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o-food system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3초

곶감의 미생물 및 aflatoxin에 대한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and Aflatoxin of Traditional Dried Persimmon)

  • 서민경;최송이;이경아;김정숙;정덕화;이수형;박기환;김원일;류재기;김황용;김세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0-267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산 곶감의 미생물 및 aflatoxin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여 곶감의 안전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반건시 34농가, 건시 61농가, 감말랭이 10 농가에서 수집하여 수분활성도와 당도, 위생지표세균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E. coli)과 병원성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aflatoxin을 조사하였다. 감말랭이, 건시, 반건시의 수분활성도는 각각 0.81, 0.86, 0.91 였으며 당도는 감말랭이 54.9%, 건시 49.5%, 반건시 40.5%로 당도와 수분활성도는 반비례 하였다. 곶감의 일반세균수는 감말랭이 $3.93{\pm}0.96{\log}\;CFU/g$, 건시 $2.12{\pm}0.93{\log}\;CFU/g$, 반건시 $1.50{\pm}1.08{\log}\;CFU/g$로 감말랭이의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S. aureus는 감말랭이 40.0%, 건시 29.5%, 반건시 23.5%의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E. coli는 건시 6.6%, 반건시 2.9%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B. cereus는 건시 39.3%, 반건시 20.6%의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검출 수준은 0.7~2.3 log CFU/g이었다. Aflatoxin의 경우는 ELISA법으로 분석했을 때 감말랭이, 건시, 반건시에서 각각 30%, 4.9%, 2.9%가 검출되었고 검출농도는 1.0~1.1 ppb 이었다. ELISA법에서 양성시료를 대상으로 UPLC로 재분석한 결과 aflatoxin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안전한 곶감 생산을 위한 위생관리기술의 개발과 곶감생산 농가의 지속적인 위생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OH 농도 및 탄화온도가 왕겨 활성 바이오차의 NH4-N 흡착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H Concentrations and Pyrolysis Temperatures for Enhancing NH4-N Adsorption Capacity of Rice Hull Activated Biochar)

  • 김희선;윤석인;안난희;신중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1-177
    • /
    • 2020
  • BACKGROUND: Recently, biomass conversion from agricultural wastes to carbon-rich materials such as biochar has been recognized as a promising option to maintain or increase soil productivity, reduce nutrient losses, and mitigat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agro-ecosystem.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lect an optimum conditions for enhancing the NH4-N adsorption capacity of rice hull activated biochar. METHODS AND RESULTS: For deciding the proper molarity of KOH for enhancing its porosity, biochars treated with different molarity of KOH (0, 1, 2, 4, 6, 8) were carbonized at 600℃ in the reactor.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was 1.464 mg g-1, and an optimum molarity was selected to be 6 M KOH. For the effect of adsorption capacity to different carbonized temperatures, 6 M KOH-treated biochar was carbonized at 600℃ and 800℃ under the pyrolysis system. The result has shown that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was 1.76 mg g-1 in the rice hull activated biochar treated with 6 M KOH at 600℃ of pyrolysis temperature, while its non-treated biochar was 1.17 mg g-1. The adsorption rate in the rice hull activated biochar treated with 6 M KOH at 600℃ was increased at 62.18%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Adsorption of NH4-N in the rice hull activated biochar was well suited for the Langmuir model because it was observed that dimensionless constant (RL) was 0.97 and 0.66 at 600℃ and 800℃ of pyrolysis temperatures, respectively. The maximum adsorption amount (qm) and the bond strength constants (b) were 0.092 mg g-1 and 0.001 mg L-1, respectively, for the rice hull activated biochar treated with 6 M KOH at 600℃ of pyrolysis. CONCLUSION: Optimum condition of rice hull activated biochar was 6M KOH at 600℃ of pyrolysis temperature.

