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phipods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5초

A New Record of Melita bingoensis (Crustacea: Amphipoda: Melitidae) from Korea

  • Shin, Myung-Hwa;Kim, 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7권2호
    • /
    • pp.201-204
    • /
    • 2011
  • A melitid species, Melita bingoensis Yamato, 1987 collected from the Yellow Sea,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is species has a slit-like pocket in coxa 6 of female, which is not found in other Korean melitid amphipods. In this paper, we compared this species with three other previously known Korean species in the same genus.

울릉도 해역의 단각류(갑각류) II (The Marine Amphipod Crustaceans of Ulreung Island, Korea : Part II)

  • 김원;김창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1호
    • /
    • pp.13-38
    • /
    • 1991
  • This study on the five families (Anamixidae, Colomastigidae, Eophliantidae, Eusiridae, and Hyalidae) of fammaridean amphipods of Ulreung Island was based on the materials collected at eight localities in Ulreung Island. Nine speices of seven genera were identified. Of these, three (Paranamixis denticulus, Colomastix prionotos, and Hyale bisaeta) were new to science. Three species (Ceinina japonica, Eusiroides monoculoides japonicus, and Allorchestes angusta) were new recordsfor Korean waters. These six species were descirbed with illustrations.

  • PDF

New Record of Two Species of Jassa from Korea (Crustacea: Amphipoda: Ischyroceridae)

  • Lim, Byung-Jin;Park, Ja-Yang;Min, Gi-Si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2호
    • /
    • pp.219-223
    • /
    • 2008
  • During the long-term surveys of marine environment some ischyrocerid amphipods were collected, which indicated the various types of habitats. Among them the two species, Jassa marmarata Holmes, 1903 and J. marinai Conlan, 1990, are here reported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with short redescriptions. J. marmarata occurs in the cirripedian community, while J. marinai between marine algal colonies at low tide on the rocky shore.

Feeding Habits of Caenogobius mororanus Inhabited at Intertidal Zone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 Kim, Jong-Yeon;Yoon, Jong-Ma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15-316
    • /
    • 2001
  • To understand feeding habits of Cheaenogobius mororanu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y analyzing stomach contents. C. mororanus were monthly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zone of Dodun-ri, Sochon from May 1997 to April 1998. Fullness of stomach was increased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C. mororanus(1.0 ∼5.9 cm in standard length) was a carnivores consuming mainly decapods, amphipods and copepods. (omitted)

  • PDF

여수 소리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군평선이(Hapalogenys mucrona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elted Beard Grunt, Hapalogenys mucronatus, in the Coastal Waters off Sori Island, Yeosu, Korea)

  • 서호영;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8-263
    • /
    • 2005
  • 군평선이의 식성을 연구하기 위해 여수 소리도 주변 해역에서 소형 trawl을 이용하여 2003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채집된 군평선이의 위내용물을 조사하였다. 군평선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였으며, 그 다음으로 게류, 갯지렁이류 및 단각류순으로 중요하였다. 그 외에 이매패류, 두족류, 해초류, 집게류, 등각류, 미동정 난, 곤쟁이류, 복족류 및 요각류 등이 발견되었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군평선이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전환이 뚜렷하였다. 가장 작은 크기군인 체장 10~11.9 cm 크기군에서는 단각류의 점유율이 높았지만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단각류의 점유율은 점차 감소한 반면, 새우류의 점유율이 증가하여 12~17.9 cm 크기군에서는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 되었다. 한편 체장 18~22.1 cm 크기군에서는 갯지렁이류의 점유율이 증가하여 새우류와 더불어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군평선이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크기가 점차 증가하였다.

