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dehyde dehydrogenase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8초

Methionine과 Selenium 수준이 흰쥐의 알코올대사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ionine and Selenium Levels on Alcohol Metabolic Enzyme System in Rats)

  • 김명주;박은미;이미경;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9-326
    • /
    • 1997
  • Met과 Se의 공급수준이 흰쥐의 알코올대사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Sprague-Dawley종의 웅성 흰쥐에게 Se 무첨가 및 정상공급식이 (0, 0.45mg/kg diet)에 Met(0, 3, 9g/kg diet)을 투여한 후 5주와 10주간 사육하여 간조직중의 알코올 대사효소와 항산화 방어 효소계 활성도를 관찰하였다. 알코올은 aldehyde dehydrogenase와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활성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Met과 Se의 동시 결핍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Met과 Se의 동시 공급군의 경우 알코올 투여기간이 길수록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ldehyde dehydrogenase 활성도는 알코올 투여로 감소하였으며 Met과 Se 동시 결핍군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사육기간이 길수록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Cytochrome P-450과 xanthine oxidase 활성도는 알코올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는데 Se 결핍시 Met 결핍군과 과량공급군에서 그 증가가 현저하였으며, 5주 실험군에 비해 10주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및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도는 알코올 투여시 증가되었으며, superoxide dismutase와 catalase 활성도는 알코올 투여기간이 길수록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알코올 투여시 glutathione peroxidas 활성도는 감소되었으며, Met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Met과 Se 동시 결핍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식이성 Met과 Se은 동물의 성장 및 정상적 대사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로서 알코올 투여 시 Met과 Se 첨가에 따라 알코올대사 효소활성도와 항산화 방어효소 활성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식이 kg당 3g의 Met과 0.45mg의 Se 동시 공급시 원활한 알코올대사를 유도하여 알코올성 간손상을 가장 효율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쥐간에 미치는 ethanol 독성에 대한 한국산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의 예방적 효과 (THE PREVENTIVE EFFECT OF THE SAPONIN FRACTION OF PANAX GINSENG C.A. MEYER AGAINST ETHANOL INTOXICATION OF RAT LIVER)

  • 주충노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63-74
    • /
    • 1984
  • 한국산 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 분획이 쥐의 간에 미치는 에탄올 독성을 예방하는 효력이 있음을 생화학적 및 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실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적당량(반응액에서의 농도 : $10^{-5}\%$내외)의 인삼 사포닌은 여러가지 효소를 비 특이적으로 활성화하며 1mg의 사포닌 분획을 쥐에게 경구 투여하면 2시간후의 간에서의 인삼 사포닌 분획의 농도가 약 $10^{-5}\%$ 수준이고 간에서의 사포닌 분획의 반감기는 약 5시간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도 인삼 사포닌 분획이 에탄올 대사에 관여하는 alcohol dehydrogenase, aldehyde dehydrogenase 그리고 microsomal ethanol oxilizing system을 시험관 내에서나 생체에서 다같이 촉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인삼 사포닌 분획이 에탄올 산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독한 acetadizing를 체내에서 신속히 제거하고 과량의 수소를 생합성에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서 에탄올 독성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전자현미경적 관찰도 물대신 $12{\%}$ ethanol만을 6일간 투여한 쥐의 간세포가 크게 손상되었는데 비하여 인삼 사포닌을 $12{\%}$ethanol과 함께 같은 기간 투여한 쥐의 간세포는 손상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인삼 사포닌 분획이 에탄올 특성에 예방적 효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정제봉독의 ADH와 ALDH 활성 효과 (ADH and ALDH Activation of Purified Bee Venom (Apis mellifera L.))

