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falfa seed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7초

Sunflower Seed Sprout의 성분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Sunflower Seed Sprout)

  • 이영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4-80
    • /
    • 1999
  •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vitamins and minerals in sunflower seed sprout were investigated to furnish basic data for utilization in health food or processed food. The pH of sunflower seed sprout was 5.70.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rude fiber of sunflower seed sprout were 94.7%, 1.3%, 0.3%, 1.3% and 1.6%, respectively. The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B$_2$, vitamin C and niacin contents in sunflower seed sprout were 114.411. U%, 0.06mg%, 0.05mg%. 5.90mg% and 0.80mg%,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Ca, P, Fe, Na, K, Mn, Cu, Zn and Mg in sunflower seed sprout per 100g were 80.00mg, 4.85mg, 3.63mg, 8.25mg, 180.90mg, 1.35mg, 0.43mg, 1.85mgand 66.35mg, respectively. The crude ash and crude fiber content of sunflower seed sprout were 3 or 4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sprout of radish seed, mung bean, soybean or alfalfa, respectively.

  • PDF

자운영답에서 알팔파바구미 유충 및 성충 조사방법 (Scouting Methods for Larva and Adult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Coleoptera: Curculionidae) on Chinese Milkvetch, Astragalus sinicus L.)

  • 이흥수;권진혁;정부근;김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7-72
    • /
    • 2012
  • 자운영포장에서 알팔파바구미 유충 및 성충의 조사방법에 따른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알팔파바구미 유충 밀도를 Shake-bucket, Shake-picking, Sweeping net 방법을 사용한 결과 조사지역 3곳에서 조사방법과 조사시기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포충망을 이용하여 유충밀도를 조사한 결과 4월초까지 유충을 조사할 수 없어 초기에 발생하는 유충을 조사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Shake-bucket과 Shake-picking을 이용한 조사에서 유충발생이 3월 중순부터 확인되었으며, 두 방법간에 차이는 없었다. 미끼를 넣은 Pitfall trap을 이용하여 알팔파바구미 성충 밀도를 조사한 결과 유인조건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18). 각 처리간 성충 유인수를 조사한 결과 싹 틔운 강남콩 92마리, 강낭콩 종자 42마리, 트랩만 설치한 것에서 39마리로 싹 틔운 콩을 넣은 트랩에서 밀도유인 효과가 가장 좋았다. 자운영답에서 알팔파 바구미를 조사할 때 초기 발생하는 유충은 Shake-bucket법을 성충은 싹 틔운 강남콩을 미끼로 하는 pitfall trap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알팔파(Medicago sativa L.) 7개 품종(品種)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근류균접종(根瘤菌接種)의 영향(影響) (Effect of Inoculation (Rhizobium meliloti) on the Plant Height and Dry Matter Yield in Seven Alfalfa (Medicago sativa L.) Varieties)

  • 김무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3
    • /
    • 1975
  • 현지기후풍토(現地氣候風土)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는 7품종(品種) Alfalfa (Washo, Ranger, Lahontan, Narragensett, Atlantic, Vernal, Moapa 69)의 건물생산량과 생육(生育)에 미치는 근류균접종효과에 관한 실험(實驗)을 비교적 척박한 토양(土壤)에 종자(種子) 30l에 근류균(根瘤菌) 6oz 비율로 도말하여 파종(播種) 1973-74년 2년간(年間) 실시하였다. 1. 공시된 품종(品種)에서 근류균(根瘤菌)을 접종(接種)한 구(區)가 접종(接種)하지 않은 구(區)에 비하여 초장(草長) 및 건물량(乾物量)에 있어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2. 1973년(年) Pot 시험에서 접종구(接種區)의 건물생산량은 Moapa 69> Vernal> Lahontan> Washoe> Atlantic> Narragensett> Ranger 의 순(順)이었다. 3. 다음해 포장(圃場)에 이식(移植)한 후에는 접종(接種)과 무접종간(無接種間)의 건물생산량에 차이가 없었다. 총건물(總乾物) 생산량은 Washoe> Lahontan> Moapa 69> Ranger> Narrangensett> Vernal> Atlantic의 순(順)이었다.

