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ohol toxicity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5초

태양인(太陽人), 태음인(太陰人)의 처방(處方)과 약재(藥材)가 지방세포(脂肪細胞)(3T3-L1)의 증식(增殖)·분화억제(分化抑制)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n adipocyte 3T3-L1 by prescriptions and herbs of Taeyang-In and Taeum-In)

  • 김수범;고병희;송일병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33-564
    • /
    • 1998
  • 식생활(食生活)이 향상(向上)되고 생활(生活)이 변화(變化)되며 사회(社會)가 서구화(西歐化)가 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도 비만(肥滿)이 하나의 질병(疾病)으로 자리를 잡았다. 많은 사람이 비만(肥滿)을 치료(治療)하기 위하여 노력(勞力)을 하며 최근(最近)에는 비만(肥滿)으로 인하여 고혈압(高血壓), 당뇨병(糖尿病), 동맥경화(動脈硬化), 관상동맥질환(冠狀動脈疾患), 뇌졸중(腦卒中), 퇴행성(退行性), 관절염(關節炎), 중풍(痛風), 담석증(膽石症), 지방간(脂肪肝), 간경병증(肝硬變症), 신장병(腎臟病), 임신중독(姙娠中毒), 불임증(不臨症) 등(等)의 여러 증상(症狀)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 비만증(肥滿症)은 "체내(體內)의 지장조직량(脂肪組織量)이 過剩으로 증가(增加)된 상태(狀態)" 라고 정의(定意)하고 대체적(大體的)으로 비만(肥滿)이라 함은 표준체중(標準體重)의 20%이상(以上)을 초과(超過)한 상태(狀態)이거나 체내(體內) 지방(脂肪)이 남자(男子)에서는 체중(體重)의 25%, 여자(女子)에서는 체중(體重)의 30%이상(以上)인 경우(境遇)이다. 원인(原因)에 따라서 유전적(遺傳的) 비만(肥滿), 내분비적(內分泌的) 비만(肥滿), 시상하부성(視床下部性) 비만(肥滿), 교감신경계(交感神經系)의 이상(異常)에 의한 비만(肥滿), 운동부족(運動不足)에 의한 비만(肥滿), 飮食에 의한 비만(肥滿), 약물(藥物)에 의한 비만(肥滿), 사회적(社會的), 경제적(經濟的), 심리적(心理的) 요소(要素)에 의한 비만(肥滿) 등(等)으로 구분(區分)하였으며, 지방세포(脂肪細胞)의 양상(樣相)에 따라 지방세포(脂肪細胞)의 크기가 증가(增加)하는 비대형(肥大型), 비만세포(肥滿細胞)의 수(數)가 증가(增加)하는 증식형(增殖型), 두 가지가 같이 일어나는 혼합형(混合型)으로 구분(區分)하였다.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는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사단론(四端論)]의 "폐이호(肺以呼) 간이흡(肝以吸) 간폐자(肝肺者) 호흡기액지문호야(呼吸氣液之門戶也) 비이납(脾以納) 신이출(腎以出) 신비자출납수반지부고야(腎脾者出納水般之府庫也)" 라고 하여 태양인(太陽人)과 태음인(太陰人)의 비만(肥滿)은 기액지기(氣液之氣)의 대사과정에서 나오는 병증(病證)이라 할 수 있다.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태양인(太陽人) 태음인(太陰人) 병증론(病證論)에서 비만(肥滿)에 대해 언급된 것은 없으나 최근(最近) 식생활(食生活), 사회환경(社會環境)의 변화(變化) 및 체질적(體質的)인 요인으로 비만(肥滿)이 올 수 있다고 보고 태양인(太陽人)과 태음인(太陰人)의 처방(處方)과 약재(樂材)가 비만(肥滿)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할 전지방세포(前脂肪細胞)(preadipocyte)인 3T3-L1 세포(細胞)는 3T3 세포(細胞)로부터 유래(由來)된 세포주(細胞柱)로써 그 생물학적(生物學的) 특성(特性)이 잘 밝혀져 있고, 적절한 조건아래에서 배양(培養)하면 지방세포(脂肪細胞)(adipocyte cell)로 분화(分化)하는 성질(性質)을 갖고 있어 비방세포(脂肪細胞)의 대사과정(代謝過程)은 물론 지방축적(脂肪蓄積)과 지방세포(脂肪細胞)의 분화과정(分化過程)을 연구(硏究)하는데 널리 사용(使用)되고 있다. 3T3-L1 세포(細胞)를 이용(利用)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 retinol, retinoic acid, vitamin D group, vitamin E, nicotinamide, phorbol ester, dihydroteleocidin B, lithium 등은 전지방세포(前脂肪細胞)의 지방세포(脂肪細胞)로의 분화(分化)를 억제(抑制)하지만, 이와는 달리 ascorbate, hemin, cadmium, corticosterone, cAMP 등(等)은 지방세포(脂肪細胞)로의 분화(分化)를 촉진(促進)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져 