  • 한상미;홍인표;우순옥;김세건;장혜리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9-27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서양종꿀벌의 일벌에서 채집하여 정제한 정제봉독이 알코올 분해능에 관련이 있는 ADH와 ALDH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ADH와 ALDH 활성은 in vitro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제봉독 처리에 의해 ADH와 ALDH 효소 활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DH 효소는 1mg/ml 이상의 정제봉독을 처리했을 경우 양성대조구(2mg/ml) 대비 $88.6{\pm}7.34%$의 활성도를 보였으며, ALDH 효소 역시 1mg/ml 이상의 정제봉독에서 양성대조구(2mg/ml) 대비 $94.6{\pm}0.57%$의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정제봉독은 숙취 해소능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물질인 ADH와 ALDH 효소 활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향후 추가시험을 통해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식의약품 소재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흰쥐에 Toluene과 Alcohol의 병행투여가 Toluene 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Ethanol with Toluene Treatment for a Short Time Period on the Toluene Metabolizing Enzyme Activity)

  • 윤종국;전재현;신중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76-980
    • /
    • 1996
  • 흰쥐를 대조군과 체중 100g 당 ethanol 0.3ml를 1일 1회 4일간 복강내로 투여한 실험군, 체중 100g당 toluene 0.3ml를 1일 1회 4일간 복강내로 투여한 실험군 및 ethanol 투여 2시간 후 toluene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lcohol 투여군, toluene투여군 모두 간 microsomal aniline hydroxylase(AH) 및 aminopyrine demethylase(AD) 활성도가 대조군 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Toluene과 ethanol의 병 행군은 toluene 투여군 보다 AH 및 AD 활성도가 다소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간조직 중 benzylalcohol dehydrogenase 활성도 역시 alcohol 및 toluene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toluene과 alcoho의 병행투여군은 toluene 투여군 보다 본 효소 활성도가 다소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간조직 중 benzaldehyde dehydrogenase 활성도는 alcohol 및 toluene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alcohol과 toluene의 병행투여군은 toluene 투여군 보다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간조직 중 xanthine oxidase 활성도는 alcohol과 toluene 병행 투여군이 toluene 투여군 보다 유의하게증가되었다. 이상 실험성적을 종합해 볼 때 alcohol의 전처치는 toluene 대사 효소 활성도를 억제시켜 toluene 대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산 또아리물달팽이과 ( family Planorbidae ) 3종에서의 동위 효소 변이 (Isozyme Variability in Three Species of Freshwater Planorbid Snails in Korea : Gyraulus convexiusculus , Hippeutis cantori and Segmentina hemisphaerula)

  • 정평림;정영헌;김기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61
    • /
    • 1995
  • A horizontal starch gal electrophoresis for enzyme proteins extracted from 3 species of Korean planorbid snails; Gyraulus convexiusculus, Hippeutis cantori and Segmentina hemisphaerula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lucidate their genetic relationships.The results from 12 enzymes employed in three different kinds of buffer systems are summarized as follows:1) Two loci from each enzyme of aldehyde oxidase, esterase, glucose phosphate isomerase. isocitrate dehydrogenase, leucine aminopeptidase, malate dehyogenase, peptidase and xanthine oxidase were detected, and only one locus was observed from each of the following four enzymes: 6-phosphogluconate dehydrogenase, glyceraldehyde-phosphate dehydrogenase,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and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2) Most of loci in 3 species of planorbid snails employed showed homozygous and monomorphic banding patterns and some of them were specifis as genetic markers among different species. However, a few of loci (EST-1. EST-2 and GPI-2)showed polymorphic banding patterns. 3)Hippeutis cantori and Segmentina hemisphaerula were more closely clustered in a dendrogram with the genetic iddentity value of 0.431, and these two species were lineated with Gyraulus convexiusculus as another cluster at the value of 0.294.In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three species of Korean planorbid snails employed in this study mostly showed monomorphic enzyme protein banding patterns and genetic differences specific among 3 species.

