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umina membrane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3초

알루미나 여과막의 상전이와 미세구조 변화: I. 지지체의 기공율에 의한 영향 (Change of Phase Transformation and Microstructure of Alumina Membrane: I. Effect by Porosity of Support)

  • 정훈;황광택;최덕균;정덕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5-210
    • /
    • 2002
  • The HPS(High Porosity Support, 39.3%) and the LPS( Low Porosity Support, 18.7%) were fabricated to investigate the phase transformation and the chance of microstructure with porosity of alumina support. Alumina sol was made using aluminum tri-sec $butoxide(ATSB,\; Al(O-Bu)_3)$, the membrane on porous support with different porosity and the membrane without support were fabricated. The $\theta$-to ${\alpha}-A1_2O_3$ phase transformation in the membranes was investigated using thin film X-ray diffraction (XRD), and the change of microstructure was observ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XRD patterns showed that the membrane on LPS and HPS had 10$0^{\circ}C$, 5$0^{\circ}C$ higher $\theta$-to ${\alpha}-A1_2O_3$ transformation temperature compared to the unsupported membrane. A similar effect was also observed in microstructure of the membranes, theoritical temperature difference were 97$^{\circ}C$ and 44$^{\circ}C$ by Crapeyron equation.

복합 TiN-Al2O3 합성과 수소투과도 특성 평가 (Composite TiN-Al2O3 Syntheses and Hydrogen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Evaluation)

  • 조경원;이영환;한정흠;유제선;홍태환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177-183
    • /
    • 2020
  • To utilize hydrogen energy, high-yield, high-purity hydrogen needs to be produced; therefore, hydrogen separation membran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he membrane reactor that fabricates hydrogen needs to have high hydrogen permeability, selective permeability, heatresistant and a stable mechanical membrane. Dense membranes of Pd and Pd alloys are usually used, but these have drawbacks associated with high cost and durability.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replacing Pd and Pd alloys. Dense TiN membrane is highly selective and can separate high-purity hydrogen. The porous alumina has a high permeation rate but low selectivity; therefore, separating high-purity hydrogen is difficult. To overcome this drawback, the two materials are combined as composite reclamations to produce a separation membrane with a high penetration rate and high selectivity. Accordingly, TiN-alumina was manufactured using a high-energy ball mill. The TiN-alumina membrane was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The hydrogen permeability of the TiN-alumina membrane was estimated by a Sievert-type hydrogen permeation membrane apparatus. Due to the change in the diffusion mechanism, the transmittance value was lower than that of the general TiN ceramic separator.

솔젤법에 의한 메조기공 티타니아/알루미나 막의 제조 및 기체투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ol-Gel Derived Mesoporous Titania/Alumina Membranes)

  • 권혁택;김진수
    • 멤브레인
    • /
    • 제21권3호
    • /
    • pp.229-23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메조기공 티타니아/알루미나 막을 솔-젤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티타니아/알루미나 막의 기공구조 및 결정상은 하소 온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었다. 티타니아에 알루미나를 첨가하는 것은 티타니아 결정상이 아나타제상에서 루타일상으로 상변화 되는 것을 지연시켜 기공구조의 열적 안정화를 가져왔다. 5번 딥코팅하여 제조된 막의 두께는 $10.3{\mu}m$였으며, 평균 기공크기는 5 nm이었다. 기체 투과 실험 결과는 수소와 질소의 permeance는 각각 $17.1{\tiems}10^{-7}mol/m^2{\cdot}s{\cdot}Pa$$4.7{\tiems}10^{-7}mol/m^2{\cdot}s{\cdot}Pa$이었다. 이 결과는 Knudsen 확산에 의해 설명될 수 있었다.

표면 개질한 알루미나막을 통한 ester 수용액의 증기 투과 (Vapor Permeation of Aqueous Ester Solutions Through Surface-modified Alumina Membrane)

  • 오한기;송근호;이광래
    • 멤브레인
    • /
    • 제10권4호
    • /
    • pp.186-191
    • /
    • 2000
  • Ethyl esters (aroma model compounds; ethyl acetate, ethyl propionate, ethyl butyrate) 수용액으로부터 aroma 화합물의 회수를 위해, 표면 개질한 알루미나막을 이용하여 증기 투과를 수행하였다. Ethyl butyrate의 구동력이 가장 큼에도 불구하고, 투과부에서 ethyl ester의 농도는 ethyl butyrate가 가장 높았으며, ethyl propionate, acetate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물에 대한 ester 화합물의 용해도가 상당히 낮기 때문에 투과부에서 상분리가 일어나 순수한 aroma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제조된 소수성 알루미나막은 에스테르 화합물에 대해 높은 선택도와 투과 플럭스를 보여 주었다.