  • PDF

Priming 처리시간 및 온도가 목초종자의 발아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iming Du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Germination of Forage Seed)

  • 김종덕;권찬호;허삼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81-288
    • /
    • 2008
  • 종자의 priming은 종자의 발아율 향상과 유식물의 초기정착에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시험에서는 목초의 주요 초종인 tall fescue, orchardgrass, alfalfa 및 white clover의 발아율 향상과 발아 균일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priming 처리기간과 처리온도에 따라서 목초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은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priming 처리시간으로 화본과 목초는 2일, 4일, 6일 및 8일을 두었으며, 두과목초는 1일, 2일, 3일 및 4일을 두었다. 세구는 priming 온도로 화본과 두과 목초 모두 10, 15 및 $20^{\circ}C$를 두었다. Priming후 발아세, 발아율, 평균발아소요일수 및 T50은 초종과 priming 처리기간 및 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Priming 처리기간에서는 화본과 목초인 톨 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는 6일에 발아율이 높았으나, 두과목초인 알팔파와 화이트 클로버는 2일에 발아율이 높았다. 한편 priming 처리 온도에서는 오차드그라스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발아율이 증가하였으나, 두과목초인 알팔파와 화이트 클로버는 온도가 $10^{\circ}C$에서 $2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목초의 priming은 초종에 따라 적정 처리시간 및 온도가 달랐다.

알팔파 재분화에서 배지조성에 따른 뿌리 유도율 조사 (Examination of Root Induction Ratio for Regeneration of Alfalfa by Medium Component)

  • 김기용;강경민;박근제;배은경;이인애;이병현;곽상수;조진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5-100
    • /
    • 2003
  • 알팔파 종자를 $3\;mg/{\ell}$의 2,4-D를 첨가한 SH 배지에서 배양하여 캘러스를 유도하였으며, 캘러스를 SH 배지에 $5\;mg/{\ell}$의 NAA와 $2\;mg/{\ell}$의 kinetin을 첨가한 배지에서 28~30일간 배양하고, $11\;mg/{\ell}$의 2,4-D와 $1\;mg/{\ell}$의 kinet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5일간 배양 후, $1.6\;g/{\ell}$의 (${NH_4}_2{SO_4}$$5.75\;g/{\ell}$의 proline을 첨가한 배지에서 21~25일간 배양하여 완전히 재분화된 식물체와 많은 수의 shoot를 얻었다. 알팔파의 재분화 과정에서 뿌리가 유도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SH salt의 양과 호르몬 양을 달리한 8종의 배지에서 각각 뿌리가 유도되는 정도를 조사해 본 결과, SH 기본배지를 사용한 것에 비해 IBA를 첨가했을 때 뿌리 유도율이 높았으며, 배지 1 리터당 1.5 mg의 IBA를 첨가했을 때 부리 유도율이 56.0%로서 가장 높았다. 또한 SH salt의 양을 1/2로 줄이고 IBA 첨가량을 다르게 하여 뿌리 유도율을 조사했을 때, SH 기본배지를 사용한 것에 비해 SH salt의 양을 1/2로 줄이고 뿌리 유도율이 높아졌으며, IBA를 첨가했을 때 푸리 유도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팔파의 뿌리를 유도하기 위한 배지는, IBA 첨가량을 $1.5\;mg/{\ell}$로 하고 SH salt의 양을 1/2로 줄여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간척지(干拓地) 초지조성(草地造成)을 위(爲)한 도입호주품종(導入濠州品種)의 적응성(適應性) 조사(調査)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II보(報)) (Studies on the Adaptability of Introduced Species from Australia for Grassland Establishment on Saline Land (Part II))

  • 권순기;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61-65
    • /
    • 1977
  • 본(木) 시험(試驗)은 서해안지대(西海岸地帶)의 간척지(干拓地) 주변(周邊)에 초지(草地)를 조성(造成) 할 수 있는 목초(牧草) 선발(選拔)코저 Strawberry clover, Alfalfa, Meadow grass, Kikulyu grass 및 Pearl millet의 적응성(適應性)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간척지(干拓地)의 염도(鹽度)가 0.4%인 토양(土壤)에서는 종자(種子)의 발아(發芽)가 되지 않았다. 2. 염도(鹽度) 0.2%의 간척지(干拓地)에서는 공시목초(供試牧草)의 생육(生育)이 가능(可能)하였으나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서 Strawberry clover와 Alfalfa는 초장(草長)이 현저하게 적었다. 3 분얼수(分蘖數)와 수량(收量)도 Strawberry clover, Alfalfa는 적었으나 Kikuyu grass와 Pearl millet는 간척지(干拓地)에서도 비교적(比較的) 좋은 성적(成積)을 얻었다. 4. Meadow grass는 초장(草長)이 짧은 관계(關係)로 수량(收量)은 크게 기대할 수 없으나 분얼(分蘖)이 잘되므로 간척지제방(干拓地堤防)등에 토양유실방지용(土懷流失防止用)으로 효과(效果)가 있을 것으로 본다. 5. Kikuyu grass는 호주(濠州)와 열대지방(熱帶地方)에서는 다년생(多年生) 목초(牧草)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월동이 불가능(不可能)하므로 Pearl millet와 같이 청예용(靑刈用), lage 및 건초용(乾草用)으로 간척지(干拓地)에서 재배이용(栽培利用)하는 방법(方法)이 기대된다. 6. 앞으로 본(本) 시험(試驗)에서 계속(繼續)하여 시험재배(試驗栽培)되어야 할 작물(作物)은 호주(濠州)의 사해안(四海岸)에서 시험재배(試驗栽培)에 성공(成功)한 Salt water couch (Sporobolus virignicus), Seashore Paspalum (Paspalum Vaginatum), Paccinellia sp., Couch grass, Wimmera ryegrass, Puccinella, Salt bush, Blue bush, Samphires (Arthrame num spp. ) 등으로 본다.