  • PDF

알톨 대사에 미치는 인삼의 영향 (Effect of Ginseng on the Alcohol Metabolism in Alcohol Treated Rat)

  • 허근;최종원
    • 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9-51
    • /
    • 1984
  • After pretreatment with ginseng followed by induction of acute intoxication of alcohol, the activities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MEOS) and aldehyde dehydrogenase(Ald DH) increased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groups treated with alcohol alone. In case that ginseng was given to rats fed with 5% alcohol instead of water for 60 days, the activities of ADH and MEOS increased compared to the groups treated. On the contrary, the activity of Ald DH in mitochondrial fraction decreased to an extent of about 35% in chronic alcoholism, but after pretreatment of ginseng the activity was restored to the control level. On the other hand, the catalas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either treatment. Ginseng butanol fr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rum isocitrate dehydrogenase activity which is inhibited by alcohol-treated in rat. Alcohol-induced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was decreased to control level in liver by ginseng treatment. And the serum level of lactic acid also decreased by ginseng treatment in alcohol-intoxicated rat. Ginseng butanol fraction markedly decreased the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the ethanol-treated rat liver. It was also observed that ginseng reduced the blood concentration of uric acid on experimentally reduced hyperuricemia by alcohol treatment. Uricase activity was not affected by either treatment. Ginseng butanol fraction decreased the hepatic aniline hydroxylase activity which was induced by alcohol-treated ra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 with ginseng can be promoted the recovery from alcohol intoxication and some therapeutic effect on alcoholinduced metabolic disease.

  • PDF

알코올의존 환자의 Aldehyde Dehydrogenase 2 유전자 변이에 따른 음주 후 반응 및 성격특성 (Acute Alcohol Responses and Personality Traits by Aldehyde Dehydrogenase 2 Genotype Variances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 이종일;이정식;조성남;채영규;남정현;양병환;최인근;김석현;노성원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2호
    • /
    • pp.196-206
    • /
    • 2005
  •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athophysiology of alcoholics by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frequency of Aldehyde Dehydrogenase 2(ALDH2) genotypes and ALDH2 alleles betwee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controls, and the differences of drinking and personality traits in Korean male alcoholics with ALDH2 genotype variances. Methods:The authors selected 98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53 controls.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acute reponses after alcohol ingestion, the AUI(Alcohol Use Inventory), and the NEO-PI-R(NEO Personality Inventory Revised) were given to all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LDH2 genotypes were typed with MboII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ethod in 53 controls and 98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The authors divided alcoholic patien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variant $ALDH2^2$ allele;normal ALDH2 alcoholics(N=87) and variant ALDH2 alcoholics(N=11). Results:1) The genotypic frequencies of subjects with $ALDH2^{1/1}$ were higher and those with $ALDH2^{1/2}$ and $ALDH2^{2/2}$ were lower in patients than in controls. 2) Alcohol dependence could be found in $ALDH2^{2/2}$ homozygote individuals. 3) Variant ALDH2 alcoholics had more family problems in the AUI than normal ALDH2 alcoholics. 4) Variant ALDH2 alcoholics experienced more flushing and cardiovascular responses after alcohol ingestion than normal ALDH2 alcoholics. 5) Variant ALDH2 alcoholics had less altruistic personality traits in the NEO-PI-R than normal ALDH2 alcoholics. 6) Variant ALDH2 alcoholics tended to have more tolerance to alcohol than normal ALDH2 alcoholics. Conclusion:Variant $ALDH2^2$ allele might play a protective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lcohol dependence and there were several significant differences of drinking and personality traits in Korean male alcoholics with ALDH2 genotype variances.

  • PDF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의 Aldehyde Dehydrogenase II와 CYP2E1 유전자 다형성과 임상적 특성간의 연관성 (Association of Genetic Polymorphisms of Aldehyde Dehydrogenase II and CYP2E1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 정인원;김영랑;지경환;김헌
    • 생물정신의학
    • /
    • 제9권1호
    • /
    • pp.42-49
    • /
    • 2002
  • Objective: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 of genetic polymorphisms of ALDH2 and CYP2E1 to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lcoholic patients and alcohol induced liver damage. Methods:The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128 male hospitalized patients who met DSM-IV criteria for alcohol dependence were compared with 128 healthy male control subjects. The genetic informations of ALDH2 and CYP2E1 were identified with the technique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alcoholic patients were assess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the family history of alcoholism. For the relation of CYP2E1 genetic polymorphism to the liver damage, the blood levels of various liver function indicators such as ALT, AST, and protein were checked out. Results:1) The alcoholic patients with the family history of alcoholism had the earlier onset of age (p=0.001), the longer duration of illness(p=0.045), and higher NCA scores(p=0.018) than those without the family history of alcoholism. 2) Most alcoholic patients were homozygous for $ALDH2^*1$, compared to control subjects.(p=0.000) 3) There was no difference of CYP2E1 distribution between alcoholic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However, alcoholic patients having mutant c2 allele showed higher alcoholism severity scores(p=0.004) and more hospitalizations(p=0.014) than those having c1 allele. 4)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CYP2E1 genotype and the functional abnormalities of the liver. Conclusion:This study suggests that $ALDH2^*1$ is highly related with alcohol dependence. Also mutant c2 allele of CYP2E1 is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alcoholism and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But genetic polymorphim of CYP2E1 seems to have no relation to liver damages.

