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falfa

검색결과 511건 처리시간 0.033초

자운영답에서 알팔파바구미 유충 및 성충 조사방법 (Scouting Methods for Larva and Adult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Coleoptera: Curculionidae) on Chinese Milkvetch, Astragalus sinicus L.)

  • 이흥수;권진혁;정부근;김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7-72
    • /
    • 2012
  • 자운영포장에서 알팔파바구미 유충 및 성충의 조사방법에 따른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알팔파바구미 유충 밀도를 Shake-bucket, Shake-picking, Sweeping net 방법을 사용한 결과 조사지역 3곳에서 조사방법과 조사시기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포충망을 이용하여 유충밀도를 조사한 결과 4월초까지 유충을 조사할 수 없어 초기에 발생하는 유충을 조사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Shake-bucket과 Shake-picking을 이용한 조사에서 유충발생이 3월 중순부터 확인되었으며, 두 방법간에 차이는 없었다. 미끼를 넣은 Pitfall trap을 이용하여 알팔파바구미 성충 밀도를 조사한 결과 유인조건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18). 각 처리간 성충 유인수를 조사한 결과 싹 틔운 강남콩 92마리, 강낭콩 종자 42마리, 트랩만 설치한 것에서 39마리로 싹 틔운 콩을 넣은 트랩에서 밀도유인 효과가 가장 좋았다. 자운영답에서 알팔파 바구미를 조사할 때 초기 발생하는 유충은 Shake-bucket법을 성충은 싹 틔운 강남콩을 미끼로 하는 pitfall trap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알팔파 연작장해에 관여하는 타감작용 물질의 탐색 및 생물검정 (Bioassay of Allelopathy Substance Related Injury by Successive Cropping in Alfalfa(Medicago sativa L.))

  • 전인수;김명조;허장현;유창연;조동하;김이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28-235
    • /
    • 1997
  • 알팔파 종자와 재배지 토양의 추출물이 알팔파 및 무우의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물질을 구명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알팔파 종자 추출물의 무우생육에는 Luna, Sparta, Magnum, Husky, Milkmaker, Challenger, Anchor의 7개 품종에서 60∼80% 생육억제 효과를 보였다. 2) 알팔파 재배지 토양잔류추출물을 이용한 무우생육조사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발아억제 및 줄기, 뿌리 등의 생장억제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알팔파 재배토양으로 알팔파와 무우 생육실험시에는 80%의 발아억제를 보이면서 줄기와 뿌리의 길이 및 생체중에서도 큰 차이를 보여 allelopathy와 autotoxicity가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위 실험을 통해 관여하는 물질의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조사한 결과 표준 phenol compounds와 식물부위별 추출물을 비교 분석하였더니 salicylic acid, p-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등의 7가지 acids를 분리동정 할 수 있었다.

  • PDF

함경북도 내 미래 알팔파 재배의 기후적합도 앙상블 전망 (Ensemble Projection of Climate Suitability for Alfalfa (Medicago Sativa L.) in Hamkyongbukdo)

  • 현승민;현신우;김광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71-82
    • /
    • 2024
  • 함경북도의 개간된 경사지의 작물 생산성과 지속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두과 조사료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함경북도에서 두과 조사료인 알팔파를 대상으로 재배 가능지역을 파악하는 것이 미래를 대비한 사료작물 재배 관련 정책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물의 기후적합도를 예측하는 Fuzzy Union 모형을 사용하여 현재와 미래조건에서 함경북도 내 알팔파의 기후적합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Fuzzy Union 모형으로 예측된 기후적합도와 미국 북부 지역의 실제 알팔파 재배 면적을 비교하였다. 또한, 전지구 기후모형 11종으로부터 얻어진 기후자료를 기후적합도를 계산하기 위한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미래 기후변화 조건에서의 예측 불확도를 확인하였다. 미국 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기후적합도의 주별 면적은 실제 알팔파 재배면적 변이의 약 44%를 설명하였다. 미래 기후조건에서 알팔파의 기후적합도는 함경북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예를 들어, 온성군과 경원군의 경우 현재 기후조건에서 기후적합도가 88 이상으로 분석되었지만 2090년대에 약 66%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Fuzzy Union 모델을 사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알팔파 재배 적합지의 변동을 공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1세기 후반에는 함경북도 지역에서 알팔파의 기후적합도가 하고현상으로 인해 크게 감소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후에는 토양 조건을 반영하여 알팔파의 재배 적합지를 예측하고, 이와 함께 헤어리베치 등의 타 두과 사료작물의 기후적합도의 예측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종자피복이 겉뿌림 목초의 정착과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 (Seed Coating Effect on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of Over Sown Pasture Species)