지방세포(脂肪細胞)의 분화과정(分化過程)을 자세(仔細)하게 이해(理解)할 수 있는 수준(水準)까지 되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태양인(太陽人) 처방(處方)과 약재(藥材)의 미후등식장탕 오가피장척탕(五加皮壯脊湯) 오가피(五加皮) 노근(蘆根)과 태음인(太陰人) 처방(處方)과 약재(藥材)의 태음위조탕(太陰調胃湯)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 청폐사간탕(淸肺瀉肝湯) 갈근부평탕(葛根浮萍湯) 의이인(薏苡仁) 대황(大黃) 상백피(桑白皮) 유근백피(楡根白皮) 제조 해동피(海桐皮) 마황(麻黃) 백모근(白茅根)을 산출(汕出)하여 전지방세포(前脂肪細胞)인 3T3-L1을 이용하여 증식효과(增殖效果)와 자연분화시(自然分化時)의 분화효과(分化效果)와 재분화효과(再分化效果), 유도분화시(誘導分化時)의 분화효과(分化效果)와 재분화효과(再分化效果)에 관해 실험(實驗)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지방세포(脂肪細胞)의 증식효과(增殖效果) 1) 태양인(太陽人) 처방(處方)의 오가피장적탕(五加皮壯脊湯), 미후등식장탕과 약재(藥材)의 오가피(五加皮)에서는 전탕추출과 에탄올추출 모두에서, 노근(蘆根)은 에탄올추출에서 세포증식(細胞增殖)의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2) 태음인(太陰人) 처방(處方)의 청폐사간탕(淸肺瀉肝湯) 갈근부평탕(葛根浮萍湯)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 태음위조탕(太陰調胃湯)에서 세포증식(細胞增植)의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약재(樂材)의 전탕추출은 의이인(薏苡仁) 대황(大黃) 상백피(桑白皮) 유근백피(楡根白皮) 마황(麻黃) 해동피(海桐皮), 에탄올추출은 제조 해동피(海桐皮)에서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2. 지방세포(脂肋細胞)의 분화효과(分化效果) 1) 자연분화시(自然分化時)에 태양인(太陽人) 처방(處方)과 약재(藥材)의 경우, 초기분화(初期分化)의 전탕추출은 노근(蘆根), 에탄올추출은 오가피장적탕(五加皮壯脊湯) 오가피(五加皮)에서 세포독성(細胞毒性)의 작용이 나타났다. 2) 자연분화시(自然分化時)에 태음인(太陰人) 처방(處方)과 약재(樂材)의 경우, 초기분화(初期分化)의 전탕추출은 유근백피(楡根白皮) 해동피(海桐皮)에서 세포독성(細胞毒性)의 작용이 나타났다. 재분화(再分化)의 에탄올추출은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 마황(麻黃)에서 세포분화(細胞分化)의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3) 유도분화시(誘導分化時)에 태양인(太陽人) 처방(處方)과 약재(藥材)의 초기분화(初期分化)의 경우, 오가피(五加皮)의 에탄올추출은 세포분화(細胞分化)의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오가피장적탕(五加皮壯脊湯) 오가피(五加皮) 노근(蘆根)의 전탕추출은 세포독성(細胞毒性)의 작용이 유추되었다. 4) 유도분화시(誘導分化時)에 태음인(太陰人) 처방(處方)과 약재(藥材)의 초기분화(初期分化)의 경우, 의이인(薏苡仁) 마황(麻黃) 백모근(白茅根)의 전탕추출과 마황(麻黃)의 에탄올추출에서 세포분화(細胞分化)의 억제효과(抑制效果)가 나타났다. 해동피(海桐皮)의 전탕추출과 에탄올추출에서는 세포독성(細胞毒性)의 작용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에 태양인(太陽人) 태음인(太陰人) 처방(處方)과 약재(藥材)는 증식과정에서 비만(肥滿)이 완전하게 형성되기 전인 지방세포(脂肪細胞)의 증식효과(增殖效果)에서 유의하게 세포증식(細胞增拖)의 억제효화(抑制效果)가 나타났으며 비만치료제로써의 활용가치가 있다고 사려된다. 지방세포(脂肪細胞)의 분화과정(分化過程)에서 생체환경(生體環境)의 조건과 비슷하게 유도분화(誘導分化)된 조건에서는 오가피(五加皮) 마황(麻黃) 의이인(薏苡仁) 백모근(白茅根)에서 유의한 세포분화(細胞分化)의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앞으로 비만(肥滿)의 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동물실험(動物實驗)을 통한 확이니 필요하며, 또한 본 논문이 비만(肥滿)이 억제되는 기전을 유추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

벌나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알코올 분해능 (Antioxidant and Alcohol Degradation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cer tegmentosum Maxim.)

