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carbonyl reactio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3초

Synthetic Studies on Fused Nitrogen-heterocycles from N-Amino-N,N '-dihydrodiazinediones (II). Condensation of N-Amino-N,N '-dihydrodiazinediones with ${\alpha},{\beta}$-Unsaturated Carbonyl Compounds

  • Sung Chul Shin;Kyung Ho Kang;Youn Young Lee;Yang Mo G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1권1호
    • /
    • pp.22-25
    • /
    • 1990
  • The condensation of 1-amino-1,2-dihydro-3,6-pyridazinedione (1) and 2-amino-2,3-dihydro-1,4-phthalazinedione (2) with mesityl oxide or 3-penten-2-one in acetic acid-ethanol (1:1) gave 3,4,6,9-tetrahydro-6,9-dioxopyridazino[1,2-a][1,2, 3]triazines (9,11) and 3,4,6,11-tetrahydro-6,11-dioxo[1,2,3]triazino[1,2- b]phthalazines (10,12), respectively. The condensation of 1 and 2 with crotonaldehyde, cinnamaldehyde or acrylaldehyde under the same reaction condition gave only N-alkylidene derivatlives (3-8). When the N-alkylidene derivatives isolated from the reaction of 1 and 2 with crotonaldehyde and cinnamaldehyde (3-6) were refluxed in acetic acid, the corresponding heterocyclic compounds (13-16) were obtained.

D-Glucose-Glycine 계의 Maillard 반응생성물 및 그 생성기구 (Maillard Reaction Products Formed from D-Glucose-Glycine, System and Their Formation Mechanism)

  • 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1
    • /
    • 1986
  • D-glucose-glycine 계를 사용하여 Maillard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저분자 휘발성성분을 비롯하여 amide 화합물의 생성 및 그 기구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동정된 저분자 휘발성성분 중에서, headspace gas 중의 휘발성성분은 furan, acetone, 2-methylfuran, 2,5-dimethylfuran 2-butanone 2,3-pentanedione, diacetyl 등이었다, 이 중에서 diacetyl의 생성량이 가장 많아, 전 peak 면적의 약 $70\%$를 차지하였다. 또한, 에테르 추출물중의 주요반응생성물은 초산, furfuryl alcohol 2,5-dimethylpyrrole 2-acetylpyrrole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 등이었고, ethyl acetate 로 추출한 산성획분중에는 N-acetyl-glycine와 N-methylacetamide 등 2종류의 amide 화합물의 생성이 밝혀졌다. 이들 amide 화합물적 생성기구를 밝히기 위하여, Mailiard 반응초기생성물인 diacetyl 및 glyoxal을 각각 butylamine과 반응시킨 결과, Schiff 염기의 산화적 분해로 N-butylacetamide 및 N-butylformamide의 생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N-acetylglycine 및 N-methylacetamide는 glucosylamine의 2,3-enol 화 및 ${\beta}-elimination$에 의한 탈수의 진행으로 생성된 dicarbonyl 화합물이 glycine과 반응하여 Schiff 염기를 형성하고, 이 Schiff 염기가 산화적분해를 받아서 N-acetylglycine이 생성되고, N-methylacetamide는 N-acetylglycine의 탈탄산에 의해서 생성된다고 생각한다.

  • PDF

Fructose-Glycine 혼합계에 있어서 Amino-Carbonyl 반응 (The Amino-Carbonyl Reaction in the Fructose-Glycine Mixture System)