Quali-Quantitative Analysis of Flavonoids for Mulberry Leaf and Fruit of 'Suhyang'

  • Ju, Wan-Taek;Kwon, O-Chul;Lee, Min-Ki;Kim, Hyun-Bok;Sung, Gyoo-Byung;Kim, Yong-Soo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49-255
    • /
    • 2017
  • BACKGROUND: Globally, mulberry (Morus sp.) is exploited for feeding leaf to silkworms in order to obtain silk fiber or for animal feedstock production. Also, mulberry fruit is known to a by-product that was produced from mulberry tree after harvesting leaves for silkworm rearing, as a yield and consumption of mulberry fruit was increased, it has been fixing to a newincome crop. Mulberry leaves and fruits are used for the health benefits of human beings. Mulberry contains various bioactive components, such as alkaloids and flavonoids. Mulberry flavonoid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diet because of their effects on human nutrition. The flavonoids in mulberry leaf and fruit of 'Suhyang'(Morus alba L.) were determined. METHODS AND RESULTS: Flavonoids for mulberry leaf and fruit of 'Suhyang' were analysed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diode array detection and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UPLC-DAD-QTOF/MS)technique. An UPLC-DAD-QTOF/MS system was used, and identification of mulberry leaves constituent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complementary information obtained from LC spectra, MS ions, and MS/MS fragments. The mulberry leaf (16 flavonoids) and fruit (9 flavonoids) were isolated and analyzed from Suhyang using UPLC-DAD-QTOF/MS chromatogram.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Quercetin 3-O-(6"-O-malonyl) glucoside and quercetin 3-O-rutinoside (rutin) was detected on the highest content in leaf and fruit, respectively and further research will be devoted to evaluate their biological activity. CONCLUSION: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concentr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in mulberry leaves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processed, functional products and offer possible industrial use of 'Suhyang', holding promises to enhance the overall profitability of sericulture.

2019년 유통 임산물 중 산나물류와 약초류, 과실류 13종의 농약 및 중금속 잔류 실태 (Pesticide and Heavy Metal Residue Monitoring in 13 Types of Agroforestry Products in 2019)

  • 김준헌;오지연;신지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1-353
    • /
    • 2020
  •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린제도의 시행에 따라, 농약의 안전사용이 더욱 중시되었다. 산림식용자원(임산물)은 소규모 재배 등의 이유로 등록된 농약의 수가 적어, 등록되지 않은 농약의 사용이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임산물에 대한 농약사용실태를 파악하고자, 산림식용자원 13종에 대한 농약 및 중금속 잔류실태조사를 하였다. 산나물류 조사 시료인 고사리, 참나물, 도라지, 더덕에 대하여 조사 시료의 0%, 40.0%, 20.0, 26.7%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약초류인 참쑥, 당귀, 마는 13.3%, 56.3%, 0%의 농약 사용이 확인되었다. 과실류 조사 시료인 석류, 복분자딸기, 다래, 머루, 돌배, 결명자에서는 조사 시료의 57.1%, 33.3%, 26.7%, 66.7%, 46.7%, 0%에서 농약이 검출되었다. 중금속(납, 카드뮴)은 도라지와 참쑥에서만 검출되었다. 연구에서 얻은 임산물별 사용농약에 대한 정보는 병해충 방제를 위한 사용현황을 확인하여, 추후 농약등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국내 임산물의 안전성 확인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농산 바이오매스의 메탄 생산 퍼텐셜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Agricultural Waste Biomass)

  • 신국식;김창현;이상은;윤영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903-915
    • /
    • 2011
  • 최근 농산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혐기적 메탄생산은 가장 실질적인 바이오 에너지 생산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폐기물 처리 측면에서 가축분뇨,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에 대한 혐기소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농업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농산 바이오매스에 대한 혐기소화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에서 농산 바이오매스의 혐기적 매탄 생산 퍼텐셜은 측정 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비교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왔다. 외국의 경우 독일은 VDI 4630, 미국은 ASTM E2170-01을 혐기적메탄 생산 퍼텐셜 및 유기물 분해율 분석의 표준분석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독일과 미국의 메탄생산 퍼텐셜 분석법을 비교 검토하여 메탄 생산 퍼텐셜을 정의하고, 분석방법, 영향인자, 기술적인 계산 방법등을 고찰하였다. 한편 국내외 농산 바이오매스의 메탄 생산 퍼텐셜 측정 현황을 살펴보고자, 국내의 경우에는 1980년대에 실시되었던 볏짚 등의 18종의 농산 바이오매스와 식품산업부산물 등의 연구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국외는 43개 농산바이오매스에 대하여 곡류, 채소류, 특용작물, 과수, 기타작물로 분류하고, 사료작물인 사탕수수, 사탕무, 옥수수 등은 에너지 작물로 분류하여 216건의 메탄 생산 퍼텐셜에 대한 연구자료를 조사하였다.