  • 최준혁;이소희;박윤희;이성규;정영태;이인선;박준홍;김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78-383
    • /
    • 2013
  • 벌나무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in vitro 및 in vivo에서의 알코올 분해능을 검토하였다. 벌나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71.93{\pm}2.2{\mu}g/mg$, $152.69{\pm}1.25{\mu}g/m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51{\pm}1.34{\mu}g/mg$, $5.01{\pm}0.83{\mu}g/mg$이었고, FRAP값은 각각 $1.75{\pm}0.32{\mu}M/{\mu}g$, $1.67{\pm}0.28{\mu}M/{\mu}g$으로 나타났다. 벌나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DPPH 및 ABTS에 대해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고,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벌나무 열수추출물은 HepG2 세포에서 알코올에 대한 in vitro에서의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었고, 또한 알코올을 투여한 rat에서 벌나무 추출물을 투여하면 알코올 투여 30분이 경과한 후 알코올 투여군보다 혈중 알코올 함량이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 따라서 벌나무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작용을 하며, 알코올 분해 작용 및 알코올에 대한 간 보호 효과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대장균 β-galactosidase를 이용한 benzyl alcohol galactoside의 합성 연구 (Enzymatic synthesis of benzyl alcohol galactoside using Escherichia coli β-galactosidase)

  • 정경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72-580
    • /
    • 2019
  • 최근에 화장품, 식품, 그리고 의약용품의 첨가제로 사용되어지는 benzyl alcohol (BzOH)에 대한 독성 문제와 피부 알러지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첨가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alactose 한 분자를 BzOH 분자에 결합시킨 benzyl alcohol galactoside (BzO-gal)를 합성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수행하였다. 이미 선행연구에서 대장균의 ${\beta}$-galactosidase (${\beta}-gal$)를 이용하여 BzOH로부터 BzO-gal이 transgalactosylation 반응으로 합성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대장균의 ${\beta}-gal$을 이용하여 BzOH로부터 BzO-gal의 합성을 반응액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을 이용하여 BzO-gal-sodium adduct ion (m/z=293.1004)과 BzO-gal의 protonated ion (m/z=271.1180)의 검출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BzOH로부터 BzO-gal로의 합성반응을 실시 할 때, 최적의 ${\beta}-gal$ 양, BzOH 양, 반응 온도, 반응 pH, lactose 농도 등 반응의 최적 조건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0.75 U/ml ${\beta}-gal$, 185 mM BzOH, 온도 $40^{\circ}C$, pH 7.5, 350 g/l lactose의 조건이 가장 많은 양의 BzO-gal이 합성되는 최적의 조건을 확인하였다. 또한, BzO-gal의 최적 합성 조건에서 36시간 동안 ${\beta}-gal$에 의하여 185 mM BzOH로부터 약 131 mM BzO-gal이 합성되었고, 이 때, 전환 수율(conversion, %)은 약 72%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다 안전한 식품, 화장품, 그리고 의약품용 첨가제의 개발을 기대하고 있으며, BzO-gal의 특성 분석 등 추가적인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포포나무 잎 추출물에 존재하는 Acetogenin 확인을 위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의 활용 (Utilization of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scopy for Screening Analysis of Acetogenins in Extracts of Asimina triloba Leaves)

  • 임도연;이경인
    • 생약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78-284
    • /
    • 2018
  • Asimina triloba contains many kinds of annonaceous acetogenins known to have toxicity and/or activity. In this study, analysis of acetogenins was carried out on the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A. triloba leaves using a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scopy(LC-MS). In the extract, the ethanolic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acetogenin contents than hot water extract. In the analysis of solvent fraction from the ethanolic extract, n-hexane, ethylacetate, and aqueous fraction were contained 85.17~90.92%, 8.96~14.52% and 0.12~0.35% of total acetogenin in the extract. Based on these results, the analytical method is useful for comparing annonaceous acetogenins contents in plant samples. Moreover, when research or product development aiming at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acetogenin such as anticancer activity using A. triloba leaves is performed, a fractionation using a nonpolar organic solvents and alcohol extract may be useful methods. This method can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eliminating toxicity as well.

