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5초

보폐양영전(保肺養營煎)이 흰쥐의 기관지평활근(氣管支平滑筋) 장력(張力)과 면역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Bopheyangyoungjeon(BYJ) on airway smooth muscle, airway inflammation, IgE and Interleukin-4 in mouse model of allergic bronchial asthma)

  • 김희철;이강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27-439
    • /
    • 2004
  • It has been reported that Bopheyangyoungjeon(BYJ) has an effect on deficiency asthma(喘虛) clinic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 appropriate dosage of BYJ to treat asthma.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orally administered BYJ on allergic asthma, mice were pretreated with three oral doses of the herbal solution of BYJ before antigen sensitization. 2 days later Mice were actively sensitized with a subcutaneous injection of ovalbumin and 13 day later ovalbumin aerosols were used to provoke asthmatic reaction. Serum level of IgE, IL-4, WBC, RBC, HGB, cell number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BALF), and in vitro isometric contractile responses of the isolated tracheal smooth muscle(TSM) to acetylcholine(ACh, 0.1-1000uM), KCl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ontractile responses of TSM to ACh significantly increased in C group at Ach 0.3, 1, 3, 10, 30, 100, 300, 1000uM(P<0.05, P<0.01) and increased in D at 0.1, 0.3, 3, 30, 30, 100, 300, 1000uM. 2. The sensitivity of TSM to Ach increased more in A, B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 3. The maximal contractile response of TSM to ACh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C group(P<0.01) and D group(P<0.05) the control group. 4. The maximal contractile response of TSM to KCI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B group and C group(P<0.001) than in the control group. 5. The counts of lymphocytes in BALF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B group and D group(P<0.05) than in the control group. 6. The counts of macrophages in BALF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B group, C(P<0.05) than in the control group. 8. Serum IgE level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B group and C group(P<0.05) than the control group. 9. The counts of WBC, RBC, HGB in blood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A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 above results support a role for BYJ orally administered in treatment of deficiency allergic Asthma.

  • PDF

알레르기성 천식환자에 있어서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와 Cytokine의 변화 (Tuberculin Skin Test and Change of Cytokines in Patients with Allergic Asthma)

  • 윤형규;신윤;이상학;이숙영;김석찬;안중현;김관형;문화식;박성학;송정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175-184
    • /
    • 1999
  • 연구배경: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은 가역적인 기도폐색과 기관지의 과민성을 동반하는 기도의 만성적인 호산구성 염증성 질환으로서 기도의 염증발현에 관여하는 세포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Th 림프구는 cytokine을 분비하여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Th 림프구는 cytokine의 분비양상에 따라 Th1 림프구와 Th2 림프구로 나뉘어지며 Th1 림프구는 지연형 과민반응과 결핵균이나 바이러스 감염등에 대한 방어작용 그리고 종양에 대한 숙주반응에 관여하고 Th2 림프구는 즉시형 과민반응과 알레르기성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성 질환 그리고 기생충 감염등에 대한 방어작용에 관여한다. Th1 림프구와 Th2 림프구는 서로 길항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대표적인 Th1 림프구 매개 질환인 결핵과 Th2 림프구 매개질환인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은 서로의 발생을 억제할 것으로 추정되며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환자에서는 Th2 림프구의 기능이 항진되어 Th1 림프구의 기능이 억제되고 반대로 Th1 림프구의 기능이 정상인 집단에서는 알레르기성 천식환자에 비해 Th2 림프구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방 법: 정상 대조군과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 그리고 내인성 천식환자군에서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의 양상을 실시하여 지연형 과민반응의 양상을 관찰하고 혈청 IgE의 농도와 말초혈액 호산구 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Th1 림프구에서 주로 생산되는 cytokine인 IFN-$\gamma$와 IL-12, Th2 림프구에서 주로 생산되는 IL-4, IL-5, IL-10의 혈청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의 양성율은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이 내인성 천식환자군에 비해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에 대한 양성율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의 정도는 내인성 천식환자군에 비하여 알레르기성 천식환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p<0.05). IL-4와 IL-10은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증가되어 있었고 IL-5는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p<0.01). IL-12와 IFN-$\gamma$는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과 내인성 천식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p<0.05).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에서 말초 혈액 호산구 수와 혈청 IgE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여 있었다(p<0.05). 알레르기성 천식환자에서 말초혈액 호산구 수는 혈청 IgE(r=0.737, p=0.003), IL-5(r=0.352, p=0.038), IL-10(r=0.827, p=0.001)과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면서 증가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Th2 cytokine인 IL-5와 IL-10의 혈청 농도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고(r=0.340, p=0.046), IL-12와 IFN-$\gamma$ 혈청 농도도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r=0.593, p=0.001). 결 론: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환자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Th1 림프구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었고 Th2 림프구의 기능은 항진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Th2 림프구의 기능 항진은 말초혈액 호산구 수와 혈청 IgE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Th2 림프구 기능 항진이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프랑킨센스 에센셜 오일 흡입이 OVA로 유도된 알러지성 천식 모델 생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bulized Frankincense Essential Oil in an OVA-Induced Allergic Asthma Mouse Model)