  • 이진호;한강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1-359
    • /
    • 1989
  • 본 연구는 amino-carbonyl 반응물로서 fructose와 glycine을 model로 선정하여 완충액, 반응온도, 시간, pH, 농도 및 억제제의 영향에 의한 반응물 및 반응생성물의 물리. 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Citrate buffer, Mcllvaine buffer, phosphate buffer 용액을 동일농도(0.1M)의 fructose-glycine 혼합물에 처리하여 pH6, $100^{\circ}C$에서 2시간 반응시켰을 때 인산과구연산이 들어 있는 Mcllvaine buffer혼합물에서 최고의 갈변효과를 나타내었다. Mcllvaine buffer용액(pH7) 중에서 동일농도(0.1M)의 fructose와 glycine을 온도 및 시간별로 반응시킨 결과 $100^{\circ}C$, 3시간 이상에서 현저한 갈변증가를 나타내었다. pH3-11의 영역에서 동일농도(0.1M)의 fructose와 glycine을 반응시켰을 매 pH 7 이하에서는 낮은 갈변반응이 나타났으며 pH7 이상에서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0.02-0.2M의 각 농도별 glycine을 0.5M의 fructose와 0.02-0.2M의 각 농도별 fructose을 0.5M의 glycine과 pH7, 1$100^{\circ}C$에서 3시간 동안 각각 반응시킨 결과 fructose가 고농도일 때 더 높은 갈변도를 나타내었다. $100^{\circ}C$$120^{\circ}C$에서 경시적 반응에 대한 fructose와 glycine의 반감기는 각각 $100^{\circ}C$에서 3.96시간과 32.9시간, $120^{\circ}C$에서는 0.9시간과 3.8시간이었다. Fructose-glycine 혼합물을 pH7, 온도 100, $120^{\circ}C$에서 반응시켜 fructose와 glycine이 감소하는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속도상수, 반응차수, activation energy를 구한 결과, 반응속도상수는 $100^{\circ}C$에서 각각 $1.78{\times}10^{-1}hr^{-1}$$2.11{\times}10^{-2}hr^{-1}$이고 $120^{\circ}C$에서는 $7.74{\times}10^{-1}hr^{-1}$$1.83{\times}10^{-1}hr^{-1}$이었으며 activation energy는 21.7kcal $mol^{-1}$과 31.4 kcal $mol^{-1}$이었다. 또한 fructose(0.03M)과 glycine(0.03M) 혼합물을 pH5.2, $100^{\circ}C$에서 반응시켰을 때 HMF의 생성반응 속도상수는 $2.6{\times}10^{-2}hr^{-1}$이었고, fructose와 glycine의 감소반응 및 HMF의 생성반응은 모두 first-order의 반응으로 나타났다. Fructose와 glycine의 혼합물(0.05M)에 $Na_2SO_3,\;NaHSO_3,\;CaCl_2$를 농도별(0.02-0.1M)로 첨가하여 pH7, $100^{\circ}C$에서 반응시켜 갈변 억제효과를 비교한 결과 0.1M을 첨가하였을 때 $Na_2SO_3$$NaHSO_3$는 76.8%, $CaCl_2$는 96.4%의 억제호과를 나타내었다.

  • PDF

메타아크릴 알데히드의 선택적 수소화에서 2가 알코올의 이합체 형성 부반응 억제효과 (Inhibition of Side Reactions Forming Dimers of Diols in the Selective Hydrogenation of Methacryl Aldehyde)

  • 신국승;차미선;강경구;이창수
    • 청정기술
    • /
    • 제29권2호
    • /
    • pp.79-86
    • /
    • 2023
  • Ru-MACHO-BH 촉매는 α, β-불포화 알데히드 화합물들의 카르보닐기(carbonyl group)만을 선택적으로 수소화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α, β-불포화 알데히드의 수소화 반응은 불균일 딜즈-앨더 반응을 수반하여 부산물인 이합체를 다량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Ru-MACHO-BH (Carbonyl hydrido (tetrahydroborato) [bis (2-diphenyl phosphino ethyl) amino] ruthenium(II)) 촉매를 이용하여, α, β-불포화 알데히드의 한 종류인 메타아크릴 알데히드(methacryl aldehyde) 화합물의 카르보닐기만 선택적으로 수소화 반응을 시켜 메타아릴 알코올(methallyl alcohol)을 합성하며, 동시에 2가 알코올을 부반응 억제제로 적용하였다. 이 결과는 모노 에틸렌 글리콜(mono ethylene glycol)이 이합체의 생성을 현저히 저감 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닐기의 화학적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하이드로퀴논을 사용하여 메타아크릴 알데히드에 존재하는 비닐기의 이합체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으며, 결국 메타아크릴 알데히드의 전환율을 상승시킬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고가의 귀금속 균일촉매인 Ru-MACHO-BH의 투입량을 1/10로 줄인 상태에서 원하는 생성물인 메타아릴 알코올의 선택도는 약 90% 이상, 수율은 약 80% 이상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수율 감소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고가의 촉매 사용량을 저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게 하였다.