궐(厥)의 문헌적 고찰 (Literature Review on the Reverse)

  • 곽재영;이용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37-747
    • /
    • 2010
  • In Neijing(內經) the theory of Reverse(厥) was explained syncope causes by disharmony of emotions irregularity, deficient or excessive Qi(氣虛, 氣實) and blood disorder, it was the causes of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except coldness itself, include impairment of Qi circulation and the deficiency of the kidney weakened essence and blood, weakness and damage in the kidney essence, deficiency of the lower part and deficiency of the lower Qi as the major causes. In Shanghanlun(傷寒論) the theory of Reverse(厥) was divided into by disharmony of heat or cold reversal symptom. In Jingyue quanshu(景岳全書), causes of Reverse(厥) was Qi and blood disorder, damps(痰飮), alcohol and sex include syncope. In Dongeuibogam(東醫寶鑑), causes of Reverse(厥) was deficient or excessive Qi, impairment of blood circulation which means the deficiency of blood, essence(精) and blood stasis (瘀血), and disorder of gastrointestinal system which means malfunction of gastrointestine, damps(痰飮) and toxicity of alcohol. The rest of the causes include San syndrome(疝症), sun stroke(暑病) and heat reversal(熱厥).

Aloe속 식물이 알콜대사에 미치는 작용에 관한 연구(1) -Aloe vera가 알콜 및 알콜대사효소에 미치는 효과- (Studies on the Effect of Aloe spp. on Ethanol Methabolism (I). -Effect of Aloe vera on Serum Ethanol Level and Hepatic ADH Activity-)

  • 신국현;우원식;송영진;정하숙;이정미;심창섭
    • 생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8-153
    • /
    • 1995
  • As an initial step for evaluating hepatoprotective components against alcohol-induced toxicity, the effect of various fractions from Aloe vera on alcohol metabolism in rats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ater soluble fraction, after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to rats, was found to cause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erum ethanol concentration as well as enhancement of liver cytosolic ADH a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fractions soluble in organic solvent was found to cause an increase in the blood ethanol concentration and inhibit ADH activity. Further fractionation of the water soluble fraction by ultrafiltration system gave four subfractions corresponding to molecular weight and treatment of them in rats demonstrated that subfraction of M.W. > 30,000 exhibited the most potent enhancing activity of ethanol methabolism.

  • PDF

Effect of PVA Concentration on Strength and Cell Growth Behavior of PVA/gelatin Hydrogels for Wound Dressing

  • Kim, Soyeun;Lim, Hyunju;Kim, Sojeong;Lee, Deuk Yong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7
    • /
    • 2020
  • Polyvinyl alcohol (PVA)/gelatin hydrogels were prepared by repeating freezing/thawing three time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VA concentration on the strength and the cell growth behavior of the PVA/gelatin hydrogels. The swelling rate of the PVA/gelatin hydrogels decreased with raising the PVA content from 6 wt% to 12 wt% due to the formation of 3-D network inside the hydrogel. No appreciable degradation of the hydrogels was detected. As the PVA content increased from 6 wt% to 12 wt%, the strength of the PVA/gelatin hydrogels increased drastically from 6.4±0.9 kPa to 46.6±9.0 kPa. The PVA/gelatin hydrogels did not show any evidence of causing cell lysis or toxicity, implying that the hydrogels are clinically safe and effective. Although the strength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PVA content, the PVA/gelatin hydrogels containing 8 wt% exhibited the fastest cell growth, which is highly suitable for wound dressing requiring fast healing regeneration.

연속 생물반응기 안에서 유출 발효에 의한 알코올 생산 (Alcohol Production by Extractive Fermentation in a Continuous Bioreactor)

