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benzoic acid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Retention Factors and Resolutions of Amino Benzoic Acid Isomers with Some Ionic Liquids

  • Zheng, Jinzhu;Polyakova, Yulia;Row, Kyung-H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6호
    • /
    • pp.477-483
    • /
    • 2006
  • Ionic liquids in the form of organic salts are being widely used as new solvent media. In this paper three positional isomers, o-amino benzoic acid, m-amino benzoic acid, and p-amino benzoic acids were separated with four different ionic liquids as mobile phase additive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following ionic liquids were used: 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m][$BF_{4}$]), 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EMIm][$BF_{4}$]), 1-ethyl-3-methylimidazolium methylsulfate ([EMIm][MS]), and 1-octyl-3-methylimidazolium methylsulfate ([OMIm][MS]). The effects of the alkyl group length on the imidazolium ring and its counterion, and the concentrations of the ionic liquids on the retention factors and resolutions of amino benzoic acid isomers were tested. The results of the separations with ionic liquids as the eluents were better than those without ionic liquids. Excellent separations of the three isomers were achieved using 2.0-8.0 mM/L [OMIm][MS] and 1.0-8.0 mM/L [EMIm][MS] as the eluent modifiers.

N-아실-α-아미노숙신이미드와 N-아실-α-아미노글루탈이미드의 합성 (Synthesis of N-acyl-α-aminosuccinimides and N-acyl-α-aminoglutarimides)

  • 정대일;김문주;송현애;김윤영;이용균;박유미;최순규;한정태;박민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1-97
    • /
    • 2004
  • 앞선 연구의 구조적 특성을 근거로 하여, 한 분자내에 MES 유발경련에 작용하는 cyclicimide의 구조를 포함하면, 그들의 구조가 경련 유발 수용체들에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 MES및 PTZ유발 경련에 모두 작용할 수 있는 적용 범위가 넓은 항경련성 화합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N-acyl-$\alpha$-aminosuccinimide 1과 N-acyl-$\alpha$-aminoglutar- imide 2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먼저 (R)-2-benzyloxy carbonylamino-succinic acid 3을 출발 물질로 하여 N-acyl-a-aminosuccinimide 1 유도체인 (R)-Benzoic acid 4-benzyloxycarbonyl-amino-2-oxo-pyrrolidin-l-yl ester 6a, (R)4-nitro-benzoic acid 4-benzyloxycarbon-ylamino-2-oxo-pyrrolidin-1-yl ester 6b, (R)-4-nitro-benzoic acid 4-benzyloxycarbonylamino-2-oxo-pyrrolidin-1-yl ester 6c, 그리고 (R)-propionic acid 4-benzyloxycarbonylamino-2-oxo-pyrrolidin-1-yl ester 64를 합성하였다 또한 (R)-3-car-bobenzyloxy-aminoglutarrnic acid 7를 출발물질로 하여 N-acyl-$\alpha$-aminoglutarimide 2유도체인 (R)-(3-Benzyloxycarbonyl-amino-2,6-dioxo-piperidin-1-yloxy)-acetic acid methyl ester 10a, (R)-(3-benzyloxyarbonylamino-2,6-dioxo-piperidin-1-yloxy)-acetic acid ethyl ester l0b, 그리고 (R)-2-(3-benzylox-ycarbonylanino-2,6-dioxo-piperidin-1-yloxy)-propionic acid methyl ester l0c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화합물 6a, 6b, 6c, 6d, 10a, lOb, l0c에 대한 활성평가는 각 단계별 MES test와 PTZ test의 항경련 활성 시험 방법을 가지고 실험할 예정이다.

Phthalimido methyl-O,O-dimethyl phosphorodithioate (Imidan)과 그의 대사물질(代謝物質)이 수도(水稻)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ffect of phthalimido methyl-O,O-dimethyl-phosphorodithioate (Imidan) and its possible metabolites on the growth of rice plant)

