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llelopathic substance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토마토식물의 독성물질 확인과 생장억제작용 (Identification and Growth Inhibition of Phytotoxic Substances from Tomato Plant)

  • 김영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2권1호
    • /
    • pp.41-49
    • /
    • 1989
  • Phenolic compounds such as gallic acid, ferulic acid, p-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salicylic acid, tannic acid, and hydroquinone were identified from the aqueous extracts and volatile substances of tomato plant by paper chromatograph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e experimental species, lettuce and egg plant, were severely inhibited in 5$\times$10-3M of phenolic reagents identical to those identified from tomato plant. Germination and growth rate of test species in 5$\times$10-4M and 5$\times$10-5M were higher than that of 5$\times$10-3M. Therefore, 5$\times$10-3M of phenolic compounds would be assumed to be threshold concentration for allelopathic effects.

  • PDF

다른 식물에 미치는 사철쑥의 알레로파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on the Selected Species)

  • 길봉섭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1호
    • /
    • pp.59-63
    • /
    • 1999
  • 사철쑥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 화학물질이 다른 식물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식물의 종자발아와 생장실험을 수행하고 사철쑥의 화학성분을 분석했으며, 그 성분과 동일한 시약으로 생물학적 정량을 실시하였다. 사철쑥의 수용추출액에 의한 발아율은 실새풀, 이고들빼기와 왕고들빼기는 수용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했으나, 그러나 코스모스와 익모초는 70% 실험구와 100%, 10%구와 30%에서 서로 반대로 나타났다. 유식물의 건중량은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현상이 뚜렷하였다. 사철쑥의 정유의 농도에 따라 쑥과 질경이는 정유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장은 억제되었고 유근보다 유묘에서 더욱 확실하였다. GC로 사철쑥의 정유를 분석하여 36종류의 화학물질을 분리확인하였고 이들중 7종류를 선정하여 생물학적 정량을 실시한 결과 terpinen-4-ol이 가장 강한 억제작용이 있었다.

  • PDF

Phytotoxic Effect of Xanthium occidentale Leaf Extract on Seed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Alfalfa and Barnyard Grass

  • Chon, Sang-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0-35
    • /
    • 2004
  • Compositae plants are known to contai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that are allelopathic to agricultural crops as well as weed species. Aqueous extracts from leaves of Xanthium occidentale were assayed against alfalfa (Medicago sativa) to determine their allelopathic effects,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tracts applied onto filter paper significantly inhibited seed germination as well as root growth of alfalfa. Untreated seeds germinated in 60h, but extrac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30g $\textrm{L}^{-1}$ delayed seed germination. The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seed germination of alfalfa, and $\beta$-amylase activity of alfalfa and barley seeds during 24-36 hours after treatment. Aqueous extracts of 40 g $\textrm{L}^{-1}$ from X. occidentale were completely inhibited the hypocotyl and root growth of alfalfa. Aqueous leaf extracts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and followed by root and stem extracts. Early seedling growth of both alfalfa and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methanol extracts. By means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hlorogenic acid and trans-cinnamic acid were quantified as the highest amounts from water and EtOAc fractions, respectively. BuOH and EtOAc fractions of X. occidentale reduced alfalfa root growth more than did hexane and water fractions. The findings of the bioassays for aqueous or methanol extracts reflect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extract was closely related to the level of responsible allelochemicals found in plant extracts.

Allelopathy and Quantification of Causative Allelochemicals in Sweet Potato

  • Chon, Sang-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02-406
    • /
    • 2003
  • Greenhouse and laboratory studi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allelopathic potentials of extracts or residues from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The extracts applied on filter paper in a Petri dish bioassay significantly inhibited root growth of alfalfa. Aqueous leachates at 40g dry tissue $\textrm{L}^{-1}$ (g $\textrm{L}^{-1}$) from leaves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against alfalfa, and followed by stems and roots. Alfalfa root growth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methanol extracts of the same plants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effect of residue incorporation into soil on seedling growth of com, soybean, barnyard grass and eclipta was examined in the greenhouse, and results showed that the leaf residues at 200g $\textrm{kg}^{-1}$ by plant parts inhibited shoot dry and root dry weights of test plants by 60-80%. By means of HPLC, causative allelopathic substances present in plant parts of sweet potato "Sinyulmi" were identified as coumarin, trans-cinnamic acid, o-coumaric acid, p-coumaric acid, and chlorogenic acid. Total content of these compounds for leaves extracts were detected as the greatest amount in EtOAc fraction, especially trans-cinnamic acid was the greatest compon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weet potato plants have herbicidal potentials, and that their activities exhibit differently depending on plant parts.ant parts.

