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anced esophageal cancer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HiF-1α siRNA and Cisplatin in Combination SuppressTumor Growth in a Nude Mice Model of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Liao, Hong-Ying;Wang, Gui-Ping;Gu, Li-Jia;Huang, Shao-Hong;Chen, Xiu-Ling;Li, Yun;Cai, Song-W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2호
    • /
    • pp.473-477
    • /
    • 2012
  • Introduction: The esophagus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is one of the most deadly malignances, and a current challenge i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herapeutic agents. Our present work addressed the effect of HIF-$1{\alpha}$ siRNA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cisplatin on the growth of ESCC in nude mice. Materials and Methods: Xenografts were established by inoculating ESCC TE-1 cells in nude mice, and transplanted tumors were treated with HIF-$1{\alpha}$ siRNA, cisplatin alone or together. Growth was assessed by measuring tumor volume. HIF-$1{\alpha}$ mRNA and protein expression were detected using RT-PCR and immunohistochemistry, respectively. Apoptosis of ESCC TE-1 cells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Results: In our nude mice model, HIF-$1{\alpha}$ siRNA eff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transplanted ESCC, downregulating HIF-$1{\alpha}$ mRNA and protein expression, and inducing ESCC TE-1 cell apoptosis. Notably when combinated with cisplatin, HIF-$1{\alpha}$ siRNA showed synergistic interaction in suppressing tumor growth. Furthermore, the proportion of apoptotic cells in HIF-$1{\alpha}$ siRNA plus cisplati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isplatin or HIF-$1{\alpha}$ siRNA-treated groups (P<0.05). Conclusions: Down-regulated HIF-$1{\alpha}$ expression induced by siRNA could effectively suppress the growth of transplanted ESCC $in$ $vivo$. HIF-$1{\alpha}$ siRNA could enhance the cytotoxicity of cisplatin, which suggests that a combination of these two agents may have potential for therapy of advanced ESCC.

Gastrointestinal, Liver and Biliary Tract Pathology: A Histopathological and Epidemiological Perspective from Pakistan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Ahmad, Zubair;Arshad, Huma;Fatima, Saira;Idrees, Romana;Ud-Din, Nasir;Ahmed, Rashida;Ahmed, Arsalan;Memon, Aisha;Minhas, Khurram;Arif, Muhammad;Fatima, Samia;Haroon, Saroona;Pervez, Shahid;Hasan, Sheema;Kayani, Nail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997-7005
    • /
    • 2013
  • Aim: To present an epidemiological and histological perspective of diseas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cluding liver and biliary tract) at the Section of Histopathology, Department of Pathology, AKUH, Karachi, Pakistan. Materials and Methods: All consecutive endoscopic biopsies and resections between October 1 and December 31, 2012 were included. Results: A total of 2,323 cases were included. Carcinoma was overwhelmingly the commonest diagnosis on esophageal biopsies (69.1%); chronic helicobacter gastritis (45.6%) followed by adenocarcinoma (23.5%) were the commonest diagnoses on gastric biopsies; adenocarcinoma (27.3%) followed by ulcerative colitis (13.1%) were the commonest diagnoses on colonic biopsies; acute appendicitis (59.1%) was the commonest diagnosis on appendicectomy specimens; chronic viral hepatitis (44.8%) followed by hepatocellular carcinoma (23.4%) were the commonest diagnoses on liver biopsies; chronic cholecystitis was the commonest diagnosis (over 89%) on cholecystectomy specimens. Conclusions: Squamous cell carcinoma comprised 88.8% of esophageal cancers. About 67% were in the lower third and 56.5% were moderately differentiated; mean ages 49.8 years for females and 55.8 years for males; 66% cases were from South West Pakistan. Over 67% patients with gastric adenocarcinoma were males; mean ages 59 and 44 years in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about 74% gastric carcinomas were poorly differentiated; and 62.2% were located in the antropyloric region. About 63% patients with colorectal adenocarcinoma were males; mean ages 46.1 and 50.5 years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tumor grade was moderately differentiated in 54%; over 80% were located in the left colon. In 21.2% appendicectomies, no acute inflammation was found. Acute appendicitis was most common in young people. Hepatitis C (66.3%) was more common than hepatitis B (33.7%); about 78% case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occurred in males; females comprised 76.7% patients with chronic cholecystitis; and 77.8% patients with gall bladder carcinoma. All resection specimens showed advanced cancers. Most cancers occurred after the age of 50 years.

