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aska pollack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36초

Sulfite 염에 의한 저염 명란젓의 보존 효과 (The Effects of Sulfite Salts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Soused Roe of Alaska Pollack))

  • 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40-946
    • /
    • 1996
  • 저염 명란젓에 sulfite 염을 첨가하여 숙성 중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측정하여 저염 젓갈의 shelf-life에 미치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isulfite 및 metasulfite 명란젓은 숙성초기에 pH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가 그 후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젖산 생성량도 증가하였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아미노태 질소량은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metasulfite 명란젓이 가장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Bisulfite와 metasulfite의 첨가는 숙성 후기의 VBN 및 TMA 생성 억제에 효과적이었으며, 숙성 초기의 TBA 생성을 억제하였다. Bisulfite 및 metasulfite는 fungi를 포함한 미생물의 성장을 현저하게 저해하였다. Sulfite 염 첨가시의 추정되는 shelf-life는 대조군, sulfate, bisulfite및 metasulfite인 경우 각각 16, 14, 20 및 24일이었다.

  • PDF

가공조건이 명태어분단백질 필름의 수증기 투과도와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water vapor permeability and solubility of Alaska Pollack meal protein isolate film)

  • 유병진;심재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13-417
    • /
    • 2000
  • 생분해성이면서 가식성인 어분 단백질필름 제조를 목적으로 필름의 가공조건이 단백질필름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명태어분으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고, 가공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필름의 수증기 투과도와 용해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PMPI 필름의 수증기 투과도는 가소제 glycerol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였으나, pH 7 이상에서는 pH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필름단백질의 용해도는 pH 및 가소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필름의 총용해량은 가소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가소제의 종류를 달리하여 필름을 제조할 때 수증기 투과도는 glycerol, polyethylene glycol 및 sorbitol 첨가 필름의 차례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용해량은 반대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 PDF

가공조건이 명태어분단백질 필름의 인장강도와 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ensile properties and color of Alaska Pollack meal protein isolate film)

  • 유병진;심재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18-422
    • /
    • 2000
  • 생분해성이며 가식성 어분 단백질 필름을 가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써 명태어분 단백질 필름의 가공조건에 따른 인장강도, 신장률 및 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태어분단백질 용액의 캐스팅량이 증가할수록 명태어분단백질 필름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은 증가하였다 반면 glycerol의 첨가량이 증가하고, 명태어분단백질 용액의 pH가 낮을수록 필름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은 떨어졌다. 가소제의 종류별에 따른 인장강도는 sorbitol, polyethylene glycol 및 glycerol 첨가 필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신장률은 polyethylene glycol 첨가 필름이 가장 높았고 sorbitol 및 glycerol 첨가 필름은 서로 비슷하였다. 명태어분단 백질 용액의 농도가 진할수록 필름의 인장강도도 증가하였으나, 신장률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대습도를 달리하여 필름을 저장한 결과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인장강도는 감소하였고 신장률은 증가하였다. 가소제의 종류가 필름의 색에 미치는 효과에서 L(밝기)과 b (황객도)는 sorbitol 첨가 필름이 가장 높았고, a (적색도)와 전체적인 색의 차이 (${\delta}E$)는 polyethylene glycol 첨가 필름이 가장 높았다.

  • PDF

Marine Ecosystem on Dokdo and Ullungdo Islands

  • Kim, Ki-Ta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4호
    • /
    • pp.245-251
    • /
    • 2001
  • Dokdo is a volcanic island, and its formative geological age took place at the end of the Pliocene Epoch. Dokdo is located at 131。 52′33" East longitude, and 37$^{\circ}$ 14′18" North latitude, and is consituted of 87 islands. The total area of Dokdo is 0.186 $\textrm{km}^2$ and the length of its coastline is 4 km. Ookdo is a treasury of fish resources where many varieties of fish including squid and Alaska pollack live in abundance of greatest importance. Dokdo is a forward fishery base. Ullung island is located at 37$^{\circ}$ 27′~37$^{\circ}$ 33′North latitude and 130$^{\circ}$ 47′~130$^{\circ}$ 56′East longitude. The area of Ullung is 72.92 $\textrm{km}^2$ and the length of its seashore is 44.21 $\textrm{km}^2$. The total marine product of Ullungdo(1995) is 9,066 tons (M/T). The largest is squid, 8,900 tons. For the sea area of the depths near the Ullungdo, coast, that of 50m or less is 2,477 ha, and that of 50- 100m is 1,471ha. This fact tells us that there is no extensive area of a very shallow sea, and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eep sea. Ullungdo is a treasury of marine bioresources with rich and varied fishes including squid and Alaska Pollack and many others. Presently there is a sovereignty dispute over Dokdo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A.D.512, Dokdo has been a part of territory of Korea. Dokdo is a part of Kyungsang-Bukdo, Ullung-gun, Ullung-up, Do-dong in the Korean administrative district division system. Japan strenuously claims sovereignty for significant economic reasons, including fishery rights, and has adhered to a contradictory position that "Dokdo is Japanese land" since Japan incorporated Dokdo into Japanese territory in 1905.ritory in 1905.