  • 김재형;전순배이기영김동운
    • KSBB Journal
    • /
    • 제4권1호
    • /
    • pp.21-30
    • /
    • 1989
  • Lauryl alcohol을 추출제로 사용한 에탄올 추출발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GC를 이용한 분배계수의 측정은 Fredenslund의 UNIFAC법을 이용한 계산치보다는 고천 낮은 값을 보이나 Minier의 측정치와는 잘 일치하고, 에탄올 농도 2-10%일때 분배계수는 0.6에 달했다. 2. 물과 에탄올은 비점이 비슷하여 95% 이상의 고순도 에탄올을 단증류로 얻기 어렵지만, LaOH는 비점($225^{\circ}C$)이 높아 에탄올과 비점차가 많이 나므로 대기압하에서 단 한번의 단증류로 87% 이상의 에탄올을 거의 모두 회수할 수 있었다. 3. TBP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LaOH의 농도가 높아 질수록 lag phase는 연장도지만, 기질 소모속 도는 추출제가 없는 경우와 비교했을때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적응과정을 거침으로써 LaOH에 의한 lag phase 지연호과가 제거되었고, 고정화 방법 또한 lag phase를 줄이는데 교과적인 방법이었다. 4. $400\;g/\;{\ell}$ 포도당 용액의 회분 추출발생에서 LaOH/medium의 비가 4였을때 포도당은 거의 전화가 되었으며, 전체에탄올생산성은 $2.75g/\;{\ell}.hr$로 비유출의 $0.99g/\;{\ell}{\cdot}hr$보다 2.78배 증가하였다. 5. 고정화 연속 혼합 발효조에서 기질유량 $25\;{m{\ell}}/hr$, LaOH유량 $100\;{m{\ell}}/hr$일때 생산성은 $5.23\;g/{\ell}.hr$로 비유출의 $3.06\;g/{\ell}.hr$보다 1.7배 증배하였다. 6. film fermentor에서 기질농도 $200\;g/{\ell}$, 기질유출 $25\;{m{\ell}}/hr$, LaOh 유량 $100\;{m{\ell}}/hr$일때 생산성이 $5.01\;g/{\ell}.hr$로 연속 혼합 발효조에서 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대체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비에탄올생산성은 고천 더 놓은 값을 나타내었고, 연속 혼합 발효조 안의 bead 내 효모보다 낮은 전단력을 받기 때문에 세포가 덜 유출되었다.

  • PDF

흰쥐 성장기간에 따른 Xylene의 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ging on the Xylene Toxicity in Rats)

  • 이혜자;이상희;전태원;이상일;윤종국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93-199
    • /
    • 2000
  • 실험동물에 있어서 연령 차이에 따라서 xylene 독성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는 일환으로 5주령 및 12주령 흰쥐에 50% m-xylene을 체중 100 g 당 0.25 ml씩 1회 투여한 다음 24시간 후에 처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Xylene투여로 인한 요 중 methylhippuric acid 함량은 5주령군이 12주령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간조직 중 cytochrome P-450 함량은 대조군에 있어서 5주령군이 12주령군 보다 약 50% 정도 낮게 나타났으나 xylene 투여로 인한 cytochrome P-450 함량 증가율은 12주령군 보다 5주령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간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치도 대조군에 있어서는 5주령군이 12주령 보다 약 35% 정도 낮게 나타났으나 xylene 투여로 인한 본 효소의 활성 증가율은 5주령군에서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간 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치는 대조군 및 xylene 투여군 모두 5주령과 12주령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xylene 투여시 체중 당 간무게, 간조직 malondialdehyde 함량 및 혈청 ALT 활성 변동을 통하여 간손상 정도를 상호 비교 관찰하였을 때, 12주령군이 5주령 실험동물 보다 간손상이 다소 심하게 나타남을 알 수가 있었다. 이상 실험결과는 연령에 따라 xylene에 의한 간손상의 차이는 이물질의 생체내 대사율이 달리 나타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 of an extract of Bauhinia variegata leaves on chronic arsenic intoxication in mice (Mus musculus): A preliminary study

  • Biswas, Surjyo Jyoti;Ghosh, Goutam
    • 셀메드
    • /
    • 제4권3호
    • /
    • pp.20.1-20.7
    • /
    • 2014
  • Ethanolic leaf extract of Bauhinia variegata has been tested for its possible antioxidant potentials against sodium arsenite induced toxicity in mice. Mice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of five and fifty mice. Group I consisting of 5 mice without any treatment with food and water ad libitum which served as normal control. Group II mice were fed with sodium arsenite in drinking water at 100 ppm concentration for two monthsthen they were segregated into five groups which were treated differently. Group II a mice received only arsenic as sodium arsenite with drinking water, Group II b were fed chronically 1 : 20 alcohol to distilled water (vehicle), Group II c, d, e mice were orally fed 50 mg/kg, 150 mg/kg and 250 mg/kg of B. variegata leaf extract of once daily for 15 and 30 days respectively along with arsenic. Several toxicity marker enzymes such as gamma glutamyl transferase, lactate dehydrogenase, aspartat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cid and alkaline phosphatase,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long with haematological variables such as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 creatinine, bilirubin, haemoglobin and sugar in different groups of treated and control mice were studied. Results obtained from the in vivo experiment revealed that administration of sodium arsenite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ome enzymes while decrease in some. A similar trend was also observed with haematological variables. In contrast B. variegata treatment at 150 mg/kg favourably modulated these alterations and maintained the antioxidant status than other two doses i.e. 50 mg/kg and 250 mg/kg thereby making it a good candidate to be used as supportive palliating measures in arsenic induced tox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