특히 I군의 경우 64계통 중 41%인 26계통이 포함되었으며 나머지 군들은 $3{\sim}9$개의 자식계통이 포함되었다. 3 유전적 거리에 의한 자식계통군의 분류 결과를 기존에 육성된 교잡종들과 비교해 본 결과 찰옥1호의 모, 부본인 KW1, KW2는 각각 I군과 VII군, 찰옥2호의 모, 부본인 KW7, KW3은 각각 I군과 VIII군에 속해 있었으며, 고식미 교잡종인 찰옥4호는 모, 부본인 KW33과 KW35는 I군과 IV군, 일미찰의 모, 부본인 KW51, KW35도 I군과 IV군에 속해 있어서 원연간에 교잡이 이루어 진 것으로 나타났다. 4. 30개 SSR 마커에 의해 발생된 대립인자와 품질관련 특성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아밀로펙틴 함량 등 8개 형질과 관련되는 마커를 선발하였다. 이 마커들 중 umc 1019는 아밀로펙틴, 단백질 함량과 연관되었으며 umc1020은 아밀로펙틴 함량, 최고점도 및 전체적 기호도와 관련되었고 bnlg1537은 백립중, 립장, 립폭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작할 수 있었다. 이 환원유(還元乳)를 일정(一定)한 조건(條件)에서 한국 영양권장량과 비교(比較)했을 때, 모든 영양소(營養素)를 충분(充分)히 공급(供給)할 수 있었는데 나이아신 만이 권장량에 미달하였다. 또한 분유(粉乳) C에서 철분이 약간 미달했고, 비타민A는 1일(日) 권장량에 6배(倍)나 되어 앞으로 재검토(再檢討)를 요(要)하는 문제라 하겠다. 4.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분유간(粉乳間)에 다수 차계(差界)를 보였으며, 필수(必須)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이 우유에 가까웠던 점(點)으로 보아 아미노산 조절(調節)은 없었는듯 하였다. 발효유의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우유와 거의 같았다. 5.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은 전체(全體) 포화지방산대(飽和脂肪酸對)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의 비(比)가 3종(種)의 분유간(粉乳間)에 비슷하였고, 특히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의 조성(組成)이 모유(母乳)와 유사(類似)하거나 높아 이들 지방산(脂肪酸)이 첨가(添加)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여러 결과(結果)들을 종합(綜合)할 때 3종(種)의 분유간(粉乳間) 영양효과(營養效果)는 비슷하고, 조제분유(調製粉乳)의 일반조성(一般組成), 무기질(無機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있어서 모유(母乳)에 상당히 접근(接近)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한편 철분, 비타민 등(等)의 강화(强化)로서 단일식품(單一食品)으로서의 효용성(效用性)을 높인 것은 사실이나, 일부 영양소(營養素)의 지나친 강화(强化)문제는 좀더 신중히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성(構成) polyol은 glycerol뿐이 었으며 세포외(細胞外) 지질(脂質)의 구성(構成) polyol은 glycerol, mannitol, xylitol 및 arabitol 이었다.로 보아 glucosamine 2분자(分子)에 한계의 인(燐)이 monoester결합(結合)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8. spot A화합물(化合物)은 glucosaminiyl

호알칼리성 Bacillus firmus가 생산하는 $\beta$-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의 정제 및 효소반응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ta$-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Excreted by Bacillus firmus var. aikalophilus.)

  • 신현동;김찬;이용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3-330
    • /
    • 1998
  • 호알카리성 Bacillus firmus var. alkalophilus가 생산하는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CGTase)를 호화시킨 팽윤감자전분을 이용한 흡착 및 탈착, 한외여과, DEAE-cellulose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그리고 Sephacryl HR-100을 이용한 gel filtration 등의 분리정제 과정을 통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CGTase의 분자량은 약 77,000 Da이었으며, 등전점은 6.2~6.3이었다. 최적 효소반응 온도 및 pH는 각각 5$0^{\circ}C$ 와 6.0 였고, 열 및 pH 안정성은 5$0^{\circ}C$까지와 pH 6.0~9.5 사이였다, 정제된 CGTase는 $Ca^{2+}$ 에 의하여 열 안정성이 크게 상당히 향상되었으며 최적 효소반응 온도와 열 안정성도 55~6$0^{\circ}C$와 6$0^{\circ}C$로 증가하였다. CGTase의 기질 특이성을 검토한 결과 여러 종류의 전분들로부터 $\beta$-CD를 주로 생성하였으며, ${\gamma}$-CD도 소량 생성하였으나 $\alpha$-CD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Sweet potato starch, corn starch, 그리고 amylopectin을 기질로 할 때 높은 CD전환율을 보였으며 $\beta$-CD와 ${\gamma}$-CB의 생성비가 5.8~8.4:1로서 $\beta$-CD를 고 수율로 생산하는 전형적인 $\beta$-type의 CGTase였다. 또한 본 효소의 최적 CD 생산조건은 기질농도 5.0%(w/v) corn starch, 효소첨가량 25 unit/g of starch로서 반응 8시간 후의 전체 CD량도 약 25 g/l로서 전환율은 50%였고, 이 때 $\beta$-CD농도는 21 g/l로서 전체 CD 중 84% 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