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ien plants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9초

문수산(김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관속식물상 변화 및 관리방안 (A Study on the Vascular Flora and its Management Plan at Th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of Mt. Munsu (Gimpo))

  • 윤호근;이아영;안종빈;황태영;이종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1-338
    • /
    • 2021
  • 본 연구는 경기도 김포의 최서북단 DMZ 접경지역 및 민북지역에 위치한 문수산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일대의 관속식물상과 침입외래식물 등을 파악하고 확인된 식물들의 효율적인 관리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9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17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문수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총 95과 276속 395종 13아종 33변종 3품종 444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881분류군의 약 9.09%로 나타났다. 문수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 출현한 한반도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오동나무, 산이스라지, 백운산운추리 등 6종이 관찰되었다. IUCN 지정 희귀식물은 총 3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위기종(EN)은 복사앵도나무, 약관심종은 쥐방울덩굴과 창포가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초 39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IV등급은 바위말발도리 등 2분류군, III등급은 고광나무, 병아리꽃나무 등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I등급은 잣나무 및 오리나무 등 총 10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침입외래식물은 개망초, 달맞이꽃 및 개쑥갓 등 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13.1%로 나타났으며, 도시화지수는 18.0%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문수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과 선행연구와 비교한 결과, 최근 조사 구간이 더 넓고 다양한 경로를 조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 비해 분류군 수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희귀·특산식물의 수는 크게 감소하고 외래침입식물의 수는 임도 및 등산로 등으로 크게 확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자생식물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산림휴식년제 등을 도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장안산과 팔공산 구간(전북 장수)의 식물상 및 보전관리방안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s and Vascular Plants of the Trail from Jangansan to Palgongsan, Jangsu, Jeonbuk)

  • 오현경;한윤희;박경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27-244
    • /
    • 2013
  • The vascular plants in the trail from Jangansan to Palgongsan were listed 389 taxa (8.0% of all 4,881 taxa of Korean vascular plants); 84 families, 226 genera, 325 species, 1 subspecies, 55 varieties and 8 forms. Furthermore, hemicryptophytes (H) were 110 taxa (28.3%), geophytes (G) were 77 taxa (19.8%), megaphanerophytes (MM) were 48 taxa (12.3%), nanophanerophytes (N) were 47 taxa (12.1%) showed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 So, resource plants of 237 taxa of edible (60.9%), 278 taxa of medicinal (71.5%), 229 taxa of ornamental (58.9%) and 178 taxa of the others (45.8%). Based on the list of rare plants, 7 taxa (1.8% of all 389 taxa of flora and 1.2% of all 571 taxa of rare plants); Paeonia japonica (VU), Viola albida, Viola diamantica, Lilium distichum, Disporum ovale, Tricyrtis dilatata, Iris ensata var. spontanea (LC), etc. Based on the list of endemic plants, 7 taxa (1.8% of all 389 taxa of flora and 2.1% of all 328 taxa of endemic plants); Salix koriyanagi,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Philadelphus schrenckii, Asperula lasiantha, Weigela subsessilis, Carex okamotoi, etc. Based on the list of specific plants, 46 taxa (11.8% of all 389 taxa of flora and 4.3% of all 1,071 taxa of specific plants); 2 taxa (Wisteria floribunda for. floribunda, Cardamine yezoensis, etc.) in class IV, 6 taxa (Acer palmatum, Ulmus davidiana, etc.) in class III, 14 taxa (Ligularia fischeri, Cymopterus melanotilingia, etc.) in class II, 24 taxa (Ilex macropoda, Fraxinus mandshurica, etc.) in class I. Based on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6 families, 16 genera, 18 taxa (Phytolacca americana, Robinia pseudoacacia, Oenothera odorata, Erechtites hieracifolia, Festuca arundinacea, etc.) and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Ru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Naturalization rate (NR) was 4.6% of all 389 taxa of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5.6%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창원시 가음정천의 생태복원에 따른 귀화식물 특성 분석과 관리방안 (Management Pla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by Ecological Restoration of Gaeumjeong Stream, Changwon-si)

  • 유주한;박경훈;최진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8-59
    • /
    • 2014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의 가음정천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을 연구함으로써 복원된 도시하천을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귀화식물은 17과 36속 43종 2변종 등 총 45분류군으로 요약되었으며,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돼지풀과 가시상추 등 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의 속성정보를 요약하면, 원산지의 경우,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가장 많았다.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개체수가 많은 5등급이 가장 많았으며, 이입시기의 경우, 개항 이후~1921년까지인 1기의 귀화식물이 가장 많았다. 12구간의 경우 귀화율이 41.9%로 가장 높았으며, 9구간 및 19구간은 20.5%로 가장 낮았다. 도시화지수의 경우, 1구간이 가장 높은 6.2%인 반면, 19구간 및 20구간이 가장 낮은 2.5%로 나타났다. 교란율의 경우, 2구간이 가장 높은 16.7%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의 침입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 첫 번째, 물리적 요인은 둔치 및 수로 정비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두 번째, 화학적 요인은 오수 및 탁수 유입, 토사퇴적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세 번째, 생물학적 요인은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의 불규칙적인 발생으로 생각되나, 복원과의 상관성을 낮다고 판단된다. 귀화식물의 관리방안을 제시하면, 첫 번째, 교란종 관리는 어린 개체가 발생하는 즉시 제거하거나, 개화 전 화경을 제거하여 번식을 억제하는 물리적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두 번째, 전국 확산종 관리는 자생식물을 식재하여 생육공간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세 번째, 농경지는 농경행위에 의한 교란과 간섭에 의해 귀화식물의 발생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하천 내 농경행위를 금지해야 할 것이다. 향후, 창원시의 모든 복원하천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을 연구한다면 생태계 변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주요 산림복원사업지 내 귀화식물의 특성과 공종 간 영향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and Working Type on Major Forest Restoration Sites)