  • 이혜연;김금란;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3-104
    • /
    • 2010
  • 프랑킨센스 에센셜 오일(BSEO)이 알러지성 천식 생쥐 모델의 폐, BALF 및 PBMC 내 면역세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Balb/c 생쥐를 이용하여 실험 1일에 $100\;{\mu}g$ ovalbumin (OVA)을 복강 내 투여하고, 실험 14일에 $50\;{\mu}g$ OVA를 기도 내 투여하여 감작시킨 후 OVA를 반복 흡입시켜 천식을 유발하였다. 천식 유발 생쥐군에 0.3% BSEO를 8주간, 1주에 3회, 1회에 30분간 nebulizer로 흡입시켰고, 실험일로부터 총 12주 후에 살처분시켜 폐, 기관지 폐포 세척액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말초혈액단핵세포 (peripheral blood mononuc1ear cell; PBMC)를 분리하여 조직 내의 면역세포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알러지성 천식 유발 생쥐에서 기관지 수축제에 대한 기도 과민성반응이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군인 Bergamot군, Eucalyptus군, Chamomile군, Marjoram군, 및 Frankincense군 중 Frankincense군에서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알러지성 천식유발로 증가한 폐무게, 총폐포수, BALF수, MNL, DLN수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BSEO는 알러지성 천적 모델 생쥐의 폐 조직 내의 $CD3e^+/CD19^-$, $B220^+/CD23^+$, $CD11b^+/Gr-1^+$ 세포 비율을 억제하였으며 BALF 내의 $CD4^+/CD8^-$, $B220^+/CD23^+$, $CD3e^+/CCR3^+$ 세포비율을 억제하였다. 또한 PBMC내 $CD3e^+/CD19^-$, $CD3^+/CD69^+$, $B220^+/CD23^+$ 세포비율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SEO가 각 조직내의 면역세포의 활성 억제를 통한 면역조절작용으로 알러지성 천식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Sulforaphane inhibits the Th2 immune response in ovalbumin-induced asthma

  • Park, Jun-Ho;Kim, Jong-Won;Lee, Chang-Min;Kim, Yeong-Dae;Chung, Sung-Woon;Jung, In-Duk;Noh, Kyung-Tae;Park, Jin-Wook;Heo, Deok-Rim;Shin, Yong-Kyoo;Seo, Jong-Keun;Park, Yeong-Min
    • BMB Reports
    • /
    • 제45권5호
    • /
    • pp.311-316
    • /
    • 2012
  • Sulforaphane (1-isothiocyanato-4-(methylsulfinyl)-butane), belonging to a family of natural compounds that are abundant in broccoli, has received significant therapeutic interest in recent years. However, the molecular basis of its effects remains to be elucidated. In this study, we attempt to determine whether sulforaphane regulates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an ovalbumin (OVA)-induced murine asthma model. Mice were sensitized with OVA, treated with sulforaphane, and then challenged with OVA. Sulforaphane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alleviated the OVA-induc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to inhaled methacholine. Additionally, sulforaphane suppressed the increase in the levels of SOCS-3 and GATA-3 and IL-4 expression in the OVA-challenged mice. Collectively,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sulforaphane regulates Th2 immune responses. This sutdy provides novel insights into the regulatory role of sulforaphane in allergen-induced Th2 inflammation and airway responses, which indicates its therapeutic potential for asthma and other allergic diseases.

Ovalbumin으로 유도한 천식 생쥐모델에서 lutein의 Th2 면역반응 연구 (Lutein Modulates Th2 Immune Response in Ovalbumin-Induced Airway Inflammation)

  • 송준영;이창민;이민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8-305
    • /
    • 2012
  • Lutein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carotenoid 계열에 속하는 물질로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호흡기 질환과 관련하여 아직까지 lutein의 효능과 작용 기작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Ovalbumin (OVA)으로 유도한 천식(asthma) 생쥐모델에서 lutein은 기도 과민성을 억제하였고, 기관지 폐포 세척액에서 OVA의 감작에 의하여 증가한 각종 염증성 지표들을 감소시켰다. 또한, OVA의 감작에 의하여 증가한 제2형 협조 T 세포(Th2 cell)의 증가된 반응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lutein이 ovalbumin (OVA)으로 유도한 천식 생쥐 모델에서 제 2형 협조 T세포의 싸이토카인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면역약리학적 기능을 할 수 있는 물질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ole of Interleukin-4 (IL-4) in Respiratory Infection and Allergy Caused by Early-Life Chlamydia Infection

