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lcohol administration

검색결과 502건 처리시간 0.033초

광곽향(Pogostemon cablin Benth.)으로부터 Patchouli alchol의 분리 및 함량분석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Patchouli alcohol from Pogostemon cablin Benth.)

  • 김주선;지형준;원도희;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8-21
    • /
    • 1998
  • A method for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patchouli alcohol from Pogostemonis Herba (Pogostemon cablin) has been developed. Isolation of patchouli alcohol was achieved by column chromatography employing the normal-phase gradient separation system n-hexane-ether on silica gel column. The GC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patchouli alcohol provided a method for standardization of the raw drug. It suggested that the average content of patchouli alcohol in Pogostemonis Herba is about 0.26%.

  • PDF

흰쥐에서 황칠나무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혼합물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숙취 해소 효과 (Eliminatory Effect of Mixtur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on Alcohol-induc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in Rat)

  • 나주련;김은;박소이;이기훈;정의선;김진석;김용재;김선오
    •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7-27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숙취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식품 소재와 황칠나무 추출물을 복합하여 in vitro 및 in vivo에서 알코올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HepG2세포에서 300 mM 알코올과 SBJ 혼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LDH 수치가 감소하였으나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외한 복합물인 SBJ-복합물에서는 그 효과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In vivo에서 SBJ 혼합물의 보호효과를 확인하고자 흰쥐에 알코올과 SBJ 혼합물을 투여한 결과, 알코올 투여 후 1시간까지 급격하게 혈중 알코올 수치가 EtOH군에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SBJ 혼합물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로 감소되었음이 관찰되었으며 또한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확인하였다. ADH 및 ALDH 활성의 증가는 SBJ 혼합물의 알코올 분해 및 대사산물의 제거 활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알코올에 의하여 증가한 LDH의 농도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GST, SOD, GPx 및 reduced glutathione와 같은 항산화 인자 및 효소의 활성은 대조군보다 EtOH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SBJ 혼합물에 의해 개선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SBJ 혼합물은 ADH, ALDH 활성 증가 및 항산화 방어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간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간보호에 미치는 주요한 추출물은 황칠나무 추출물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신규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unty Level Clustering on Alcohol and HIV Mortality

  • Park, Byeonghwa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0권1호
    • /
    • pp.53-62
    • /
    • 2013
  • This study focuses on spatial/temporal relationship deaths caused by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and Alcohol Use Disorder (AUD). Several studies have found links between these two diseases. By looking for clusters in mortality of Alcohol and HIV related death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exact spatial/temporal time of high and low occurrence risks based on the observed over the expected number of deaths. This study does not provide political or social interpretations of the data. It merely wants to show where clusters are found.

인삼의 해독작용에 관한 연구 급성 알코을 중독에 대한 인삼의 치료 효과 (Studies on the Antidotal Effect of Panax ginseng The Therapeutic Effect of Ginseng on the Acute Alcoholism)

  • 신만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59-78
    • /
    • 1976
  • 알코을 마취작용 및 독작용에 미치는 인삼(백삼 및 홍삼)의 영향을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백색 가토, 마우스, 및 잡견을 사용하였고, 백색 가토 및 잡견에 대한 알코올의 마취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마취의 유도시간, 마취시간, 회복시간과 마취의 유도로부터 완전회복까지의 전시간을 각각 계정하였으며, 마우스에 대한 알코올의 독작용($LD_{50}$)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혈중 알코올 농도, 혈당량, 혈청 transaminase(GOT 및 GDT)활성도 및 혈청 alkaline phosphatase활성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리고 건강한 대학생에 대한 임상실험으로는 code substitution, response time 및 muscle coordination을 각각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로는 1. 인삼 전처치로 알코올 마취의 유도시간은 지연되었고, 회복시간과 마취가 시작하 여 회복될때 까지의 전시간은 현저히 단축되었다. 2. 혈중 알코을 농도는 인삼 전처치로 백색 가로에 있어서는 감소되었으나. 잡견에서는 별 영향이 없었다. 3. 인삼 전처치로 헐당량, 혈청transaminase(GOT 및 GDT)활성도 및 쳔청 alkaline phosphatase활성도는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각각 경상 범위 내에서의 변동이 였기 때문에 의의 있는 변화라고 할 수 없다. 4. 가토간 내 알코올 dehydrogenase활성도는 인삼 투여로 상승하였는데 특히 홍삼 투여로 더욱 현저하였다. 5. 마우스에 대한 알코올의$LD_{50}$은 인삼 전처치로 증가되었는데 홍삼 전처치로 더욱 현저히 증가되었다. 6. 학생에 대한 임상 실험에서는 알코올 투여 후 3시간에 측정하였는데 혈중 알코올 농도는 인삼 전처치로 변동이 없었으나 혈당량은 증가되었다. 7. 인삼 전처치로 알코을에 의한 response time은 현저히 단축되었으나 code substitution이나 muscle coordination에는 영향이 없었다.