  • 이성환;이동석;이재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7권
    • /
    • pp.105-117
    • /
    • 1966
  • acaricide로 알려진 phthalimidomethyl O,O-dimethyl phosphorodithioat (Imidan)을 수도(水稻)에 살포(撒布)했을 때 Imidan과 그 대사물질(代謝物質)이 식물(植物)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본(本) 실험(實驗)을 하였으며 이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Imian의 대사물질(代謝物質)로 예상(豫想)되는 다음의 8가지 화합물(化合物)을 합성(合成) 또는 정제(精製)하여 공시약제(供試藥劑)로 사용(使用)하였다. (a) N-Hydroxy methyl phthalimide (b) Phalimide (c) Phthalamdic acid (d) Phthalic acid (e) Anthranilic acid (f) p-amino benzoic acid (g) p-hydroxu benzoic acid (h) Benzoic acid (2) 상기(上記) 물질중(物質中)에서 (a),(c),(d),(e)와 Imidan의 각(各) 10 ppm과 20 ppm 의 Buffer Solution 을 만들어 밀 종자(種子)를 가지고 coleoptile straight growth test를 해 본 결과(結果) Imidan 은 10 ppm 과 20 ppm에서 모두 control 보다 생장(生長)의 촉진효과(促進?果)를 보였으며 기중(其中) phthalamidic acid 10 ppm 이 가장 좋은 성적(成績)을 보였다. 이것으로 보아 Imidan 자체(自體)는 생장(生長) 억제(抑制)의 효과(?果)를f 보이나 이것이 일단(一但) 생체내(生體內)에서 가수분해(加水分解)를 비롯한 각종(各種) 대사작용(代謝作用)을 받으면 그 대사산물(代謝産物)이 식물생장(植物生長)을 촉진(促進)하는 효과(?果)를 보이는 것 같다. (Table 1, Fig. 1 참조(參照)) (3) xylene을 용매(溶媒)로 하여 Imidan 유제(乳劑)를 만들고 이것을 희석(稀釋)하여 20 ppm, 100 ppm 및 200 ppm 의 각(各) 농도(濃度) 유화액(乳化液)을 조제(調製)한 후 이것을 배지(培地)로 하여 수도종자(水稻種子)를 발아(發芽)시킨 후 12 일(日)에 shoot와 root의 길이를 측정(測定)하였다. 이의 결과(結果)를 보면 root는 Imidan 20 ppm에서, shoot 는 Imidan 100 ppm에서 모두 xylene만의 유제구(乳劑區)인 control 보다 좋은 효과(?果)를 보였으며 여기에서 흥미(興味)있는 것은 용매(溶媒)로 사용(使用)된 xylene은 수도종자(水稻種子) 뿌리의 발육(發育)에 심(甚)한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이는 것 같다. (Table 2, Table 5 참조(參照)) (4) 벼를 pot에 심고 2회(回)에 걸쳐 control, Imidan, N-hydroxy methyl phthalimide, anthranilic acid 및 phthalimide의 10, 25, 50, 100 ppm 농도(濃度)의 각(各) 유제(乳劑)를 살포하고 일정기간후(一定期間後) 생육상(生育相)을 조사(調査)하였더니 Imidan 구(區)와 N-hydroxy methyl phthalimide 구(區)가 control 보다 좋은 성적(成績)을 보였다. (5) Imidan 250 ppm 유제(乳劑)를 수도엽면(水稻葉面)에 살포(撒布)하고 3 일(日), 5 일(日), 7 일(日) 및 14일후(日後)에 일정량(一定量)의 엽경(葉莖)을 채취(採取)하여 acetone으로 추출(抽出)k고 acetonitrile을 가지고 prechromatographic piriication 을 거쳐 paper chromatography에 의(依)하여 다음과 같은 대사물질(代謝物質)을 검출(檢出)하였다. Imidan $(Rf:\;0.97{\sim}0.98)$, N-hydroxy methyl phthalimide (Rf: 0.87), phthalimide $(Rf:\;0.86{\sim}0.87)$, phthalamidic acid $(Rf:\;0.13{\sim}0.14)$, phthalic acid $(Rf:\;0.02{\sim}0.03)$, benzoic acid $(Rf:\;0.42{\sim}0.43)$ 및 p-amino benzoic acid 또는 p-hydroxy benzoic acid $(Rf:\;0.08{\sim}0.09)$와 Rf=0.73, 0.59, 0.33, 0.23, 0.07의 미지물질(未知物質)을 검출(檢出)하였다. 또한 3일(日), 5일(日) 등(等) 초기(初期)에서는 미분해(未分解)의 Imidan과 최초(最初)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산물(産物)인 N-hydroxy methyl phthalimide등(等)이 비교적(比較的) 다량(多量)으로 검출(檢出)되었으나 7일(日), 14일(日) 등(等) 후기(後期)에는 생체내(生體內)에서 더 많은 분해(分解)를 받아 상기(上記) 이성분(二成分)은 양(量)이 감소(減少)되고 phthalic acid, phthalamidic acid benzoic acid 및 p-hydroxy benzoic acid 또는 p-amino benzoic acid등(等)의 양(量)이 증가(增加)되는 것을 볼 수있었으며 도체상(稻體上)에 살포(撒布)된 Imidan 은 체내(體內)에 흡수(吸收)되어 14일(日)이 경과(經過)되면 대부분(大部分)이 분해(分解)를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Imidan은 자체(自體)로서는 식물생장(植物生長) 촉진작용(促進作用)이 없으나 식물체내(植物體內)에서 여러 가지 대사작용(代謝作用)(enzyme의 작용(作用))을 맡아서 각종(各種) phthaloyl 영향(影響)을 주는 것으로 생각(生覺)된다.

