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type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7초

중학생의 과학 탐구 활동에서 역할 부여가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 변화와 양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ole Assignment on the Types and Patterns of Verbal Interactions i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Inquiry Activities)

  • 임유진;김영신;임수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167-182
    • /
    • 2020
  • 소집단 과학 탐구 활동에서의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발한 상호작용은 과학 학습의 효과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소집단 내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소집단 구성원들에게 역할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 활동에서 역할 부여가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 변화와 양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2개 중학교 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역할을 부여한 소집단 18개, 역할을 부여하지 않은 소집단 15개를 분석하였다. 역할 부여에 따라 탐구 활동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의 변화는 크게 소외형과 참여형으로 구분하였다. 역할을 부여한 경우에 참여형이 소외형에 비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언어적 상호작용의 양상은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서 역할을 부여하였을 때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역할 부여가 과학 탐구의 유형과 탐구 단계에 따라 언어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소집단 구성과 역할 부여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도 요구된다.

수학 기피유형의 분류 및 수학 성취 수준과의 상관성 연구 (Math-disliking Type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athematical Achievements and Them-Focused on the 8th Graders)

  • 김영국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33-50
    • /
    • 2007
  • 우리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나 호감과 같은 정의적 요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정도는 국제적인 비교를 통해서 드러난 바와 같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그런데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는 그들이 왜 수학을 기피하는가 하는 이유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수학을 싫어하는 이유를 정확히 파악 할 수 있다면 문제의 해결을 위한 효율적인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훨씬 수월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수학을 싫어하는 이유에 대해서 요인분석을 통하여 수학 기피유형을 설정하고 개별 학생들의 수학 기피유형을 판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인 '수학 기피유형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수학 성취수준과 이들 수학 기피유형사이의 상관계수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 도구의 활용법과 함께 수학 성취수준별, 성별 차이에 따른 학생들의 수학 기피경향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유머광고 표현유형과 수신자의 기질에 따른 유머광고의 차별적 효과 (Differential Effects of Humor Advertising by Expression Type and Receivers' Temperament)

  • 하태길;박명호;이희욱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9권1호
    • /
    • pp.23-41
    • /
    • 2007
  • 최근까지 유머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머광고와 비유머광고의 비교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유머광고 전체를 동일한 개념으로 일반화시킨 연구들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유머광고도 표현유형에 따라 광고효과의 차이가 가능하다는 것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유머광고 표현유형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여 이의 유형별 측정도구를 제시하고 유머광고 표현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MBTI 성격기질에 따른 유머광고 표현유형별 광고효과에 대한 관계를 실험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유머광고 표현유형을 각성형 유머광고, 부조화형 유머광고, 우월성형 유머광고의 세 종류로 범주화하여, 이러한 유형들이 소비자의 인지적(광고회상도), 정서적(광고호감도, 광고선호도, 제품선호도) 행동적 반응(구매의도)에 미치는 광고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 가지 광고는 유머의 표현유형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유머광고의 표현유형에 따라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반응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각성형 유머광고가 다른 두 유형의 유머광고보다 위의 세 가지 측면의 효과에서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머광고의 부정적인 측면으로 지적되어 온 회상력의 문제점을 유머광고 표현유형의 한 기법인, 각성이론형 유머광고로 보완하여 제작한다면 향후 소비자들에게 광고효과를 보다 더 강화하는 전략적인 측면에서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또한 심리학 유형이론으로부터 만들어진 SP(감각인식형), SJ(감각판단형), NT(직관사고형), NF(직관감정형)로 분류되는 MBTI 성격기질을 조절변수로 사용한 결과, 유머광고의 표현유형과 조절변수 사이에서 광고호감도와 광고선호도의 효과 측면에서 유의한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고회상도, 제품선호도, 구매의도 등에서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격기질에 대한 주효과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무적 주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유머광고 표현유형에 의한 광고효과의 분명한 차이를 밝힘에 따라, 향후 유머광고 효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유머광고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기존 실험실 연구의 대부분은 스토리구성 없는 장면위주로 실험 설계된 인쇄 유머광고를 사용하거나, 예전에 방영된 TV 광고물을 그대로 실험연구에 적용시켜 각종 외생변수들의 통제가 미흡하여 타당성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머광고 표현유형의 근거가 되는 각성 이론, 부조화 이론, 우월성 이론에 따라 이야기를 구성하고,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실험광고를 제작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미래연구에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유머광고 표현유형의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광고제작자들이 이 척도를 이용함으로써 유머광고를 제작하는데 직감이나 영감보다는 이론적인 가이드라인에 의존할 수 있게 되어 유머광고를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작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특성을 반영하는 성격변수인 개인의 MBTI 성격기질을 파악한다고 할지라도 이를 직접적으로 마케팅 상황에 활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로 인하여 성격기질을 이용하는 연구가 제한적이었다. 이 연구는 성격기질이 유머광고 표현유형별 광고효과를 조절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성격기질에 따른 광고호감도나 광고선호도 차이 등을 설명할 수 있게 되어 유머광고에 노출된 소비자 반응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된다.