  • PDF

Effects of Plant Vinegar Extract on the Reduction of Blood Concentration of Alcohol and Acetaldehyde in Alcohol Administrated Rats

  • Kwon, So-Yeon;Choung, Se-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3권2호
    • /
    • pp.107-112
    • /
    • 2005
  • Excessive drinking causes 'alcohol hangover' within 8-16 hours. The cause of 'hangover' has not been elucidated exactly until now, but it is reported that it is caused by the creation of blood ethanol and acetaldehyde as ethanol metabolites. In this study vinegar extract of wood (VE) or OC-1, to which the powder extract of green tea leaves extract is added, was administered to the rats 30 minutes before the oral administration of ethanol (3 g/kg) and the blood ethan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beverage material for detoxification. As a result, the blood ethanol concentration in the group of the VE-1(vinegar crude extract) and VE-2 (double diluted solution) is statistically lower (P,0.05) than the exclusive alcohol administered control group. The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of all groups of VE and OC-2, which is the double dilution of OC-1, is statistically low after 7 hours following ethanol administration. Especially, the AUC value of OC-2 group is statistically low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it indicates the conclusion that VE and OC-1, reducing the blood ethan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which are two leading factors of 'hangover' after drinking, and worthwhile to be developed as beverage materials to eliminate 'hangover'.

Enhancement of Alcohol Metabolism by Sprouted Peanut Extract in SD Rats

  • Seo, Ji Yeon;Kim, Seong Soon;Kim, Jong-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1-4
    • /
    • 2014
  • Excessive ethanol intake is known to induce a number of physiological symptoms, including headache, dizziness and vertigo.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ttenuation effect of sprouted peanut extract (SPE)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male Sprague-Dawley rat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the control group, which was administered ethanol only; the ethanol plus SPE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administered ethanol and 100, 200, or 400 mg SPE/kg b.w.;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which was administered ethanol plus DAWN808$^{(R)}$, a commercial product. SPE-suspended water was delivered to rats via gavage 15 h and 30 min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ethanol.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tail 0, 1, 3, and 5 h after ethanol administ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erum ethan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PE treated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hepatic alcohol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ies were enhanced by SPE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 could be useful in attenuating hangover after alcohol consumption.

알코올성 간독성에 미치는 누에배설물의 영향 (Effect of Silkworm (Bombyx mori) Excrement Powder on the Alcoholic Hepatotoxicit in Rats)

  • 김용순;김기영;강필돈;차재영;허진선;박보경;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342-1347
    • /
    • 2008
  • 알코올 급여 흰쥐에서 알코올성 간독성에 대한 누에배설물(silkworm excrement powder)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반합성 식이에 누에배설물을 3% (w/w) 수준으로 첨가하여 30일간 급여한 후 혈중 알코올 및 지질 농도, 간 기능 지표 효소 활성 및 간 조직 검사를 실시하였다. 임상생화학적으로 중요한 간 기능 지표 효소인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amma$-GTP) 및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이 알코올 대조군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혈중 알코올 농도도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하였다. 그러나 누에배설물 투여에 의해 혈중 ALT 및 LDH 활성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혈중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에 비해 누에배설물 투여에 의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간 조직 검사에서 알코올 대조군에서 많은 지방적이 나타나 지방간이 확인되었으나 누에배설물 투여에 의해서는 지방적의 크기와 수가 많이 줄어드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누에배설물에 의한 알코올-유발 간독성의 개선효과는 간 조직의 임상생화학적 지표 효소의 활성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the mixture of glutinous rice and cooking methods