  • Li, Shujun;Wang, Lijuan;Zhang, Yulong;Ma, Long;Zhang, Jing;Zu, Jianbing;Wu, Xuech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8호
    • /
    • pp.1109-1114
    • /
    • 2021
  • Chlamydia pneumoniae is a type of pathogenic gram-negative bacteria that causes various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cluding asthma. Chlamydia species infect humans and cause respiratory infection by rupturing the lining of the respiratory which includes the throat, lungs and windpipe. Meanwhile, the function of interleukin-4 (IL-4) in Ch. pneumoniae respiratory infec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in adulthood and causing allergic airway disease (AAD) are not understood properly. We therefore investigated the role of IL-4 in respiratory infection and allergy caused by early life Chlamydia infection. In this study, Ch. pneumonia strain was propagated and cultured in HEp-2 cells according to standard protocol and infant C57BL/6 mice around 3-4 weeks old were infected to study the role of IL-4 in respiratory infection and allergy caused by early life Chlamydia infection. We observed that IL-4 is linked with Chlamydia respiratory infection and its absence lowers respiratory infection. IL-4R α2 is also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IL-4 signaling pathway and averts the progression of infection and inflammation. Furthermore, the IL-4 signaling pathway also influences infection-induced AHR and aids in increasing AAD severity. STAT6 also promotes respiratory infection caused by Ch. pneumoniae and further enhanced its downstream process. Our study concluded that IL-4 is a potential target for preventing infection-induced AHR and severe asthma.

성인남성 근로자들의 호기중 일산화질소 (Exhaled Nitric Oxide(NO) Among Adult Male Workers)

  • 하태규;백도명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5-42
    • /
    • 2003
  • Nitric Oxide(NO) is produced in many organs of the body, including the lung and airways, and it is detectable in the exhaled air. The measurement of exhaled NO(eNO) provides a simple non-invasive means for measuring airway inflammation, such as asthma. We measured eNO among adult male worker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eNO in healthy people and to find factors affecting eNO. We measured eNO in a sample of 921 adult workers who also performed lung function test and skin prick test. Exhaled NO was measured in a sitting posture without using a nose clip and NO free gas. NO was measured at three expiratory rates(l8; 42; 71 $m\ell$/sec) and the flow rate of 71 $m\ell$/sec was used in analysis. The average eNO concentration was 5.29 $\pm$ 2.98 ppb. The level increased with age but not significantly(P=0.0529). Exhaled NO showed positive relations to the height(P=0.0001), pollen 1 (P=0.0124), asthma history(P=0.0212), allergic rhinitis symptom(P=0.0302). Exhaled NO Concentration of smokers( 4.62 ppb)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smokers(5.99 ppb; P<0.0001).

Ovalbumin으로 유발된 백서의 즉시형 기관지 수축 반응에서 Cyclooxygenase-2(COX-2) 발현 양상 및 혈중 프로스타글란딘 E2 농도와 COX-2 억제제의 효과 (The Effects of Cyclooxygenase-2(COX-2) Inhibitor on COX-2 and Prostaglandin E2 Expression in Ovalbumin Induced Early Phase Bronchoconstriction of Rats)

  • 이승룡;이신형;정기환;김병규;정혜철;김경규;권영환;김제형;이주한;이상엽;조재연;심재정;인광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2호
    • /
    • pp.191-202
    • /
    • 2000
  • 목 적: 기관지 천식은 기도의 과민 반응을 특정으로 하는 기도 내 염증 질환이다. 최근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cyclooxygease(COX) 에 대해 90년대 초 새로운 형태의 COX2가 발견되었다. 또한 최근 COX2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약제가 개발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따라서 저자는 기도 내 염증 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천식에서 COX2 발현 양상과 혈중 프로스타글란딘 E2를 측정하고 COX2 억제제를 사용한 후 COX2 발현, 프로스타글란딘 E2의 변화 및 기도 저항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총 38마리의 Sprague-Dawley 백서(250-300g)를 대상으로 정상 대조군, 천식 대조군, 치료군의 3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각 세 군에 대해 제 28 연구일에 즉시형 기관지 수축 반응을 유발시킨 후 기도 저항을 측정하였다. 제 30연구일에 혈장 내 프로스타글란딘 E2 수치를 측정하고 기도 및 폐 실질 내 호산구 침윤 정도 및 COX2 면역 조직 화학 염색에 대한 발색 정도를 image analysis를 통해 확인하였다. 결 과: 기관지 및 폐 실질 내 호산구 침윤은 천식 대조군과 치료군의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OX2 면역 조직 화학 염색 및 혈중 프로스타글란딘 E2 농도에 있어서 정상 대조군, 천식 대조군, 치료군의 세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군에서 nemesulide 투여 후 OVA으로 즉시형 기관지 수축 반응을 일으킨 상태에서 측정한 기도 저항은 nemesulid를 투여하기 전과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결론적으로 COX2는 알레르겐 유발성 천식의 병태 생리에 있어서 주된 경로가 아니며 향후 천식 모델에서 COX2 억제제를 사용한 후 lipoxygenase 의한 대사산물과의 상관 관계와 COX2 억제제의 투여하는 방법에 있어서 투여 용량 또는 투여 횟수를 달리하거나 COX2에 대한 선택성이 더 높은 약제를 투여한 후 기도 내 COX2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Mycoplasma pneumoniae 감염에 의한 천식 매개물질의 발현 (Mycoplasma pneumoniae-induced production of proasthmatic mediators in airway epithelium)