  • 김종관;권찬호;한건준;민두홍;김종덕;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66
    • /
    • 2000
  • 본 시험은 1998년 충남 성환에 있는 천원목장의 불경운초지 및 임간초지에 선점식생을 제거하지 않고 피복종자를 겉뿌림하였을 때 목초의 정착 및 초기생육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불경운초지에서 tall fescue 및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정착률 및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불경운에서 alfalfa 피복종자는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각각 4.7% 및 $4\;g/\textrm{m}^2$로 부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p<0.05). 한편 임간초지에서 tall fescue 피복종자의 정착률은 11.8%로 무처리의 0.3% 보다 높았으나 (p<0.05),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임간초지에서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처리간에 정착률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초기생육은 피복종자가 18.7%로 무처리의 0.3% 보다 높았다 (p<0.05). 임간초지에서 alfalfa 피복종자의 정착률은 무처리보다 높았다 (p<0.05).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tall fescue, orchardgrass 및 alfalfa 종자를 피복하여 불경운 초지 및 임간 초지에 겉뿌림시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 PDF

Phenolic compound와 polyphenolase 함유 작물로부터 조제한 녹엽단백질의 영양가 (Nutritional quality of leaf proteins prepared from crop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and polyphenolase)

  • 조영수;차재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92-197
    • /
    • 1997
  • 녹엽단백질 조제 원료 목초중 diphenol 및 polyphenolase의 측정결과 alfalfa에는 존재 하지 않고, Italian ryegrass, red clover, sorghum 에는 존재가 확인 되었다. 이러한 목초로부터 단백질 추출은 용매를 물만으로 한것과 물에 환원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여 갈변단백질과 갈변방지단백질을 조제하여Wistar계 숫컷 흰쥐에 14일간 급여하여 체중증가량, 소화율, PER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alfalfa 녹엽단백질의 경우 갈변단백질과 갈변방지단백질 간에 증체량, 소화율, PER은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Italian ryegrass 녹엽단백질의 경우 갈변단백질과 갈변방지단백질의 경우 소화율에서 유의차가 인정 되었다. 그러나, 체중증가량, PER은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red clover 녹엽단백질의 경우 갈변단백질이 소화율, 증체량, PER은 갈변단백질 보다 유의하게 저하 하였다. 이러한 것은 녹엽단백질의 영양가가 갈변반응에 의해 손상 되어 지고 원료 목초중의 diphenolase 활성이 높을수록 갈변반응에 의해 영양가의 저하가 현저하였다. 녹엽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갈변에 의해 거의 손상 되지 않았지만, red clover 녹엽단백질의 경우 lysine, histidine 이 조금 감소 하였다. 녹엽단백질의 아미노산 손실은 갈변에 의한 것이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유효성 아미노산에 대하여 금후 검토를 요하는 과제이다.

  • PDF

증발접시 증발량과 알팔파 기준증발산량의 모형화를 위한 통합운영방법 (The Integrational Operation Method for the Modeling of the Pan Evaporation and the Alfalfa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 김성원;김형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2B호
    • /
    • pp.199-21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월별 증발접시 증발량과 월별 알팔파 기준증발산량의 모형화를 위한 통합운영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장기간동안 증발산계를 이용하여 알팔파 기준증발산량의 관측이 시행되지 않고 있으므로, Penman-Monteith(PM) 공식을 이용하여 산정된 값을 계측된 알팔파 기준증발산량으로 가정하였다. 통합운영 방법은 각각 추계학적 모형과 신경망모형의 적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계학적 모형은 월별 증발접시 증발량과 월별 알팔파 기준증발산량에 대한 훈련자료의 모의발생을 위하여 적용되었으며, 신경망모형은 관측된 테스트자료를 합리적으로 계산하기 위하여 적용되었다. 고려된 6가지의 훈련패턴 중에서 1,000/PARMA(1,1)/GRNNM-GA 훈련패턴은 제시된 기상인자를 가장 양호하게 평가하였으며, 또한 월별 증발접시 증발량과 월별 알팔파 기준증발산량의 신뢰성있는 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 불확실성 분석은 1,000/PARMA(1,1)/GRNNM-GA 훈련패턴 으로부터 입력층노드의 기상인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민감하거나 민감하지 않는 기상인자들이 불확실성 분석을 통하여 선택되어 진다. 마지막으로 통합운영방법을 이용하여 최소비용과 노력으로 월별 증발접시 증발량과 월별 알팔파 기준증발산량을 동시에 모형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콩과식물의 잎과 줄기의 Esterase Isozyme Banding Pattern에 관한 연구 (Esterase Isozyme Banding Pattern in Leaf and Stem of Legume Plants)