Simultaneous Profiling Analysis of Urinary Organic Acids and Amino Acids by Gas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r Biochemical Diagnosis of Inherited Metabolic Disorders

  • Paik, Man-Jeong;Lee, Yoon-Suk;Lee, Hong-Jin;Kim, Sook-Za;Kim, Kyoung-Ra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234.2-235
    • /
    • 2002
  • An efficient method for the simultaneous profiling analysis of organic acids and amino acids combined with a simple graphic pattern recognition method was developed for more objective diagnosis of organic acidurias and amino acidurias. In this method, extractive ethoxycarbonly (EOC) reaction of amino and sufhydry groups with ethyl chloroformate was followed by methodime (MO) formation of carbonyl group in aqueous solution (omitted)

  • PDF

Amino-Carbonyl 반응(反應)에 미치는 온도(溫度)의 영향(影響) (Effect of Temperature on Amino-Carbonyl Reaction)

  • 김용년;김창목;한강완;오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56
    • /
    • 1982
  • 가공식품(加工食品)의 가장 중요(重要)한 색소형성(色素形成)으로 알려 진 비효소적(非酵素的) 갈변반응(褐變反應)인 amino-carbonyl반응(反應)에 대(對)한 온도(溫度)의 영향을 규명(究明)하기 위하여 0.05M glucose-arginine을 model system으로 선정하여 처리온도(處理溫度) 및 시간(時間)에 따라 분해(分解)되는 glucose 및 arginine의 함량변화(含量變化)와 생성(生成)되는 melanoidin 색소(色素)의 강도(强度)로써 반응속도상수(反應速度常數)와 반감기(半減期)를 구(求)하였으며, 또 Arrhenius 식(式)에 따라 반응속도상수(反應速度常數)의 온도의존성(溫度依存性)을 조사(調査)하였다. 1. 처리온도(處理溫度) 및 시간별(時間別)로 분해(分解)되는 glucose 및 arginine의 정량(定量)은 carbohydrate analysis 및 $\mu$ Bondapak $C_{18}$ column을 사용(使用)한 HPLC를 이용(利用)함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glucose 및 arginine의 분해반응(分解反應)은 $100^{\circ}C$$120^{\circ}C$에서의 glucose를 제외하고는 모두 1차반응(次反應)에 따랐으나, $100^{\circ}C$이상에서의 glucose에 있어서는 2상(相) 1차반응(次反應)(two-phase first-order reaction)에 따랐다. 또 melanoidin 생성반응(生成反應)에 있어서 $60^{\circ}C$$80^{\circ}C$에서는 1차반응(次反應)에 따랐으나 $100^{\circ}C$이상에서는 역시 2상(相) 1차반응(次反應)에 따랐다. 3. glucose-arginine 반응(反應)에 의한 melanoidin 색소(色素)의 생성반응(生成反應)은 $100^{\circ}C$$120^{\circ}C$에서 3$\sim$5시간(時間)동안에 거의 완성단계에 있었으며 $100^{\circ}C$이상에서는 거의 차(差)가 없었다. 4. glucose 및 arginine의 분해반응(分解反應)과 melanoidin의 생성반응(生成反應)의 속도상수(速度常數)가 $100^{\circ}C$$120^{\circ}C$에서 현저한 증가현상(增加現象)을 나타내므로 amino-carbonyl 반응(反應)에 의(依)한 갈색색소형성(褐色色素形成)은 $100^{\circ}C$이상의 고온에서 심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5. glucose 및 arginine의 분해반응(分解反應)과 이에 따른 melanoidin의 생성반응(生成反應)에 대(對)한 반응속도상수(反應速度常數)의 온도(溫度) 의존성(依存性)은 $100^{\circ}C$이하에서는 Arrhenius식(式)에 따랐으나 $120^{\circ}C$이상의 고온(高溫)에서는 이에 따르지 않았다. 6. glucose 및 arginine 분해반응(分解反應)의 활성화(活性化)에너지는 각각(各各) 12.512kcal/mole과 12.122kcal/mole로서 거의 비슷하고 melanoidin생성반응(生成反應)의 활성화(活性化)에너지는 18.142kcal/mole로서 melanoidin생성반응(生成反應)이 온도(溫度)에 더 민감함을 보여주었다.