Mulberry Low-Fat Ice Cream Supplemented with Synbiotic: Formulation, Phytochemical Composition,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 Kittisak Thampitak;Rattanaporn Pimisa;Pongsanat Pongcharoen;Suppasil Maneerat;Noraphat Hwanhle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61-374
    • /
    • 2022
  • For this study, we designed and produced mulberry low-fat ice cream supplemented with synbiotics (MLF-IS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MLF-ISS were then determined. Mulberry juice inoculated with or without probiotic (Lactobacillus plantarum TISTR 926 and Saccharomyces boulardii CNCM I-745) was also tested at 37℃ for 24 h to determine probiotic growth rate, pH, total anthocyanin content (TAC),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antioxidant activity (AA). Only the TAC of mulberry juice inoculated with S. boulardii CNCM I-745 increased considerably (p < 0.05) among these parameters. MLF-ISS was produced with varied mulberry fruit concentrations (0, 10, 20, 30, or 40%) (w/w). The MLF-ISS prepared with 30% mulberry fruit (w/w) (30-MLF-ISS) had a higher score in appearance, color, and sweetness (p < 0.05) when sensory qual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9-point hedonic scale method. In the CIE lab system (L*, a*, b*), the color values of 30-MLF-ISS were 27.80 ± 0.26, 12.99 ± 0.59, and 1.43 ± 0.05, respectively. The 30-MLF-ISS was also subjected to a proximate analysis. The melting rate of 30-MLF-ISS was 0.29 ± 0.03 g/min and the time it took for the first drop to fall was 37.00 ± 7.00 min. TAC, TPC, and AA of 30-MLF-ISS were observed to alter significantly (p < 0.05) during varied intervals of storage at - 18℃ (0, 30, and 60 days). The viability of probiotics in 30-MLF-ISS slightly decreased after storage at -18℃ for 8 weeks, but remained about 6 log CFU/g. During storage at -18℃ for 0 and 120 days, no pathogenic bacteria were detected in 30-MLF-ISS. These findings show that 30-MLF-ISS has nutritional and functional value, is free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is safe for consumers' health, and is suitable for application in the ice cream and related food industries.

유기농 복합생태 논습지의 토양 미생물 다양성 증진 효과 (Effect of Soil Microbial Diversity in Paddy Wetland under Organic Rice-Fish Mixed Farming System)

  • 한양수;박충배;조정래;박상구;공민재;남홍식;손진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9-82
    • /
    • 2022
  • 본 연구는 상시 담수 상태의 복합생태 논습지에서 유기농 벼-큰징거미새우 복합생산 조건 시 1) 논습지 토양 화학성 및 세균 군집 특성을 파악하여 토양 화학성과 세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2) 유기농 벼 단작 토양과 관행 벼 단작 토양의 세균 군집과 비교하여 유기농 복합생태 토양의 미생물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토양 화학성의 경우 유기농 복합생산 운영 기간이 길수록 유효인산과 유기물 함량이 증가한다. 모든 토양 시료에서 문(Phylum) 수준의 세균 분석 결과 9개의 주요 문이 분포되어 있으며, 모든 토양 시료에서 Proteobacteria가 우점하고 있다. 속(Genus) 수준 분셕 결과 37개의 주요 속이 분류되었으며, 벤다이어그램 분석 결과 모든 토양 시료에 존재하는 250개의 OTU가 분류되었고, 유기농 벼재배 토양에 특화된 561개의 OTU가 관찰되었다. 주좌표분석 결과 관행 벼 단작 토양의 세균 군집과 비교하여 유기농 벼 단작 토양과 유기농 복합생태 논습지 토양의 세균 군집 간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변온도 변이에 따른 양파의 생리적 특성 및 수량 변화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Onion Affected by Rapid Temperature Changes)