  • PDF

Improving the Food Safety of Seed Sprouts Through Irradiation Treatment

  • Waje, Catherine;Kwon, Joong-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171-176
    • /
    • 2007
  • Fresh sprouts such as alfalfa, mung bean, radish, broccoli, and soybean sprouts have become very popular due do their high nutritional value. However, there have been several outbreaks of illness in the last few years that have been attributed to sprout consumption. A number of methods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safety of seed sprouts. One promising technology is the use of ionizing radiation treatment. Irradiation with doses up to 8 kGy has been approved in the USA to control microbial pathogens in seeds intended for sprout production. This review focuses on the potential use of ionizing radiation in reducing the pathogen levels in seed sprouts.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seed germination and the nutritional quality of the sprouts are discussed.

새싹채소 종자의 전처리 방법이 식중독 세균 검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mple Preparation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Foodborne Pathogens from Sprout Seeds)

  • 김원일;김선영;김인선;한상현;김세리;윤보현;류재기;김현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65-470
    • /
    • 2016
  • 본 연구는 전처리 방법이 새싹채소 재배에 사용되는 종자 중 식중독 세균의 검출율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기 위해 시중 유통되고 있는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 19종을 수집하여 종자를 세척 방법과 발아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E.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의 검출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인위적으로 Salmonella enterica를 접종한 알팔파 종자에 대해서 무처리, 세척, 발아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S. enterica의 검출율을 검정하였다. 시중 유통되고 있는 종자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세척 방법과 발아 방법 등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 E. coli 검출율과 양성시료에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인위적으로 S. enterica를 접종한 알팔파 종자에 대한 검출율 비교 검정에서도 분석시료량 대비 전처리방법별로 검출율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택배지 종류에 따라서도 S. enterica의 검출율이 차이가 났다. 결론적으로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의 식중독 세균 분석에 있어서 종자의 전처리 방법, 시료당 분석시료량, 선택배지 종류 등이 검출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 유무에 따른 다양한 새싹 채소의 생육 및 생리활성 화합물의 함량 (Growth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s of Various Sprouts Cultivated under Dark and Light Conditions)

  • 이진희;오명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8-229
    • /
    • 2021
  • 최근, 소비자들이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화학적인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 천연 식품을 선호하게 되었다. 새싹 채소는 건강증진과 암, 심혈관질환 등의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고기능성이고 안전한 식품인 새싹 채소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여러가지 새싹 채소 7종의 생육 그리고 생리활성 물질 함량에 대한 광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새싹 채소용 케일, 다채, 브로콜리, 적양배추, 알팔파, 홍빛 열무 그리고 무 종자를 파종한 뒤 새싹들을 광조건(20℃, RGB 6:1:3, 130μmol·m-2·s-1, 12시간 광주기), 암조건 아래에서 각각 7일간 재배하였다. 처리 후 4일째부터7일째까지 1일 간격으로 샘플을 채취하였고 생체중과 건물중, 초장, 총페놀 함량, 항산화도를 측정하였다. Brassica 종(케일, 다채, 브로콜리, 적양배추)과 Medicago 종(알팔파)은 암조건에서 생체중 값이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생리활성 물질 함량은 광조건에서 유의적으로 증대되었다. 이에 반해 Raphanus 속(홍빛 열무, 무)는 광조건에서 생체중이 유의적으로 증대되었지만 생리활성 물질 함량은 암조건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다양한 새싹 채소의 생육과 생리활성 물질 함량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새싹 채소의 생육 및 영양학적 가치에 대한 광의 영향을 확인하였고 고품질의 새싹 채소를 생산하는데 있어 수확시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