  • PDF

甘味劑의 合成

  • 성좌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0-22
    • /
    • 1949
  • 最近 2-Amino-1-nitrophenol 및 Alkyl ether의 甘味에 對한 News가 傳하여지고 있어 特히 n-Propylether는 의 4,000培의 甘味를 가졌다고한다. 本報에서는 그 合成條件을 檢사하였다. 同時에 2-Amino-4-nitro-toluene 2-Amino-4-nitro benzoic acid를 合成하여 그 甘味를 試驗하였다.

  • PDF

국내산 아까시나무와 밤나무 유래 propolis의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mpound in Propolis Collected from Falseacacia and Chestnut Tree in Korea)

  • 송효남;길복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46-551
    • /
    • 2002
  • 국내에서 채집되는 propolis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아까시나무와 밤나무를 밀원 식물로 하여 채집된 propolis와 그의 70% ethanol 추출물(EEP)에 대한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밀원식물에 따른 큰 차이 없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EEP의 경우 propolis 분말에서보다 대부분의 성분들이 상당량 감소되었다. 주요 무기질 5종은 일반성분과는 달리 채집지역과 수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대체로 아까시나무의 propolis가 무기물 함량이 많았다. 아까시나무의 propolis에는 칼슘함량이 가장 많았고, 밤나무 propolis는 칼륨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반면에 EEP에서는 두 시료 모두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은 총 16종이 검출되었고, aparagine, cysteine, glutamine 및 tryptophan은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밤나무 propolis에서는 methionine도 검출되지 않았다.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고, methionine의 함유량은 극히 적었으며, 아까시나무 propolis가 아미노산 함유량이 전반적으로 더 높았다. 추출수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EEP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13.9{\sim}23.7%$였고, propolis의 phenolic fraction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인 flavonoids 함량은 $8.6{\sim}10.8%$로 나타나 다른 식품재료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고성능 박막크로마토그래피로 페놀성 화합물을 정성분석한 결과 시료종류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pattern의 chromatogram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화합물의 HPLC 분석에서는 약 16개의 peak가 검출되었고, 이중 p-hydroxy benzo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benzoic acid, cinnamic acid 및 chrysin의 6종을 동정하였다. 시료간의 chromatographic pattern은 동일하여 propolis를 구성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종류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간장 발효에 관여하는 효모에 관한 연구 (제8보) - Saccharomyces rouxii T-9의 영양 요구성 (3) Vitamin 및 Amino acid의 영향에 대하여 - (Studies on the Yeasts for the Brewing of Soy sauce(Part 8) - Nutritional requirements of Saccharomyces rouxii T-9 (3) Influence of addition of vitamins and amino acids -)

  • 이택수;이석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1호
    • /
    • pp.59-63
    • /
    • 1972
  • Saccharomyces rouxii T9의 생육에 있어서 vitamin및 amino acid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nositol, pyridoxine, riboflavin, niacin, para amino benzoic acid등은 생육인자로서 요구되지 않았다. (2) biotin, thiamin, Ca-pantothenate 등은 적응적으로 요구되었으며 이들 vitamin중 절대적으로 요구되는것은 없었다. (3) biotin, thiamin, pyridoxine, riboflavin, Ca-phantothenate등의 결핍배지에서는 배양초기 에는 식 염 26%배지에서 무염배지에 비하여 생육율이 다소 낮았으나 배양 16일 후에는 반대로 무염배지에 비하여 생육율이 높았다. (4) 유안을 질소원으로 하는 합성배지에 첨가효과가 인정되는 amino acid로서는 대략 methionine, tryptophan, serine, threonine, cystine, glycine, leucine, alanine, valine등의 순이였다. (5) histidine, 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proline, tyrosine등은 배양초기에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생육도가 다소 저하되었으나 배양 16일경에는 무첨가구와 거의 비슷하거나 다소 상승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수도(水稻)에 처리(處理)된 유기수은제(有機水銀劑)의 잔류성(殘留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침지용유기수은제(浸漬用有機水銀劑)로 처리(處理)된 수도종자중(水稻種子中)의 수은잔류량(水銀殘留量)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Organo-mercury Residues in Rice Grain -I. Mercury residues in rice seeds treated with organo-mercury fungicide-)