  • PDF

생리활성 물질인 공액리놀랜산(CLA), 누에고치분말, 동충하초분말의 혼합 첨가가 폐계육 회수단백질이 함유된 게맛살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Mixture with Silkworm Cocoon Powder, Cordyceps Powder,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mitation Crab Containing Recovered Protein from Spent Laying Hens)

  • 임동균;진상근;허선진;신택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9-239
    • /
    • 2018
  • 안전하고 건강지향적인 식품에 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학계와 산업계에서는 생리활성 기능을 가진 소재를 이용한 식품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합성물질보다는 생리활성작용을 하는 천연물질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합성화학물질과 달리 천연물질은 그 이용에 대한 제한이 없고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높기 때문이다. 폐계육의 가슴살과 명태살을 이용한 게맛살을 제조할 때 동충하초분말, 누에고치분말 및 CLA의 혼합 첨가가 게맛살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폐계육 회수단백질과 명태살에 누에고치분말(10 g)을 첨가한 T1, 누에고치분말(5 g)과 동충하초분말(5 g)을 첨가한 T2, 동충하초분말(5 g)과 공액리놀랜산(5 g)(CLA)를 첨가한 T3를 제조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H와 전단가는 저장초기에 비교해 저장 2주 이후에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단가는 6주에서 동충하초분말과 CLA를 혼합 첨가한 구(T3)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육색의 경우 적색도($a^{\ast}$)와 백색도(W)는 저장기간 동안 모든 구간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에 황색도($b^{\ast}$)는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T2의 적색도($a^{\ast}$), 황색도($b^{\ast}$)가 다른 처리구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내었다. 생리활성물질의 첨가는 게맛살의 겔 특성과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방산패도(TBARS)와 총균수(TPC)는 T1이 다른 처리구보다 상당히 높게 나온 반면에 단백질변패도(VBN)의 경우 다른 처리구보다 T2가 높게 나왔다. T1과 T3는 저장기간 동안 총 아미노산함량이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동충하초분말 0.5%와 CLA 0.5% 혼합 첨가한 T3 처리구가 종합적인 품질면에서 폐계육 함유 게맛살의 기능성을 가장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통발효식품에서 Cholesterol Oxid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분리 및 효소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solation of the Cholesterol Degrading Enzyme Producing Microorganism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nd the Culture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the Enzyme)

  • 박상현;권익부;함영태;신동훈;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343-351
    • /
    • 1998
  • About 75 strains which utilize cholesterol as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were isolated from 10 samples of Kimchi and 18 samples of fermented fish food (2 Ojingo-jeots, salt-fermented squid ; 5 Changran-jeots, salt-fermented pollack tripe ; 5 Myungran-jeots, salt-fermented Alaska pollack roe ; 3 Gajami-sikhae-jeots, fermented flat fish ; 2 Gul-jeots, salt-fermented oyster ; a Juneo-jeots, salt-fermented shad). Among them tested, the 3T6-5Mj strain isolated from Changran-jeot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n cholesterol degradation. The optimal composition of medium for the producing cholesterol degradation enzyme by 3T6-5Mj strain was 1.0 g/L NH4NO3, 1.0 g/L K2HPO4, 0.1 g/L MgSO4.7H2O, 1.0 g/L FeSO4.7H2O, 1 g/L NaCl, 5 g/L Trypton, 1 g/L Cholesterol, and 5 g/L Maltose at 30$^{\circ}C$, pH 7.5, and the enzyme production reached a maximum level at 140 hours of cultivation.