  • PDF

흰쥐의 에탄올성 간장해에 미치는 식이 단백질과 섬유소의 영향 (Effect of Dietary Protein and Fiber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조수열;박은미;이미경;장주연;김명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75-681
    • /
    • 1997
  • 체내에서 영양소의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에탄올과 섬유소 및 단백질의 급여수준에 따른 이 들 상호작용을 구명하기 위해 에탄올을 투여한 횐쥐에게 단백질 급여 수준을 7%와 20%로 달리 하고 섬유소를 5%와 10% 첨가한 실험식이를 5주간 급여하므로써 이들 영양소가 에탄을 대사효소와 항산화 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Aldehyde dehydrogenase(ADH)와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MEOS) 활성은 에탄을 투여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MEOS 활성은 단백질 정상 급여와 정상섬유소 급여시 그 증가가 현저하였다. 에탄을 투여로 감소된 aldehyde de-hydrogenase(AIDH) 활성은 정상섬유소군의 경우 단백질 적정 급여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Cytoch-rome P-450(P-450) 활성은 에탄을 투여로 증가되었으며 에탄을 투여군에서 단백질 정상급여와 과량의 섬유소 급여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Xanthine oxidase (XO) 활성은 에탄을 투여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저 단백군에 비하여 단백질 적정 급여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섬유소 급여수준에 따른 XO 활성은 에탄올 투여군 중 단백질 정상군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에탄을 투여는 간조직 중의 글루타티온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단백질 결핍에 따른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간조직 중의 지질과 산화 함량은 단백질 결핍시 에탄올 투여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에탄올을 해독키 위하여 간의 ADH와 MEOS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이로 인해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는 AIDH 보다 XO를 통해 해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탄올 대사효소 활성에 요구되는 단백질 공급과 10% 즉, 과량의 섬유소 급여 보다 5% 섬유소 급여시 에탄올성 간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흰쥐에서 황칠나무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혼합물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숙취 해소 효과 (Eliminatory Effect of Mixtur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on Alcohol-induc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in Rat)

  • 나주련;김은;박소이;이기훈;정의선;김진석;김용재;김선오
    •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7-27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숙취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식품 소재와 황칠나무 추출물을 복합하여 in vitro 및 in vivo에서 알코올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HepG2세포에서 300 mM 알코올과 SBJ 혼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LDH 수치가 감소하였으나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외한 복합물인 SBJ-복합물에서는 그 효과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In vivo에서 SBJ 혼합물의 보호효과를 확인하고자 흰쥐에 알코올과 SBJ 혼합물을 투여한 결과, 알코올 투여 후 1시간까지 급격하게 혈중 알코올 수치가 EtOH군에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SBJ 혼합물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로 감소되었음이 관찰되었으며 또한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확인하였다. ADH 및 ALDH 활성의 증가는 SBJ 혼합물의 알코올 분해 및 대사산물의 제거 활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알코올에 의하여 증가한 LDH의 농도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GST, SOD, GPx 및 reduced glutathione와 같은 항산화 인자 및 효소의 활성은 대조군보다 EtOH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SBJ 혼합물에 의해 개선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SBJ 혼합물은 ADH, ALDH 활성 증가 및 항산화 방어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간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간보호에 미치는 주요한 추출물은 황칠나무 추출물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신규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