  • 전용삼;박준형;권오일;이혜정;임채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81-495
    • /
    • 2022
  • 이 연구는 산림복원사업 이후 유입되는 귀화식물과 생태계교란 식물의 실태 및 사업의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장조사는 산림청에서 수행한 산림복원사업지 29개소를 대상으로 2020년과 2021년 봄철(5~6월), 여름철(8~9월)로 나누어 연 2회 실시하였고, 사업 범위 밖의 지역은 조사에서 제외하여 실제 복원사업 후 도입 및 유입되었다고 볼 수 있는 식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대상지 내 분포하는 귀화식물상과 복원사업 준공내역 확인을 통해 현장에 실제 적용된 공종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지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29과 80속 108종 1아종으로 109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 식물은 총 3과 7속 8종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의 분류군 수와 귀화율은 사업 후 소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귀화식물 분류군 수와 귀화율은 권역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훼손 유형별 귀화식물 분류군 수의 경우 백두대간 단절 구간과 채석지, 시설부지 등의 유형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다(p<0.05). 복원지 내 나지 및 비탈면의 녹화를 위한 식생도입 방법인 종자 파종, 나무 식재, 초본 식재, 떼붙임 공종의 유무에 따른 귀화율 비교 분석 결과, 종자파종을 할 경우 귀화율은 평균 15.545%로 파종 공종이 없는 경우의 평균 9.167%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그 외 다른 식생도입 방법은 공종 적용 유무에 따라 귀화율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이는 식물체의 형태를 확인하고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는 나무 식재와 초본 식재, 떼붙임 공종과는 달리 종자 상태에서 귀화식물 여부의 파악이 까다로운 종자 파종 공종이 산림복원사업지 내 귀화식물 도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복원지 내 종자 파종 시 종자 전문가에 의한 검수 과정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림복원사업 시 식생 도입 및 사후관리의 방향설정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상남도 황강 수계의 식물상과 식생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lora and Vegetation in Hwang River, Gyeongsangnam-do)

  • 서정윤;박경훈;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53
    • /
    • 2013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offer raw data and establish strategy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river ecosystem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and vegetation distributed in Hwang river, Gyeongsangnam-do. The flora identified in this site were 406 taxa including 95 families, 252 genera, 360 species, 3 subspecies, 40 varieties and 3 forms. The rare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Sagittaria sagittifolia subsp. leucopetala, Hydrocharis dubia and Acorus calamus. The endemic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Populus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Paulownia corean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7 taxa including Salix siuzevii, Poncirus trifoliata, Potamogeton maackianus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9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Chenopodium glaucum, Lepidium virginicum, Oenothera erythrosepala, Xanthium canadense, Lolium multifloru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mbrosia trifida. The whole NI and UI were each 9.6% and 13.9%. The hydrophytes were 27 taxa including Marsilea quadrifolia, Nymphaea tetragona, Ceratophyllum demersum, Trapa japonica and so forth. In the results of growth forms of the hydrophytes, emergent species were 14 taxa, 3 taxa of floating-leaved species, 4 taxa of free-floating species and 6 taxa of submerged species. The dominant vegetations were Salix spp.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경상남도 사천시의 식물생태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The Basic Study for Developing Plant Ecological Indices of Sacheon-si, Gyeongsangnam-do)

  • 오현경;유주한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4호
    • /
    • pp.509-523
    • /
    • 2012
  • This basic study is to present the methods and raw data for carrying out to objectively assess an ecosystem by developing the plant ecological indi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lant ecological indices were 7 units including RI (Rare Index), EI (Endemic Index), SI (Specific Index), NI (Naturalized Index), UI (Urbanized Index), Pte-Q (Pteridophyta Index) and HI (Halophytes Index). The vascular plants in Mt. Waryong, Mt. Bongmyeong and Bito island were summarized as 471 taxa including 104 families, 294 genera, 419 species, 3 subspecies, 41 varieties and 8 forms. We surveyed 5 taxa of rare plants, 7 taxa of endemic plants, 38 taxa of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40 taxa of naturalized plants, 1 taxa of invasive alien plant, 19 taxa of pteridophyta and 14 taxa of halophytes. Bito island had the highest RI was 1.2%. Mt. Bongmyeong was 1.4% higher than other sites. If the SI of 2.9% was the highest in Bito island. Bito island was the highest NI, and the UI was the hightest in Mt. Waryong. Mt. Bongmyeong was the lowest NI and UI. In Mt. Waryong and Bito island, the highest DI was 9.1%. The Pte-Q of Mt. Waryong was 1.3 higher than the other sites. Bito island, the highest HI was 8.1%. Overall, 1.5% of RI, 1.9% of EI, 2.3% of SI, 8.5% of NI, 14.3% of UI, 9.1% of DI, 1.0 of Pte-Q and 3.0% were analyzed with HI.