  • PDF

시간-온도이력 지시계(TTI)에 의한 냉장 생선의 품질 모니터링: 모의상점에 적용 (Monitoring of Chilled Fish Quality by Using Time-Temperature Integrator (TTI): Application at a Mock Store)

  • 박수연;강진원;최정화;김민중;이만희;정승원;이승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1-96
    • /
    • 2014
  • 모델 현장으로 야외 임시 생선 판매장을 설치하여 TTI가 부착된 고등어 및 명태의 판매 중 TTI의 색 변화와 생선품질을 모니터링하였다. 생선은 스티로폼 박스 위에 얼음을 깔고 그 위에 진열되었고, 주기적으로 얼음을 채워서 신선도를 유지시켰다. 일정 시간 간격마다 고등어, 명태, TTI를 채취하여 TTI의 색 변화와 냉장생선의 품질 정도를 측정하였다. 품질 인자로 VBN과 Pseudomonas spp.를 고등어와 명태 각각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부패 시점은 VBN과 Pseudomonas spp.이 특정 수준에 도달했을 때로 간주하였다. 그 결과 온도가 높은 날에는 생선이 부패되기 시작하였고 그 시점에서 TTI 색이 종료점(제품 특성에 따름)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생선의 부패 시점을 TTI의 색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solated Peptides from Hwangtae (yellowish dried pollack) Protein Hydrolysate

  • Cho, San-Soon;Lee, Hyo-Ku;Han, Chi-Won;Seong, Eun-Soo;Yu, Chang-Yeon;Kim, Myong-Jo;Kim, Na-Young;Kang, Wie-Soo;Ko, Sang-Hoon;Son, Eun-Hwa;Choung, Myoung-Gun;Lim, Jung-D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3호
    • /
    • pp.204-211
    • /
    • 2008
  • Fish protein hydrolysates (FPHs) with different degrees of hydrolysis by treatment with alcalase, pronase, flavourzyme and trypsin and isolated peptide were prepared from Hwangtae (yellow dried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Hwangtae protein hydrolysate was fractionated according to the molecular weight into six major types of APO1 (1.3 kDa), APO2 (1 kDa), APO3 (<1 kDa), APACE (<1 kDa), APG1 (70 kDa) and APG2 (70 kDa) isolated from the hydrolysate using consecutive chromatographic methods. Soluble peptide were produced from Hwangtae and evaluated for their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Some functional properties of FPHs were assess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egg albumin or the soybean protein. APO2 had the highest nitrogen solubility value (94.2%), emulsion capacity and emulsion stability of the Alaska Pollack peptide ranged from 12.4 to 39.5 (mL of oil per 200 mg of protein) and 44.0% to 77.5%, respectively. Highest and lowest fat adsorption values were observed for APG1 (9.9 mL of oil per gram of protein) and APO3 (3.8 mL of oil per gram of protein), respectively.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of Dokdo Island

  • Kim, Ki-Ta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1호
    • /
    • pp.59-62
    • /
    • 2002
  • Dokdo,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East Sea, is a small island tilth a total area of 0.186 $\textrm{km}^2$. However, this small island, with its mild oceanic climate, has rich bio-resources and picturesque natural surroundings. Dokdo in the crystaline waters and In the central area of the deep sea is a treasury of algaes (sea oak, sea mustard, gulf weed, laver, agar-agar, etc.), molluscs (squid, ear shell, conch, etc.) and fishes (Alaska pollack, anchovy, saucy, herring, etc.).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lot of grasses and various kinds of grasses on the land of Dokdo. And a lot of back-tailed gulls (about 20,000 Individuals) live on this island. There have been disputes on the sovereignty over Dokdo between Korea and Japan. Japan has claimed sovereignty over Dokdo since Japan incorporated the island into Japanese territory in 1905 when it occupied the Korean Peninsula by force. Korea governed Dokdo not only before 1905 but also after its liberation in 1945. The Korean government, while heavily financing building facilities like pleas and quays, is endeavoring to preserve the natural surroundings of this island.

Taste Compounds of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Conditions

  • Jeong, Eun-Jeong;Cho, Hyun-Ju;Cho, Min-Sook;Jeon, Hye-Jin;Cha, Yong-Ju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89-90
    • /
    • 2003
  • Fermented fish (jeotkal) has been used as a method of preserving perishable fish and marine products. Recently, however, high salted jeotkal (20% and more) has avoided from consumer by reasons of organoleptic quality (high salinity), health value (degenerative chronic disease), and hygienic safety. Among these jeotkals, meanwhile, sikhae (lactic acid fermented fishes) has been traditionally favored in the 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which contain below 10% of salt content with acidic range (pH4∼5).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