  • 이동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8권
    • /
    • pp.87-93
    • /
    • 1967
  • acaricide로 알려진 phthalimidomethyl O,O-dimethyl phosphorodithioat (Imidan)을 수도(水稻)에 살포(撒布)했을 때 Imidan과 그 대사물질(代謝物質)이 식물(植物)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본(本) 실험(實驗)을 하였으며 이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Imian의 대사물질(代謝物質)로 예상(豫想)되는 다음의 8가지 화합물(化合物)을 합성(合成) 또는 정제(精製)하여 공시약제(供試藥劑)로 사용(使用)하였다. (a) N-Hydroxy methyl phthalimide (b) Phalimide (c) Phthalamdic acid (d) Phthalic acid (e) Anthranilic acid (f) p-amino benzoic acid (g) p-hydroxu benzoic acid (h) Benzoic acid (2) 상기(上記) 물질중(物質中)에서 (a),(c),(d),(e)와 Imidan의 각(各) 10 ppm과 20 ppm 의 Buffer Solution 을 만들어 밀 종자(種子)를 가지고 coleoptile straight growth test를 해 본 결과(結果) Imidan 은 10 ppm 과 20 ppm에서 모두 control 보다 생장(生長)의 촉진효과(促進效果)를 보였으며 기중(其中) phthalamidic acid 10 ppm 이 가장 좋은 성적(成績)을 보였다. 이것으로 보아 Imidan 자체(自體)는 생장(生長) 억제(抑制)의 효과(效果)를f 보이나 이것이 일단(一但) 생체내(生體內)에서 가수분해(加水分解)를 비롯한 각종(各種) 대사작용(代謝作用)을 받으면 그 대사산물(代謝産物)이 식물생장(植物生長)을 촉진(促進)하는 효과(效果)를 보이는 것 같다. (Table 1, Fig. 1 참조(參照)) (3) xylene을 용매(溶媒)로 하여 Imidan 유제(乳劑)를 만들고 이것을 희석(稀釋)하여 20 ppm, 100 ppm 및 200 ppm 의 각(各) 농도(濃度) 유화액(乳化液)을 조제(調製)한 후 이것을 배지(培地)로 하여 수도종자(水稻種子)를 발아(發芽)시킨 후 12 일(日)에 shoot와 root의 길이를 측정(測定)하였다. 이의 결과(結果)를 보면 root는 Imidan 20 ppm에서, shoot 는 Imidan 100 ppm에서 모두 xylene만의 유제구(乳劑區)인 control 보다 좋은 효과(效果)를 보였으며 여기에서 흥미(興味)있는 것은 용매(溶媒)로 사용(使用)된 xylene은 수도종자(水稻種子) 뿌리의 발육(發育)에 심(甚)한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이는 것 같다. (Table 2, Table 5 참조(參照)) (4) 벼를 pot에 심고 2회(回)에 걸쳐 control, Imidan, N-hydroxy methyl phthalimide, anthranilic acid 및 phthalimide의 10, 25, 50, 100 ppm 농도(濃度)의 각(各) 유제(乳劑)를 살포하고 일정기간후(一定期間後) 생육상(生育相)을 조사(調査)하였더니 Imidan 구(區)와 N-hydroxy methyl phthalimide 구(區)가 control 보다 좋은 성적(成績)을 보였다. (5) Imidan 250 ppm 유제(乳劑)를 수도엽면(水稻葉面)에 살포(撒布)하고 3 일(日), 5 일(日), 7 일(日) 및 14일후(日後)에 일정량(一定量)의 엽경(葉莖)을 채취(採取)하여 acetone으로 추출(抽出)k고 acetonitrile을 가지고 prechromatographic piriication 을 거쳐 paper chromatography에 의(依)하여 다음과 같은 대사물질(代謝物質)을 검출(檢出)하였다. Imidan $(Rf:\;0.97{\sim}0.98)$, N-hydroxy methyl phthalimide (Rf: 0.87), phthalimide $(Rf:\;0.86{\sim}0.87)$, phthalamidic acid $(Rf:\;0.13{\sim}0.14)$, phthalic acid $(Rf:\;0.02{\sim}0.03)$, benzoic acid $(Rf:\;0.42{\sim}0.43)$ 및 p-amino benzoic acid 또는 p-hydroxy benzoic acid $(Rf:\;0.08{\sim}0.09)$와 Rf=0.73, 0.59, 0.33, 0.23, 0.07의 미지물질(未知物質)을 검출(檢出)하였다. 또한 3일(日), 5일(日) 등(等) 초기(初期)에서는 미분해(未分解)의 Imidan과 최초(最初)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산물(産物)인 N-hydroxy methyl phthalimide등(等)이 비교적(比較的) 다량(多量)으로 검출(檢出)되었으나 7일(日), 14일(日) 등(等) 후기(後期)에는 생체내(生體內)에서 더 많은 분해(分解)를 받아 상기(上記) 이성분(二成分)은 양(量)이 감소(減少)되고 phthalic acid, phthalamidic acid benzoic acid 및 p-hydroxy benzoic acid 또는 p-amino benzoic acid등(等)의 양(量)이 증가(增加)되는 것을 볼 수있었으며 도체상(稻體上)에 살포(撒布)된 Imidan 은 체내(體內)에 흡수(吸收)되어 14일(日)이 경과(經過)되면 대부분(大部分)이 분해(分解)를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Imidan은 자체(自體)로서는 식물생장(植物生長) 촉진작용(促進作用)이 없으나 식물체내(植物體內)에서 여러 가지 대사작용(代謝作用)(enzyme의 작용(作用))을 맡아서 각종(各種) phthaloyl 영향(影響)을 주는 것으로 생각(生覺)된다.