  • 김경원;이병철;이경은;김은수;송태원;박미연;손명현;김규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9호
    • /
    • pp.977-982
    • /
    • 2006
  • 목 적 : M. pneumoniae는 기도 점막의 상피세포에서 증식하면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며 기관지 천식의 발생이나 악화와 관계된다고 알려져 있다. IL-6은 급성 염증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으로 B 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며 Th2 염증반응을 촉진시키며, IL-8은 기도에서 염증부위로의 세포이동을 매개하는 케모카인으로 알레르기 염증 반응에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기도 상피세포에서 생성되는 NO는 기도 염증과 기도과민성의 조절에 중요하다. VEGF는 천식에서 기도개형에 주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지 상피세포에 M. pneumoniae를 감염시켰을 때 IL-6, IL-8, NO 및 VEGF의 발현을 살펴보았다. 방 법 : M. pneumoniae를 기관지 상피 세포주인 A549 세포에 감염시킨 후 여러 시간 간격으로 배양하여 세포와 배양 상층액을 수거하였다. 면역 형광 염색과 M. pneumoniae 16S ribosomal RNA gene의 oligonucleotide primers를 이용한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시행하여 감염을 확인하였다. IL-6, IL-8, VEGF 단백질 생성은 ELISA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고, NO는 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IL-6, IL-8, VEGF의 mRNA 발현을 관찰하였다. 결 과 : 기관지 상피세포에 M. pneumoniae를 감염시킨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IL-6, IL-8, NO, VEGF의 생성이 증가하였고, IL-6, IL-8, VEGF mRNA 발현이 증가됨을 관찰하였다. 결 론 : M. pneumoniae 감염은 IL-6, IL-8, NO, VEGF 등의 매개물질의 발현을 증가시켜 기관지 천식의 알레르기 염증반응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Inhalable Microparticles of Seonpyejeongcheon-Tang in an Asthma Mouse Model - Effects of Microparticles of SJT -

  • Yang, Won-Kyung;Lee, Chul-Hwa;Kim, Min-Hee;Kim, Seung-Hyeong;Choi, Hae-Yoon;Yeo, Yoon;Park, Yang-Chu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3-311
    • /
    • 2016
  • Objectives: Allergic asthma generally presents with symptoms of wheezing, coughing, breathlessness, and airway inflammation. Seonpyejeongcheon-tang (SJT) consists of 12 herbs. It originated from Jeong-cheon-tang (JT), also known as Ding-chuan-tang, composed of 7 herbs, in She-sheng-zhong-miao-fang.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cal delivery of SJT via inhalable microparticles in an asthma mouse model. Methods: Microparticles containing SJT were produced by spray-drying with leucine as an excipient. SJT microparticles were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ir aerodynamic properties, in vitro cytotoxicity, in vivo toxicity, and therapeutic effects on ovalbumin (OVA)-induced asthma in comparison with orally-administered SJT. Results: SJT microparticles provided desirable aerodynamic properties (fine particle fraction of $48.9%{\pm}6.4%$ and mass median aerodynamic diameter of $3.7{\pm}0.3{\mu}m$). SJT microparticles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against RAW 264.7 macrophages at concentrations of 0.01 - 3 mg/mL. Inhaled SJT microparticles decreased the levels of IL-4, IL-5, IL-13, IL-17A, eotaxin and OVA-IgE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in mice with OVA-induced asthma. These effects were verified by histological evaluation of the levels of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collagen, destructions of alveoli and bronchioles, and hyperplasia of goblet cells in lung tissues. The effects of SJT microparticles in the asthma model were equivalent to those of orally-administered SJT extrac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JT is a promising agent for inhal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asth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