  • 이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99-202
    • /
    • 1991
  • Red clover, ladino clover, white clover, alfalfa, 차풀 그리고 갈키나물등 6종의 콩과식물에서 잎과 줄기의 Esterase Isozyme를 추출하여 starch gel 전기영동법으로 분리한 후 염색하여 종간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공시된 식물의 Esterase Isozyme의 band수, 염색강도, 이동속도는 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동일종에 있어서는 alfalfa를 제외하고는 잎과 줄기사이에 band의 수는 차이가 없었으며 차풀과 갈키나물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Fig. 2). Esterase Isozyme의 염색강도와 이동속도는 Est 1 이 가장 강하고 빨랐다.

  • PDF

겉뿌림을 위한 알팔파의 종자펠렛팅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Seed Pelleting Technique for Surface Sowing of Alfalfa)

  • 김종덕;권찬호;김수곤;김종관;허삼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475-480
    • /
    • 2005
  • Surface sow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to establish and improve grassland. An interest in seed-coating technique for surface sowing has been increased tremendously in the world toda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a technique for pelleting seeds for pasture production in woodlands. Results showed that pelleting seeds was a better technique than coating seeds because the pelleting reduced coating time of seeds, and it increased the amounts of coated seeds per hour. The pelleting technique was able to minimize damage to seeds through the lower temperature processing and by reducing time for drying, thus, germinating energy, and germination rate of pelleted alfalfa seeds improved. Emergence,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of alfalfa from pelleted seeds were also improved in woodlands. Based on this study, we could conclude that the seed-pelleting is a very useful technique for the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of alfalfa in woodlands.

Melatonin and Polyphenol Contents in Some Edible Sprouts (Alfalfa, Chicory, Rape, Red Kale and Sunflower)

  • Kim, Seok-Joong;Cho, Moo-H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84-188
    • /
    • 2011
  • The melatonin,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determined in alfalfa, chicory, rape, red kale and sunflower after germination for four days at $24{\pm}0.1^{\circ}C$. Compared with seeds, melatonin content was increased in all sprouts, at the highest level in red kale (2,502.9 pg/g, 5.6 times higher than seed) followed by rape (2,430.1 pg/g), chicory (2,037.7 pg/g), alfalfa (1,160.8 pg/g) and sunflower (768.2 pg/g) sprout, however, the addition of tryptophan (0.5 mM), the precursor of melatonin synthesis, did not show any desirable effect. Both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ubstantially increased in chicory (8.7 mg/g, 66%), rape (10.7 mg/g, 51%) and red kale (11.0 mg/g, 53%) sprouts, but not in alfalfa and sunflower sprouts. Melatonin content per gram polyphenol (ng/g) was also increased in all sprouts through germination. Germina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melatonin in all seeds tested, while its effect on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pecies dependent.

밀기울 첨가수준이 알팔파 Silage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Quality of Alfalfa Silage by Different Wheat Bran Mixing Levels)

  • 신재순;차영호;이혁호;김정갑;진현주;정기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5-229
    • /
    • 1996
  • To find out the optimum mixing level of wheat bran to improve the quality of 1st cut Alfalfa silage, this trial was canied out at two-year's Alfalfa monoculture field of the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Suwon, Korea, from May 1955 to Oct. 1995. The results are as follows. I.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wheat bran mixing level, DM content was high from 23.19%(nil) to 35.70%(40% mixing), pH of silage were low from 5.51(nil) to 4.45(40% mixing).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at 20% mixing or more(P>0.05). 2. Also it was appeared to the same trend at Lactic acid content and in the Flieg's score of silage it was highest as 59 in the 20% mixing level. 3. In chemical component of silages there were not significant at 20% mixing or more in crude protein, crude fiber and ashes content, 30% mixing or more in ether extract and 10% or less in NFE content(P>0.05). 4. TDN, NEL and StE contents were low as adding level was increased. respectively,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P>O.OS).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desirable mixing level of wheat bran to lstcut Alfalfa to improve the quality of silage was 20% of fresh weigh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