개똥쑥의 천연화학물질에 의한 항균효과와 성분확인 (The Antifungal Activity of Chemical Substances from Artemisia annua)

  • 김현철;길봉섭;이영행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3호
    • /
    • pp.137-140
    • /
    • 2001
  • 개똥쑥(Artemisia annua)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화학물질이 곰팡이에 미치는 항균효과를 조사하고 천연화학물질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개똥쑥의 수용성물질과 휘발성물질로 인한 곰팡이의 생장실험은 곰팡이의 종류에 따라 생장률이 다르게 나타났고 수용성물질과 휘발성물질의 농도가 증가 됨에 따라 곰팡이의 생장률이 억제되었다. 특히 Fusarium oxysporum의 경우 휘발성물질보다 수용성물질에서의 생장 억제가 높았고 반면, Aspergillus nidulans는 수용성물질보다 휘발성물질에서 생장이 더 억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억제작용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찾기 위해 GC/MS를 사용하여 개똥쑥의 정유를 분석한 결과 2,4-hexadienal, β-pinene, cineole, thujone, camphor, citronellal, (-)-menthone, terpineol, (1R)-(-)myrtenol, mytenol, (S)-(-)-perillaaldehyde, perillalcohol, 4-tert-buthylaniline, eugenol, isosafrole, isoeugenol, α-humulene 등이 동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때, 개똥쑥에 함유된 수용성 물질과 휘발성 물질이 실험에 쓰인 곰팡이에 대한 항균효과에 관계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 PDF

몇가지 삼림수종(森林樹種) 종자발아(種子發芽)에 대(對)한 낙엽송엽(落葉松葉) 추출물(抽出物)의 Allelopathic 효과(效果) (Allelopathic Potentials of Larix leptolepis on Germination of Several Forest Tree Species)

  • 박용구;강군수;신동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17-22
    • /
    • 1988
  • 우리나라 중요조림(重要造林) 수종(樹種)의 하나이며 천연경신(天然更新)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 낙엽송의 낙엽(落葉)으로 부터 시간별(時間別)로 수용성(水溶性) 추출액(抽出液)을 조제(造製)하여 주요삼림(主要森林) 수종(樹種) 종자(種子)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에 대(對)해 조사(調査)하였다. 발아실험(發芽實驗)은 배양실(培養室)과 야외(野外)에서 실시(實施)하였다. 또한 발아실험(發芽實驗) 결과(結果) 억제(抑制) 현상(現象)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抽定)되는 물질(物質)을 박충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利用)하여 분석(分析)하였다. 그 결과(結果) 실내(室內) 실험(實驗)에 있어서 추출(抽出) 시간별(時間別)에 따른 효과(效果)는 없었으며 낙엽송(落葉松) 종자(種子)자체가 가장 심한 발아(發芽) 억제(抑制) 현상(現象)을 나타냈다. 야외(野外) Pot 실험(實驗)에서는 리기다 소나무를 제외(除外)한 소나무, 리기테다소나무, 해송 및 낙엽송의 종자(種子) 발아(發芽)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특(特)히 낙엽송 종자(種子) 발아(發芽)는 실내(室內) 및 야외(野外) 실험(實驗)에서 다같이 크게 억제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낙엽송엽(落葉松葉) 추출액(抽出液)의 물질분석(物質分析) 결과(結果) 9가지 물질(物質)이 검출(檢出)되었으며 그중 gallic 산(酸), ferulic 산(酸), vanillic 산(酸)과 tcinnamic 산(酸)등 4가지 페놀 산(酸)이 동정(同定)되었다.

  • PDF

서양등골나물 휘발성 추출물의 알레로파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 of Volatile Extracts from Eupatorium rugosum)

  • 길지현;심규철;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3호
    • /
    • pp.135-139
    • /
    • 2005
  • 서양등골나물의 휘발성 추출물에 포함된 terpenoid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고, 주요 물질 4종에 대한 종자발아와 유식물 생장을 조사하였다. 서양등골나물 정유에 포함된 화합물의 수는 $\beta$-caryophyllene, $\alpha$-terpinenol, chamazulene, bornyl acetate, $\alpha$-pinene등 총 49종이었으며, 그 중 3종은 미확인되었다. 서양등골나물의 정유로부터 분리 확인한 휘발성 화학물질 중 다량 함유되어 있거나 중요한 성분으로 판명된 $\alpha$-pinene, bornyl acetate, linalool 및 terpinen-4-ol 등 4종의 물질에 대한 녹두의 발아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linalool과 terpinen-4-ol에 의해서는 녹두의 종자가 전혀 발아하지 못하여 발아 억제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보인다. 정유 내 화합물에 의한 녹두 유식물의 초기 생장 결과, $\alpha$-pinene과 bornyl acetate에 대한 묘조와 유근의 생장은 농도에 따라 점점 억제되었고, linalool과 terpinen-4-ol에 대해서는 실험구에서 생장 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만큼 강하게 억제반응이 나타났다. 생체량에 있어서 $\alpha$-pinene의 경우 58 ${\mu}l$ 이상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bornyl acetate의 경우에는 19 ${\mu}l$ 이상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정유 내에 포함된 서양등골나물의 알레로 화합물 중 생물검정에 사용된 $\alpha$-pinene, bornyl acetate, linalool과 terpinen-4-ol은 식물의 발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한 물질 중 하나로 생각되며, 특히 linalool과 terpinen-4-ol은 다른 식물의 생장을 감소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hibition of Aquatic Vascular Plants on Phytoplankton Growth II. Algal Growth Experiments with Water and Plant Extracts from Submerged Macrophytes