민주지산 및 그 인근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과 주요 식생 현황 (Flora and Present Vegetation Status of Minjujisan and Its Adjacent Regions)

  • 김윤영;지성진;고은미;장창기;오병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28
    • /
    • 2006
  • 민주지산 및 그 인근지역에 대한 관속식물상 조사가 2000년부터 2004년까지 5년에 걸쳐 총 27회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172과 397속 631종 3아종 105변종 25품종 등 총 764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요 유용식물로서 한국특산식물 35분류군과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12분류군, 그리고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종 101분류군이 각각 조사되었다. 아울러 조사지역 내에 귀화식물 46분류군도 분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조사지역의 식생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으나 최근 들어 개발, 남채, 답압 등의 인위적 간섭에 의해 그 훼손 정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지역에 대한 보존지역 확대 지정 등 적극적인 보존대책 수립이 시급하며, 장기적인 모니터링에 의한 식생의 동태 파악이 필요하고 판단되었다.

경주 동궁과 월지의 현존 식물상과 조경식재종의 분석 (Analysis of Actual Flora and Landscape Planting Species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 최승해;유주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는 경주역사유적지구의 경주 동궁과 월지에 분포하는 현존 식물상과 조경식재종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전통 문화재의 조경식재에 대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물상 현황은 65과 117속 134종 1아종 10변종 4품종 등 총 149분류군이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토끼풀, 가죽나무, 큰개불알풀, 개쑥갓, 들묵새 등 1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생태계교란식물은 애기수영으로 나타났다. 식재종의 시대적 변화 분석 결과, 1979년에는 23분류군이 식재된 반면, 2014년에는 48분류군이 식재되어 25분류군이 증가하였다. 조경식재종은 상록교목 6분류군, 상록관목 2분류군, 낙엽교목 27분류군, 낙엽관목 12분류군, 기타 1분류군으로 총 48분류군이 식재되어 있었다. 구역별 식재현황의 경우, A구역은 25분류군, B구역은 15분류군, C구역은 13분류군, D구역은 29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식재된 종은 소나무, 단풍나무, 산철쭉, 화살나무 4분류군이었다. 조경식재 현황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자연발생종, 잡목 및 덩굴식물의 발생 및 생태계교란식물의 확산이었다. 따라서 식재경관의 회복과 개선, 원활한 수목생육을 위해서는 이들의 제거가 필요할 것이다.

현무암지대 운봉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Unbongsan in the basalt areas, Korea)

  • 김중현;박환준;이경의;김진석
    • 환경생물
    • /
    • 제38권3호
    • /
    • pp.371-387
    • /
    • 2020
  • 본 연구는 현무암지대 운봉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1과 256속 364종 7아종 33변종으로 총 40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운봉산은 온대 중부지역에 속하고 침엽수와 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신갈나무 - 소나무가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운봉산에서 새로이 확인된 식물은 193분류군, 한반도 고유종은 6분류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40분류군이며, 귀화율 9.9%로 나타났다. 운봉산은 다양한 식물들과 지형 요소들이 주요 경관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지 내의 화강암, 현무암 애추, 건조한 능선, 계곡, 웅덩이, 습지, 하천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종조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태안반도의 담수식물상(수생 및 수변식물을 중심으로) (Floristic Study of the Freshwater Plants in Taean Peninsula - Focusing on Aquatic and Wetland Plants -)

  • 홍정기;최경수;강희혁;박내규;황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69-489
    • /
    • 2023
  • 충청남도 태안반도의 담수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해 2020년 4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총 6회에 걸쳐29지점의 담수식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총 94과 248속 362종 5아종 24변종의 39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태안의 담수권역에 확인된 수생 및 수변식물은 104분류군으로 그중 수생식물은 45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수변식물은 5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을 생활사별로 분류하면 일년생이 33분류군, 월년생이 5분류군, 이년생이 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년생이 60분류군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멸종위기식물은 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고유식물은 3분류군, 적색목록종은 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급2분류군, IV급4분류군, III급6분류군, II급 20분류군, I급 1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국외반출승 인종은 38분류군, 유용식물은 약용, 식용, 사료/퇴비용, 관상용, 산업용 식물이 높은 비율로 구성되었다. 외래식물은 19과 39속 5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은 14.1%, 도시화지수는 13.3%로 확인되었다. 이중 생태계교란식물은 7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태안지역 담수환경 및 수생 및 수변식물 분포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