  • PDF

토끼 출혈성 바이러스의 병원성, 적혈구응집성 및 물리화학적 요인에 대한 영향 (Pathogenicity, hemagglutinability, and the effect of physicochemical agents on virus of rabbit hemorrhagic disease)

  • 윤인중;전윤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71
    • /
    • 1990
  • Rabbits were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rabbit hemorrhagic disease virs and the viral pathogenicity, hemagglutinability, and the effect of physicochemical factors were studied.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summariaed as follows: 1. Mean rectal temperature of 11 infected rabbits was $40.0{\pm}0.47^{\circ}C$ prior to the virus inoculation, and $39.9{\pm}0.75^{\circ}C$ after 12hrs., $40.2{\pm}0.65^{\circ}C$ after 24hrs., $40.1{\pm}0.77^{\circ}C$ after 36hurs, and $40.6{\pm}0.56^{\circ}C$ just before the death. 2. Mean death time of infected rabbits was $40.3{\pm}22.0$ honrs and its range was 24 to 93 hours. 3. O, B, AB and A type of human erythrocytes were shown their HA in the order, but rabbit and chicken erythrocytes were not hemagglutinated by the virus. 4. In the hemagglutination, less than 0.25 per cent of a final concentration of erythrocytes and 0.2 per cent of BSA in PBS resulted in the best hemagglutination. Phosphate concentration in a range of 0.01M to 0.10M in PBS was not influenced on the hemagglutination reaction, and its pH 7.0 resulted in a better HA. 5. The hemagglutinating titers, in log 2 scale, of organs and tissues of the virus infected rabbits were $9.3{\pm}3.8$ (liver), $9.1{\pm}3.9$ (blood), $6.2{\pm}2.6$ (spleen) and $5.0{\pm}2.5$ (kidney). 6. The physicochemical factors such as heating ($50^{\circ}C$, 10 min.), trypsin treatment (0.05 pre cent, 5 min.), acid treatment (pH 3.0, 20 min.) and ether extraction (3 times) were not affective to the stability of virus and viral HA activities.

  • PDF

2015 개정 실과교과서의 로봇교육 체제 분석 (The Analysis of Robot Education Unit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99-10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실과교과서의 로봇 교육과 관련된 단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교과서는 도입, 전개, 정리의 공통 체제를 지니고 있었고, 모두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었다. 학습목표는 모든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었으나, 인지, 기능적인 목표 이외에 정의적인 목표는 제시되지 않았다. 로봇 학습 내용은 로봇의 의미와 종류, 로봇의 구조와 센서, 로봇 만들기 활동을 제시하고 있으나 로봇 윤리, 다양한 로봇작품 제작 및 활동, 문제해결과정에서 로봇활용 등의 내용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조립형 로봇과 적외선 센서를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체험활동에 로봇제작 및 제어 실습자료 제시, 평가하기를 통한 단원 정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 C, F교과서에서는 단원보조자료 등도 제시하고 있다. 추후 로봇 한계 인지, 올바른 사용 원칙, 안전교육, 개인정보 및 사생활보호 등의 설계·제조자와 사용자 중심의 로봇윤리 교육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유머효과의 시각적 적용과 그 가능성 (A Study on the Visual Application of Humor Effects and its possibilities)

  • 박영원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권
    • /
    • pp.267-303
    • /
    • 1999
  • The visual humor can be regarded as an original source for creative ideation. There are several types of humor. for example,'wit, satire, irony and so on. These can be motivations of developing an up-to-date idea. Wit differs from most humor in being purely intellectual, rather than relying on incongruities that come up naturally in many situations. The humor of words contains pun, hyperbole, repetition, and comparison or contrast. Especially in case of pun, it can be most important type of humor for making analytical and humorous effects visually. Pun, meaning the humor of double meaning, furnish us with much of our humor. The concept of pun is the most valuable for creating the visual humor by substituting, combining and manipulating symbols. There are essentially three distinct categories of puns : the literal pun, the suggestive pun, and the comparative pun. All types of puns belong to one of these three groups. The definitions are simple to understand and easy to apply for creating the visual humor, In order to develop a better conceptual model, (this researcher) reexamine the concept of humor, the relationship of humor to various types of message processing, and the relationship of humor to various aspects of message. This thesis. is primarily concerned with basic theories of humor such as concepts of humor, types of humor and analysis of humor. And this contains the research of humor's communications effects and theory of humor response with literature reviews. Modem theories of humor response generally fall into three major schools : Incongruity theories, Superiority theories and Arousal (Relief theories. Together these three approaches address the cognitive-perceptual, affective-evaluative and psycho-dynamic dimensions of a subject's humor response. The literature research of humor and humor response theory in communications and visual communications can help the visual application of humor concepts and usefulness of visual humor appeals. This research agreed that the humor and visual humor must be very effective at being as a means for the advertising expression, not for the purpose itself.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aimed at studying significations and usefulness of visual humor through semiotic approaches in the near future. Then it can be essencial research for the appropriate situational uses of humor related to media, product, and audience factors, such as nationality, age, standard of living, sexuality, and so on.