  • Nam, Sung-Jin;Park, Sang-Kyu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20-526
    • /
    • 2007
  • To select submerged macrophytes to suppress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through releasing allelochemicals, we conducted growth experiments with water from patches of submerged macrophytes and with aqueous extracts of those submerged macrophytes. In the first experiment, growth rates of M. aeruginosa decreased as biomass of Myriophyllum spicatum and Hydrilla verticillata increased. In the second experiment, M. aeruginosa showed approximately 50% growth reduction with extracts from M. spicatum and 24% reduction with extracts from Ottelia alismoides. Both M. aeruginosa growth experiments with water and plant extracts suggest that M. spicatum would be the best candidate to reduce M. aeruginosa growth.

크림손클로버, 헤어리베치, 호밀 추출물이 몇 가지 작물의 종자 발아와 유근 생장에 미치는 allelopathy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Crimson Clover, Hariy Vetch and Rye on Germination and Radicle Elongation of Several Crops)

  • 이지현;이병모;전승호;정종일;김민철;심상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1-379
    • /
    • 2010
  • 피복작물의 생육 단계에 따른 allelopathy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피복작물의 영양생장기, 개화기, 결실기에 채취한 시료로 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해 콩, 무, 유채, 상추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콩과 무에서는 각 피복작물 추출물의 처리구에서 발아율에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유채에서는 크림손클로버의 개화기 20% 추출물, 헤어리베치의 영양생장기, 개화기, 결실기 20% 추출물, 호밀의 영양생장기 20% 추출물들에서 20% 이상의 발아 억제가 나타났으며, 상추는 영양생장기의 크림손클로버와 헤어리베치의 20% 추출물 처리에서 발아세가 낮게 나타났다. 피복작물의 영양생장기 추출물에서 유근 생장 억제율이 가장 높았으며 $GR_{50}$ 값도 낮게 나타났다. 피복작물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도 영양생장기 때 가장 높았고, 결실기로 생육이 진전되면서 감소되었다. HPLC 분석 결과 크림손클로버 추출물에서 검출 된 p-hydroxybenzo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phenolic acid 함량들은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과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헤어리베치 추출물에서는 coumarin, 호밀 추출물에서는 BOA와 caffe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물질들이 개화기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크림손클로버와 호밀 추출물에서 분석 물질들의 총 함량은 영양생장기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약폐기 은행잎중에 함유된 식물생육억제물질 분리동정 (Isolation and Chemical Structure Identification of Allelopathic Substances from the Ginkgo(Ginkgo biloba L.) Leaf Waste Produced by Phamaceutical Process)

  • 성기석;김복진;권오경;최두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7-383
    • /
    • 1997
  • 제약폐기은행잎의 유기물자원화 및 식물생장억제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은행잎 제약폐기물중에 함유된 식물생육 억제물질을 분리 동정하고 이들물질을 처리하여 무와 벼의 발아 및 초기생육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기은행잎 조추출물 10% 용액은 무 종자 발아율을 저하시키고 유묘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1% 농도에서는 뿌리 길이가 약간 짧아졌고, 0.1% 농도는 무처리와 비슷하였다. 벼 발아율은 조추출물 10% 농도에서 31%이상 억제되었다. 2) 지베렐린 $A_3(3.3{\times}10^{-6}M)$와 조추출액(10%)을 벼 유묘와 함께 처리하면 지베렐린 $A_3(3.3{\times}10^{-6}M)$ 단독처리보다 제2엽초장이 짧았다. 3) 조추출액의 산도를 달리한 3종의 액액분리물은 (EtOAc $(pH9)A_1$, EtOAc $(pH3)A_2$, BuOH $A_3$) 모두 1% 농도에서 무 종자의 발아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4) 조추출액을 액액분리, column chromatography, HPLC에 의한 분리정제를 통하여 활성성분을 분리하고, GC/MS, NMR 분석 결과 phenol류인 catechol로 판명되었으며, 폐기은행잎 29kg으로부터 분리한 catechol량은 0.76g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