  • Woo, Koan Sik;Lee, Kyung Ha;Kim, Mi-Jung;Ko, Jee Yeon;Sim, Eun-Yeong;Lee, Choon Ki;Jeon, Yong H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48-248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ook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dded at various rate of glutinous rice addition and treated with two cooking methods. Cooked rice added with glutinous rice was cooked by general and high pressure cooking method with and without fermented alcohol. Pasting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were decreased as increasing the amounts of glutinous rice. Water binding capacity and swelling power were significant decreased with the amounts of glutinous rice increasing, however water solubility indices were significant increased. Palatabi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dded with glutinous rice showed similar results to cooked rice without glutinous ric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cooked rice added with glutinous rice and fermented alcohol were significantly distinc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the amounts of glutinous rice. Total flavonoid contents by general cooking method of cooked rice added with 20% glutinous rice and fermented alcohol were $23.20{\pm}0.61{\mu}g\;CE/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dded with and without glutinous rice were 2.97~5.19 and 3.19~5.45 mg TE/100 g, respectivel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by high pressure cooking method of cooked rice added with 20% glutinous rice and fermented alcohol were $19.48{\pm}0.63mg\;TE/100g$. In this study, cook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dded with glutinous rice we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on manufacturing processed products.

  • PDF

머위 추출물이 알코올 투여한 흰쥐의 간조직 내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s in Alcohol Treated Rats)

  • 조배식;이재준;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8-300
    • /
    • 2007
  • 머위 에탄올 추출물이 알코올 투여로 유발된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게 정상식이군(NOR), 알코올 투여군(35% alcohol 10 mL/kg bw, CON), 머위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PJ1), 알코올과 머위 에탄올 추출물 저용량(200 mg/kg bw) 병합투여군(PJ2) 및 알코올과 머위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400 mg/kg bw) 병합투여군(PJ2)의 5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증가율 및 식이효율, 혈청 중 ALT와 AST 활성, 간손상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효소인 SOD, catalase, XO 및 GSH-Px 활성을 측정하였고, 지질과산화물과 GSH 함량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지표를 측정한 결과 정상식이만을 급여한 NOR군과 정상식이에 머위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PJ1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알코올을 투여한 군(CON, PJ2 및 PJ3)들 간에는 유의차를 보였으며 특히, 고용량 병합투여 시 항산화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머위 에탄올 추출물 병합투여는 만성 알코올 투여로 감소되어진 체중을 정상 체중으로 회복시켰으며,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유리기 해독계 효소인 catalase 및 GSH-Px 활성 억제와 비효소적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 GSH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지질과산화물에 대한 방어력이 증강됨을 보였고, 또한 혈청 중 AST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알코올 섭취로 유도된 지방간 및 손상된 간조직을 보호하는 항산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헛개나무 열매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새로운 처방이 알코올 분해 및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w Remedies Mainly Comprised of Hovenia dulcis Thunb on Alcohol Degradation and Liver Protection in Sprague Dawley Male Rats)

  • 고병섭;장진선;홍상미;김동화;성소라;박혜려;이지은;전원경;박선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28-83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열매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두 종류의 혼합물들(NHDT-1과 NHDT-2)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시켜 숙취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지 여부와 만성적으로 알코올을 복용시켰을 때 간손상 및 지방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NHDT-1은 헛개나무열매에 진피, 창출 및 감초를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NHDT-2는 NHDT-1에 홍삼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NHDT-1과 NHDT-2의 조성 차이는 홍삼임에도 불구하고 백서에게 투여하였을 때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와 간손상을 억제하는 작용에는 차이가 있었다. 홍삼이 함유되어있지 않은 NHDT-1은 급성 알코올 실험에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를 촉진시켜 혈청농도를 저하시켰으나, 홍삼이 함유된 NHDT-2는 혈청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저하시키지 못했다. 급성실험과는 반대로 장기간 알코올을 투여한 실험에서는 NHDT-1은 NHDT-2에 비해 알코올로 인한 간의 손상과 지방간 발생을 억제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간기능이 좋은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복용하는 경우에는 NHDT-1이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하여 숙취해소에 효과적이지만, 간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기간동안 NHDT-2를 복용하여 간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음주 후 숙취제거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