장봉도 갯벌의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와 조피볼락(Sebastes schiegeli)의 섭식생태 (Comparative Feeding Ecology of Sympatric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and Schlegel'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in the Jn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 서인수;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4-94
    • /
    • 2007
  • The comparative feeding ecology of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and Schlegel'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reli populations was investigated in the Jangbong tidal flat near Incheon, Korea. Monthly samples were taken using a modified otter trawl from November 1999 to January 2001. The stomach contents of 124 greenling and 115 Schlegel's black rockfish were analyzed. The diet of H. otakii was dominated by the amphipods Gammaropsis iaponicus, Caprella scaura, Isaeopsis sp. and Monocorophium acherusicum, the shrimps Latreutes mucronatus and Alpheus japonicus, the mysid Neomysis orientalis and the bivalve Mytilus edulis. In contrast, S. schlegeli mainly fed on the mysids N. orientalis, N japonica, and N. awatschensis, the shrimps Exopalaemon carinicauda, A. japonicus and L. mucronatus, and the fish Pholis fangi and unidentified gobiids. A comparison of the frequency and abundance of food items showed that crustaceans (e.g. amphipods, mysids and shrimps) were important foods for both species. Their main dietary components, however differed which is probably due to differenc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two species and their prey items. In conclusion, greenling and Schlegel's black rockfish, despite being sympatric on a tidal flat have distinct food habits and low dietary overlap (Schooner's index: 0.1). These results indicate, to some extent, resource partitioning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available foods in the tidal flat.

한국 동해에서 채집된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Korea)

  • 이해원;강용주;허성회;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4-50
    • /
    • 2007
  • 도루묵의 식성을 조사하기 위해 강원도 삼척 연안해역에서 기선저인망을 이용하여 2003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매월 채집된 2,115개체의 도루묵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도루묵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단각류(Amphipoda)였으며, 다음으로 곤쟁이류(Mysidacea), 두족류(Cephalopoda), 어류(Pisce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 밖에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난(Eggs), 이매패류(Bivalvia), 선형동물(Nematoda), 해초류(Seagrass) 등도 도루묵의 위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으나, 그 양이 매우 적었다. 도루묵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 조성의 변화를 보였는데, 가장 작은 크기군인 체장 9~10 cm 크기군에서는 곤쟁이류와 단각류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도루묵의 크기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체장 16~23 cm 크기군에서는 단각류의 점유율은 더욱 증가하였으며, 두족류와 어류의 점유율이 증가하였다.

통영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문치가자미(Pleuronectes yokohamae)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Marbled Flounder, Peluronectes yokohamae in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 허성회;남기문;박주면;정재묵;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7-83
    • /
    • 2012
  • 통영주변해역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문치가자미 395개체를 채집하여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채집된 개체는 표준체장 10.5~38.8 cm의 체장범위를 나타내었다. 문치가자미는 저서성 육식어류로써 주로 이매패류, 단각류, 갯지렁이류를 섭식하였고, 그 외 약간의 유형동물류, 산호충류, 등각류, 요각류, 주걱벌레붙이류, 새우류, 게류, 거미불가사리류를 섭식하였다. 문치가자미는 generalized feeder의 섭식전략을 나타냈고, 체장이 커짐에 따른 주 먹이생물의 변화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먹이생물의 크기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두줄망둑(Tridentiger trigonocephalus) 자치어의 먹이생물 (Food Organisms of Juveniles of Tridentiger trigonocephalus from the Intertidal Zon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 김종연;윤종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180-185
    • /
    • 2016
  • 두줄망둑 자치어기의 먹이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2년 5월말부터 6월초 사이에 충남 서천군 서면 도둔리의 조간대에서 채집된 두줄망둑의 위내용물을 조사하였다. 섭식참여율은 낮 동안에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차례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줄망둑의 자치어의 주요 먹이생물은 copepods, amphipods, shrimp larvae, polychaete larvae 등이었으며, 이들이 건중량의 2% 이상을 차지하였다. 그중에서 copepods가 평균 65.5%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고, polychaete larvae, shrimp larvae 등의 순으로 많이 출현하였다. 먹이생물의 개체수 조성비를 보면, copepods가 65.4%를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polychaete larvae는 22.6%, shrimp larvae는 14.5%를 차지하였다. 먹이생물 중 copepods는 개체수 조성비가 높고 출현율도 높아서, IRI가 5,369.3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polychaete larvae는 653.1, shrimp larvae는 287.1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두줄망둑의 자치어기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copepods, polychaete larvae, shrimp larvae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