  • 이형진;한효심;천상욱;김동관;권현숙;이경동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64-371
    • /
    • 2014
  • 양파의 인경 비대기인 3-5월에 급변 온도조건을 유도시켜 양파의 생육반응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시험품종은 중만생종인 선샤인을 2012년 9월 4일에 파종하여 10월 30일에 정식하였고 다음해 5월 30일에 수확하였다. 온도변화에 따른 처리구는 3-4-5월 평균온도(T0 대조구: $6.0-10.4-17.2^{\circ}C$, T1: $6.0-5.4(-5)-17.2^{\circ}C$, T2: $6.0-10.4-22.2(+5)^{\circ}C$, T3: $6.0-5.4(-5)-22.2(+5)^{\circ}C$)를 기준으로 4월과 5월에 ${\pm}5^{\circ}C$씩 온도차를 두었다. 그 결과, T2처리구가 T0 대조구에 비하여 양파 생육과 구의 수량이 증가하였으나 저온처리구인 T1에서는 감소하였다. 무기이온 함량에서는 3월보다는 5월에 다량원소의 감소가 있었고 고온보다 저온에서 함유량이 높았다. 호르몬의 변화는 구의 비대시기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었으며 ABA 함량의 증가는 구의 비대를 촉진하였다. 따라서 급변온도에 대한 비대기 양파의 생육과 수량은 고온보다는 저온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량지수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환경제어 조건에서 방충망 색과 크기가 담배가루이 및 꽃노랑총채벌레의 물리적 방제에 미치는 영향 (Colors and Sizes of Insect Screen Net Influence Physical Control of Bemisia tabaci and Frankliniella occidentalis under Controlled Environments)

  • 정충렬;윤정범;김광호;이광재;허정욱;김현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6-54
    • /
    • 2016
  • 주요 온실해충인 담배가루이와 꽃노랑총채벌레를 대상으로 크기가 다른 백색의 여섯 가지의 방충망(0.2, 0.3, 0.4, 0.6, 0.8 mm과 TW30)과 세 종류의 색상(흑, 백, 적)을 가지고 차단율을 조사하였다. 담배가루이와 꽃노랑총채벌레는 0.2 mm 방충망에서는 각각 100%와 86%의 높은 차단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0.3 및 0.4 mm 망에서 담배가루이는 96% 이상의 높은 차단율을 보인 반면 꽃노랑총채벌레는 40% 미만의 낮은 차단효과를 나타냈다. 담배가루이에 대한 0.6와 0.8 mm의 백색과 적색망의 색상별 차단효과를 조사한 결과 0.6 mm 망에서는 백색이, 0.8 mm 망에서는 적색이 우수하였지만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한 0.2 mm 백색과 흑색망에서는 백색보다 흑색에서 100%의 완벽한 차단효과를 나타낸 반면, 0.6과 0.8 mm의 흑, 백, 적 또는 백, 적의 반응에서 백색보다는 적색의 차단효과가 높았다. 공기 순환과 경제성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담배가루이 방제에는 0.4 mm 백색 방충망을, 꽃노랑총채벌레 방제에는 0.2 mm의 흑색 방충망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북한지역 상세격자 디지털 일사량 분포도 제작 (A Sub-grid Scale Estimation of Solar Irradiance in North Korea)

  • 최미희;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1-46
    • /
    • 2011
  • 기근과 산림황폐화를 겪고 있는 북한지역에 대해 농업기후 구분을 위해 일사자원의 분포현황을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지만 원자료의 획득이 어렵기 때문에 남한에서 사용중인 국지일사추정기술의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한지역에서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한 추정 일사자료와 관측소 실측 일사자료간의 선형 관계식을 작성하였다. 이 관계식을 북한 기상대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위성영상 기반 일사량 값의 보정에 사용함으로써 27개 기상대의 일사자료를 복원하였다. 복원된 27개 지점 일사자료를 기반으로 거리역산가중평균법에 의해 평년(1983-2000)과 10년 단위(1983-1990, 1991-2000, 2001-2010) 월별 수평면일사량 분포도를 제작하였다. 북한 DEM자료를 이용하여 885개 표준유역에 대해 지형인자를 산출한 다음 지형보정계수를 이용한 경사면 일사수광량을 30m 해상도의 격자형 수치자료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일사기후도는 북한의 농업발전계획은 물론 이미 제작완료된 남한일사기후도와 결합하여 한반도의 기후변화 영향 및 생태반응 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