  • PDF

김치의 산패방지에 관한 연구 (제1보)

  • 한구동;권숙표
    • 약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48-69
    • /
    • 1953
  • "Kimchi", which is a main side-dish on Korean table is the pickled vegitables with seasoning substances : such as onion red pepper, salt, water and etc. In this paper, the variation of pH, acidity (calculated as lactic acid) and sugar contents (calculated as dextrose) are investigat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of Kimchi and the effects of antiseptics (Brilliant green, malachite green, sodium benzate, salicylic acid, P-dichlor amino sulfonyl-benzoic acid) and hydrochlonic acid to prevent spoiling are studied on the Kimchi which is prepared by a simple method in this laboratory.

  • PDF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Biphenylcarboxylic Acid 유도체들의 흡착 배향 연구 (Raman Spectroscopy Study on the Adsorption Orientation of Biphenylcarboxlic Acid Derivatives)

  • 최혜란;최규석;정일기;송홍석;한건옥;최호섭;이상희;유수창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39-446
    • /
    • 2003
  • Au와 Ag 콜로이드 단일막 표면위에 흡착된 4-biphenylcarboxylic acid(BPCA)의 유도체인 4''-cyano-BPCA(c-BPCA), 4''-mercapto-BPCA(m-BPCA), 그리고 4''-amino-BPCA(a-BPCA)가 어떠한 배향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표면증강라만(SER)분광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benzoic acid, biphenyl, 그리고 BPCA의 분자 배향에 대한 정보를 기본으로 위 분자들에 대한 흡착정보를 유추해내었다. 배향에 대한 정보를 위해 벤젠고리 모드, C-H 신축진동모드, carboxylate 음이온의 신축진동모드, 그리고 각각의 주요 작용기에 해당되는 모드들의 거동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로부터 m-BPCA는 thiol 그룹이 금속에 흡착되고 biphenyl 그룹이 기울어 서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고 나머지 분자들은 금속표면에 편평한 형태로 흡착됨을 알아내었다.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O-amino Benzoic Acid Hydrazide and Its Complexes with $Co^{2+}$, $Ni^{2+}$ & $Cu^{2+}$

  • Abd El Wahed M. G.;Hassen A. M.;Hammad H. A.;El-Desoky M. 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3권2호
    • /
    • pp.113-116
    • /
    • 1992
  •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mplexes of $Co^{2+}$, $Ni^{2+}$ and $Cu^{2+}$ with o-aminobenzoic acid hydrazide was measured between 300 and 500 K. It was observed that the conductivity is dependent upon both the cations and anions of the reacted salts. The prepared complexes exhibit typical semiconducting behavi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