  • PDF

알루미나 중공사막 제조 및 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α-alumina Hollow Fiber Membrane)

  • 채진웅;이홍주;박정훈
    • 멤브레인
    • /
    • 제26권3호
    • /
    • pp.212-219
    • /
    • 2016
  • 알루미나 분말이 분산된 고분자용액을 비용매 유도 상전이법으로 방사 및 소결하여 알루미나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용매-비용매의 상호작용 속도에 따른 중공사막 기공 구조 형성을 확인하고,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dimethylsulfoxide (DMSO), dimethylacetamide (DMAc), triethylphosphite (TEP) 용매를 사용하여 방사액을 제조하였으며, 고분자 바인더로는 polyethersulfone (PESf), 첨가제로는 polyvinylpyrrolidone (PVP)를 사용하였다. 알루미나 중공사막의 기공 구조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SEM으로 중공사막 단면을 분석하였다. DMSO, DMAc 용매를 사용할 경우 지상 구조(finger-like structure)와 망상 구조(sponge-like structure)가 복합된 기공 구조가 나타났으며, TEP 용매를 사용할 경우 전체적으로 망상 구조를 가졌다. 기공 구조에 따른 중공사막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체투과도, 기공도 및 기계적 강도를 측정하였다. 망상 구조를 갖는 중공사막은 높은 기체 투과특성을 보였으며 지상 구조가 증가할수록 기체투과도가 감소하였다. 반대로 기계적 강도는 지상 구조가 발달할수록 증가하였다.

수산전해액하에서 양극산화에 의한 무기 UF막의 제조 (Preparation of Inorganic Ultrafiltration Membrane by Anodic Oxidation in Oxalic Acid)

  • 이창우;홍영호;장윤호;함영민
    • 공업화학
    • /
    • 제9권4호
    • /
    • pp.536-54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시판용 99.8% 금속알루미늄을 수산전해액에서 정전류 방식에 의하여 양극산화하여 다공성 알루미나 막을 제조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전기화학 반응은 표면반응으로 양극산화에 앞서 알루미늄판을 열산화, 화학연마 및 전해연마 등의 전처리를 행하였으며, 반응온도, 전기량, 수산전해질 농도 및 전류밀도의 변화에 따라 양극산화를 시행하여 형성된 다공성 알루미나 막의 세공크기와 분포, 세공밀도 및 막와 두께를 조사하였다. 양극산화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알루미나 막의 기하구조는 직선적인 원통형 세공을 가지며, 세공직경이 45~100 nm 범위로 세공분포가 매우 균일하고, 세공밀도가 $10{\sim}30{\times}10^8$개/$cm^2$로 우수한 세라믹막의 특성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소결조제로 나노크기 γ-알루미나 입자의 도입에 따른 α-알루미나 중공사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 향상 (Improvement in Mechanical Strength of α-Alumina Hollow Fiber Membrane by Introducing Nanosize γ-Alumina Particle as Sintering Agent)

  • 김용빈;김민지;아레팔리 데비프리얀카;조철희
    • 멤브레인
    • /
    • 제32권2호
    • /
    • pp.150-162
    • /
    • 2022
  • 수처리 및 의약바이오 분야에서 유효물질 분리에 활용되고 있는 알루미나 중공사 분리막은 얇은 두께로 인해 취급 및 적용시 쉽게 파괴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분리막의 강도를 100 MPa 이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입자의 함량을 0, 1, 3, 5 wt%로 증가시켰을 때 제조된 중공사 분리막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나노입자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공사 분리막의 강도는 79 MPa에서 115 MPa로 증가하였으며, 밀도는 1.76 g/m3에서 1.88 g/m3으로 증가하였고 기공률과 평균기공크기는 각각 51%에서 48%로, 416 nm에서 352 nm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스폰지구조가 발달하고 스폰지구조의 기공크기가 향상된 알루미나 중공사 분리막은 100 MPa 이상으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었으며, 약 100000 GPU의 높은 질소 투과도 및 약 3000 L/m2h의 높은 물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γ-알루미나 나노입자를 소결조제로 첨가하는 것은 α-알루미나 중공사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고 높은 투과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효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Novel Fabrication of Nanoporous Alumina Membrane Microtubes: 2-Dimensional Nanoporous Arrays on Every Facets of Microtubes

  • Chae, Weon-Sik;Im, Sung-Jae;Lee, Jin-Kyu;Kim, Yong-R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3호
    • /
    • pp.409-412
    • /
    • 2005
  • Free-standing nanoporous alumina membrane microtubes with different shapes (rectangular and cylindrical tubes) and variable dimensions were easily fabricated by direct anodization of the aluminum templates of the specified shapes (strip and wire) and dimensions during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CVD에 의한 알루미나 멤브레인의 표면개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urface Modification of Alumina Membrane by CVD)

  • 이동호;최두진;현상훈;고광백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349-1356
    • /
    • 1995
  • The change of permeation mechanism from Knudsen diffusion to micropore diffusion was observed after CVD modification of an alumina-sol coated alumina support which was prepared by slip coating process. Permselectivities of He/N2, H2/N2, and CO2/N2 were 5.67, 5.02, and 1.44,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higher than those under Knudsen diffusion controlled region.

  • PDF

THE PREPARTION AND CHAEATERIZATION OF ALUMINA UF MEMBRANE BY SOL-GEL PROCESS

  • Choi, Y. H.;Paik, J. S.;Kim, H. C.;Lee, S. B.;Oh-kim, E. O.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1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9-33
    • /
    • 1991
  • Alumina UF membranes were prepared by sol-gel process and their gas permeabilities were characterized. Alumina MF membrane with average pore diameter about 0.12$\mu$m and tubular shape was used as a support. Gas permeation measurements of helium and nitrogen gas exhibited the permeabilities of 1.58 $\times$ 10E-6 and $0.63 \times 10E-6 cc\cdot cm(STP)/cm^2\cdot sec \cdot cmHg$, respectively. The permeability ratio was 2.5. This means the gas permeation is fully governed by knudsen diffusion mechan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