  • PDF

초중고 남녀 학생의 과학수업과 과학자에 대한 태도 (Attitudes of Boys and Girl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wards Science Lessons and Scientists)

  • 송진웅;박승재;장경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9-118
    • /
    • 1992
  • In this study, the attitudes of about 1200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towards sciences lessons and scientists were investigated. For the survey of this study, simillar numbers of students in Seoul were selected from the 5th, 8th and 11th grades and from both sexes. For the attitudes towards science lessons, in the survey questionnaire, there were questions on the type of science lesson which students prefer and on student's assessment of science lessons which they receive. For the attitudes towards scientists, there were questions on scientists whom students respect, on students assessment of scientists and on students assessment of themselve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 great majority of students prefered the laboratory-based to classroom-based lessons, but this tendency was less apparent in olderstudents.More boys, compared with girls, prefered laboratory-based study. (2) The student's assessment of science lessons was positive in the elementary school, neutral in the middle school and negative in the high school level. Boy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study of science. (3) Apparently more girls than boys mentioned Madam Curie as a scientist whom they respect, Students tended to respect scientists in terms of their personalities rather than their cognitive abilities. (4) Students tended to assess that scientist's are more able than themselves in cognitive areas while themselves are better in affective areas. The gap between student's asessments of scientists and that of themselves became bigger in high school students. The gap between boy's assessments of themselves and girl's assessments of themselves was bigger in high school level than in middle school. (5) The decline of students attitude towards science lessons was bigger than their attitude towards scientists.

  • PDF

동료를 지도하는 수학 학습 능력 우수 학생의 학습 과정 탐색 (Exploring on Learning Process of Higher-Level Performers during Peer Tutoring in Mathematics)

  • 이환철;허난;강옥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2호
    • /
    • pp.177-191
    • /
    • 2010
  • 많은 교육학자들은 학교 수업에서 소집단 협력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소집단 협력 학습은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학습 능력의 향상 뿐 아니라 정의적 태도 면에서도 도움을 준다. 학습 능력의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부진한 학생들은 개념, 원리, 법칙들을 이해하면서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됨을 스스로 느끼는데 반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들은 그 효과에 대해 반신반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학습 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이 부진한 학생과의 상호작용 특히 부진한 학생에게 수학을 지도하면서 어떤 수학 학습 과정을 가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은 동료를 지도함으로 인해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높은 수준의 수학적 사고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

  • PDF

환경 소양 개념의 변천과 환경 소양 측정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ual Evolut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Its Assessment)

  • 진옥화;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8권2호
    • /
    • pp.31-43
    • /
    • 2005
  • In this study, after establishing assessment framework and reviewing the conceptual evolution and component of EL(Environmental Literacy) through literature review, through middle school students as population, the level of EL and relationship of its related variables were examined. The investigation was consisted of second and third grades of urban and rural middle schools in Choongbook. The used measurement methods were objective evaluation and Likert-type scale. The questionnaire instrument variables were consisted of 80 items on environmental literacy variables and six items on student gender, area of residence, environmental lesson, degree of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information, environmental activity as background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lthough the broad and obscure concept of EL has been evolved until 1992, it has been developed more systematic and precise after 1992. But there is not still an agreed concept. 2. The subordinate components of EL were consisted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Both ecological knowledge(KEOC) and environmental skill(SKILL) were determined to serve as two powerful predictors of EL. 3. The level of EL of middle school student wa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some variables by student gender, residential area, environmental lesson,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activity variables. An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of EL in middle school student were environmental skill(SKILL), and locus of control (LOC).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drawn: It should be established a precise concept on EL as the ultimate aim of environmental education both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and exper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lso performed further longitudinal study which assessed multidimensional variables which are able to exactly measure the EL of middle school student.

  • PDF

공론장-미디어 관계의 유형화 (A Typology of Media-Public Sphere Relationships)

  • 조항제;박홍원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0권
    • /
    • pp.5-28
    • /
    • 2010
  • 이성에 입각한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토론의 중요성을 강조한 하버마스의 공론장론은 숙의민주주의라는 민주주의의 새로운 이념형을 제시하면서 근대를 복원했다는 찬사를 받았다. 그러나 이후 공론장론은 많은 비판을 받았고, 이에 대응해 반비판도 제기되면서 공론장론의 지평은 확대되어 왔다. 특히 공론장이 정치를 공적, 제도적 담론에 치우치게 함으로써 우리의 일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적, 감성적 측면을 배제하는 데 기여했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공론장론에 대한 논의는 더욱 활발히 이루어졌는데, 감성적 공론장, 미학적 공론장, 표현적 공론장 등은 이러한 인식을 반영한 개념들이다. 이 글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이러한 공론장 논의를 분석적으로 해부하고 향후 이론적 발전을 위해 유형화를 시도했다. 이 글에서는 공/사적, 이성적/감성적 두 개의 기준을 사용해 기존의 공론장을 '정치적 공론장', '대중주의', '차이다원주의', '친밀/프라이버시' 등의 네 유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의 특징과 의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했다. 그리고 이들 서로 다른 유형의 공론장을 매개하고 조정하는 메타공론장 영역으로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을 설정하고 그 가능성 및 함의를 제시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