  • PDF

명태건조방법에 따른 갈변화 관련 물질의 변화 (Effects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Fatty Acids, Free Amino Acids, and Browning of Dried Alaska Pollack)

  • 최희선;김종환;김재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82-1187
    • /
    • 2007
  • 건조된 명태들은 전반적으로 다가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하고 단일불포화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주기적인 자연냉동과 해동을 반복하면서 건조된 명태(미숙성황태)를 장기간 숙성하여 완성한 황태의 지방산 조성은 북어나 미숙성황태와 비교해 볼 때, 원료시료(명태)간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특징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도 황태가 북어나 미숙성황태보다 낮게 나타나 불포화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의 반응에 의한 점진적인 갈변화 현상을 설명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황태의 수용성 갈변물질은 주로 숙성단계에서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홍삼에 함유된 갈변물질 및 산성다당체에 대한 연구현황 (Current Studies on Browning Reaction Products and Acidic Polysaccharide in Korean Red Ginseng)

  • 이종원;도재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41-48
    • /
    • 2006
  • 우리나라의 건강기능식품법에서는 인삼 또는 홍삼의 기능성이 자양강장, 면역증진 및 원기회복으로 한정되어 있다. 지금까지 홍삼에 함유된 갈변물질과 산성다당체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갈변물질은 항산화 활성과 면역증진기능, 그리고 산성다당체는 소화기관암의 증상개선, 면역기능 증진, 혈압개선, 혈액응고방지, 조혈기능, 알콜해독(간기능 회복, 고지혈 개선 등) 등의 효능이 우수하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인삼과 홍삼의 3가지 기능성외에 항산화활성이라든지 그 외 더 많은 기능성을 추가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 홍삼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성분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기준규격형제품은 물론이고 질병위험감소에 대해서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는 개별인정형 제품이나 나아가서는 일반 또는 전문의약품으로 개발하여 홍삼의 이용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고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한국인삼으로 그 위상을 제고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3-아세틸티아졸리딘-2-티온을 이용한 입체선택적인 알돌-축합반응 (Highly Diastereoselective Aldol-Type Reaction Using 3-Acetylthiazolidine-2-thione)

  • 정태명;박기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26-430
    • /
    • 1989
  • 아미노 알콜에서 합성한 티아졸리딘치온 [4-(S)-IPTT, 4(S)-ETT]은 주석을 매개체로한 알돌 축합반응의 키랄 보조제로 이용되었다. Stannous triflate와 3-아세틸티아졸리딘-2-티온을 반응시켜 얻은 2가주석 엔올레이트를 어키랄 알데히드와 반응시켜 ${\beta}$-하이드록시 카르보닐 화합물을 입체선택적으로 얻었다. 이러한 키랄 보조제는 가메탄올 분해반응으로 쉽게 에스터화 되기 때문에 절대구조 동정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도 있었다.

  • PDF

Biosynthesis of L-Azetidine-2-Carboxylic Acid In Actinoplanes ferrugineus

  • Lee, Kang-Ma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05.2-506
    • /
    • 1986
  • L-Azetidine-2-carboxylic acid (A-2-C), a four-membered cyclic imino acid has been identified in certain plants, and the microorganism Actinoplanes ferrugineus. The imino acid A-2-C has a physiological significance as an antgaonist of proline during peptide synthesis. The biosynthetic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A-2-C has not been studied in any detail. By using various amino acids such as methionine and S-adenosyl-L-methionine labeled with deuterium or carbon-14, the details of the biosynthetic pathway and a possible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L-A-2-C in .4. ferrugineus have been unravelled, Both in vivo and in vitro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e biosynthesis of L-A-2-C is mediated by a confactor containing a carbonyl group, probably pyridoxal Phosphate. S-Adenosyl-L-methionine, which seems to be the direct biosynthetic substrate, has undergone a f-displacement by an ${\alpha}$-amino group of the amino acid portion of the substrate S-adenosyl-L-methionine potentially via a vinylglycine intermediate. The overall stereochemical events at the ${\beta}$-carbon of the substrate have been shown to inversion of configuration. The overall stereochemical events at the -position of the sub- strate have also been shown to occur with inversion of configuration. The ${\beta}$, ${\gamma}$-elimination reaction of the substrate seems to follow a cisoidal-type mechanism and the addition portion of the reaction a transoidal-type mechanism . The assignment of the proton NMR of A-2-C has been deduced by apply- ing NOE difference experiments, Gd(III) line-broadening experiments and 2D-NOESY experiments of regio-and stereospecificially deuterated A-2-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