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space

검색결과 2,776건 처리시간 0.028초

녹지분포에 따른 기온변화 (Air Temperature Variation by Effect of Green Space Distribution)

  • 윤용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7-52
    • /
    • 2002
  •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relationship of green space distribution and lower air temperature effect, observed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nd out green space in the cloudy. On basis of the result, we are analyzed relationship of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nd out green space, of green space distribution and air temperature of, lower air temperature effect and the urban in between the green space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higher temperature zone formed around urban, and the lower temperature zone was similar to shape of green space. In case of the green space, higher temperature zone is formed around paved surface and barren ground, lower temperature zone is done forest and water area. To compare air temperature of windward and leeward around green space, the windward formed the lower temperature zone and although the wind direction is not the leeward to the green space, air temperature formed lower temperature zone to the urban in between the green space.

태양열 공기가열 집열기에 의한 난방 실내공간의 열유동 특성 해석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Thermal Flow for Heating Indoor Space by Air-heating Collector using Solar Heat)

  • 양영준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2_2호
    • /
    • pp.271-278
    • /
    • 2022
  • The solar energy has been widely used to reduce the fossil fuel and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renewable energy including solar heat tends to spread due to carbon neutrality for main country of the world. Targets of solar collector are usually acquisitions of hot water or hot air. Especially, air-heating collector using solar heat is known as the technology for obtaining hot ai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of characteristics of thermal flow when the hot air by air-heating collector using solar heat flows inside of indoor space. The thermal flow of heating indoor space was simulated using ANSYS-CFX program and thus the behaviors of hot air in indoor space were evaluated with standard k-𝜀 turbulence model. As the results, as the inlet velocity was increased, the behaviors of hot air became simple, and temperature range of 25~75℃ had almost no effect on behavior of flow. As the inlet temperature was increased, the temperature curve of indoor space from bottom to top was changed from linear to quadratic.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inlet velocity as well as inlet temperature also should be considered to heat indoor space equally by air-heating collector using solar heat.

국제항공우주재판소의 설립 가능성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Court of Air and Space Law)

  • 김두환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9-161
    • /
    • 2009
  • 필자가 세계에서 최초로 국제항공우주재판소(ICASL)의 설립을 제안한 것은 어디까지나 필자 개인의 학문적이고 실용적인 의견에 불과하다. 항공기, 인공위성, 우주선의 추락 또는 충돌 등으로 인하여 인적 또는 물적 손해가 발생되는 항공우주사고의 특성은 (1)전손성(全損性: all or nothing), (2) 순간성(Augenblick), (3) 지상종속성(항공우주관제계 등), (4)손해의 거액성, (5) 국제성 등이 있음으로 육상의 자동차, 기차사고 등과 해상의 선박사고 등과는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국제항공우주법분야의 사건들을 신속하고 공정하게 처리하기 위하여서는 지역(대륙)별로 국제항공우주법분야에 조예가 깊은 전문가, 교수 및 법조인들 가운데 UN산하 국제민간항공기관(ICAO)의 이사회 및 총회와 UN우주평화적이용위원회(COPUOS)의 법률분과위원회 및 총회에서 다수결로 선출된 14명의 판사들로 구성된 국제항공우주재판소의 설립이 필요하다. 현재 국제재판소로는 네덜란드 헤이그에 있는 (1) 국제사법재판소(ICJ), 독일 함부르크에 있는 (2) 국제해양재판소(ITLS), 헤이그에 있는 (3) 국제형사재판소(ICC), 룩셈브르크에 있는 (4) 유럽공동체재판소(CEC)와 프랑스의 스트라스부르크에 있는 (5) 유럽인권재판소(EHRC) 등이 있으며 이들 재판소의 기능을 개별적으로 살피어 볼 때에 주로 국제법, 국제해양법, 국제형사법, EU법, 유럽인권법 등에 관련된 사건들을 재판한 후 판결을 내리고 있다. 상기 5개 재판소의 설립근거는 각 재판소의 설립에 관계된 국제조약 내지 제정법(statute :정관)에 근거하고 있다. 상기 국제항공우주재판소의 설립 근거가 되는 조약초안에는 (1) 본 재판소의 설립목적, (2) 판사의 선출방법, (3)판사의 임기, (4) 판사의 의무와 권한, (5) 심의회, (6) 재판관할, (7) 청문회, (9) 판결의 방법(주문과 이유 등), (10) 제소기한 등을 삽입하여야만 된다. 국제항공우주재판소는 ICAO 및 UNCOPUOS의 주된 사법기관으로서 법인격을 향유하며 9년 임기의 판사들은 재선이 가능하다. 국제항공우주재판소의 소재지는 대한민국의 서울 또는 기타 도시로 한다. 국제항공우주재판소를 설립하기 위하여서는 설립근거가 되는 국제조약과 세부적인 절차법 (정관: 定款등)의 제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국제항공우주재판소의 설립은 항공우주법 사건에 대한 재판의 기준을 설정하고 재판의 공정성과 신속성을 도모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되리라고 본다. 국제항공우주재판소의 창설은 판례법의 축적으로 인하여 국제항공우주법을 통일을 시키는데 촉매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세계통일법 (unification of the law in the world)"을 형성시키는데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