진행된 두경부암에서 다분할 방사선치료 (Hyperfractionation Radiation Therapy in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 김진희;예지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12-117
    • /
    • 2003
  • 목적: 진행된 두경부암을 대상으로 다분할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실패양상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 다분할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9월부터 1995년 10월 사이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진행된 두경부암으로 다분할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38세에서 71세로 중앙값 55세이었다. 병기별로 3기 11명, 4기 13명이었으며 남자가 21명이었고 비인두암 6명, 하인두암 6명, 후두암 5명, 구강인두암 3명, 부비동암 3명, 구강암 1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6 MV x-선으로 1일 2회, 최소 6시간 간격으로 분할조사량 1.2 Gy 시행하여 총치료선량은 64.4 Gy에서 76.8 Gy로 평균총방사선량은 72 Gy이었다. 추적관찰기간은 3개월에서 136개월이었고 중간 추적관찰기간은 52개월이었다. 결과: 전체환자의 3년 생존율과 5년 생존율은 각각 66.7$\%$, 52.4$\%$이었고 전체 환자의 3년 무병생존율은 66.7$\%$, 5년 무병생존율은 47.6$\%$이었다. 병기별로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3기는 81.8$\%$, 63.6$\%$, 4기는 53.8$\%$, 32.3$\%$이었다. 국소재발이나 원격전이의 소견 없이 생존해 있는 환자가 10명이며 원격전이는 25$\%$, 국소재발은 12.5$\%$로 원격전이가 주된 실패원인이었다. 원격전이인지 국소 재발인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2명, 다른 원인으로 사망한 경우가 3명이었다. 원격전이 장소는 폐 3명, 뼈 1명, 간 2명이었으며 1명에서 식도에 2차암이 발생하여 사망하였다. 추적관찰 기간 중 1명에서 방사선치료 후 58개월에 하악골괴사로 수술한 경우를 제외하고 중등도 이상의 심각한 만성부작용이 발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대상 환자의 수는 적으나 진행된 병기의 두경부암에서 다분할 방사선치료법이 급성 부작용은 다소 증가하나 만기부작용의 증가 없이 국소 재발의 감소와 무병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발성 악성종양에 동반된 폐암의 임상 특징과 변이형 p53 발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bnormal p53 Expression of Lung Cancer Associated with Multiple Primary Cancer)

  • 신창진;박혜정;신경철;심영란;정진홍;이관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31-338
    • /
    • 1999
  • 연구배경: 악성종양에 대한 진단 및 치료방법의 발전으로 악성종양 환자의 생존기간이 연장되고, 생존율 또한 과거보다 높아졌다. 또한 수술적 절제술로 악성종양을 제거한 환자 중 약 10% 정도는 약 10년이내 속발성 원발성 종양이 생긴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래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의 원인과 위험 인자 및 조기 진단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저자들은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폐암과 원발성 폐암의 임상적 특징과 p53 종양 억제 유전자 변이에 의한 변이형 p53 발현율을 조사하여 두 질환사이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방법: Moertel의 다발성 원발성 악성 종양의 분류에 적합한 환자 중 폐암이 동반된 20례(비소세포암 16례, 소세포암 4례)와 비교군으로 원발성 비소세포암 26례를 대상으로 변이형 p53 발현율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곁과: 폐암과 동반된 악성종양은 위암이 8례로 가장 많았고, 식도암, 폐암, 대장암이 각각 2례 이었으며, 후두암, 방광암, 간암, 유방암, 부신암, 소장암이 각각 1례 이었다.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과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의 남녀비는 각각 7:1, 2.7:1 이었고, 흡연력은 각각 16례 중 15례, 26례 중 19례가 있었다.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은 원발성 비소세포암에 비해 임상적 병기가 비교적 균등하였으며(p<0.05), 조직학적 분화도는 나쁜 경우가 많은 경향이었다(p>0.05).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의 변이형 p53 각각 62.5%, 76.7%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의 변이형 p53 단백 발현율은 차이가 없었다. 변이형 p53 단백 염색법은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을 구별하는데 유용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수술 불가능한 국소 진행 비소세포성 폐암의 집합적 요법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of the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

  • 조관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1-10
    • /
    • 2004
  •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국소 진행성 병변(병기 3)이 3분의 1을 차지한다. 이 중 완전 절제가 가능한 소수의 환자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환자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가 전통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하지만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장기 생존율은 극히 불량하고, 대개의 경우 원격 전이 또는 국소 재발로 사망하게 된다. 지난 20년간, 집합적 요법으로 국소 진행성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효과의 향상이 있었다. 그중 화학방사선요법이 가장 흔히 사용되었고,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병용하는 순서에 따라 다음 두 가지 기본적 방법이 있다. 즉, 순차적 요법과 동시 요법이 그것이다. 순차적 병용 요법은 유도 화학요법 완료 후 방사선 치료를 진행하는 순서로 주로 시행되었다. 근거로는 방사선 치료전 유도 화학요법 사용 으로 종양의 크기를 줄여 국소제어율을 높이고, 보이지 않는 미세 전이 병변을 제거하여 원격 전이를 감소시키는 데 있다. 방사선 단독 치료와 비교하여 순차적 화학방사선요법으로 중앙생존기간과 장기생존율의 향상을 보고한 여러 연구가 있다. 재발 양상을 분석한 보고에 따르면, 방사선치료 단독과 비교하여 순차적 병용요법이 원격전이율은 감소시키나, 국소 재발률에는 영향이 없었다.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동시 시행하는 동시병용요법에 대한 많은 보고가 있다. 근거로는 화학요법을 방사선과 동시 투여함으로써 화학요법에 의한 종양세포 방사선 감작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순차적요법과 비교하여 전체 치료기간을 단축하여 국소제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대했던 대로 동시 병용요법 후 국소 제어율 향상과 이로 인한 생존율 증가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방사선 치료 단독과 비교하여 원격 전이율에는 차이가 없었고, 이는 급성 부작용, 특히 급성 식도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대다수의 연구에서 관찰되듯이 화학요법의 강도를 줄인 때문으로 생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집합적 치료가 방사선 단독 요법과 비교하여 생존율의 향상에 기여하였고, 현재 새 표준 치료로 정착되었으나, 이의 치료효과는 아직도 실망스러우며, 최적 치료 개발을 위한 연구는 계속되어야 한다. 본 보고에서 국소 진행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집합적 치료에 대한 현 논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후두 전 절제 환자에서 음성재활을 위한 기관식도발성 (Tracheoesophageal Shunt Voice in Total Laryngectomee)

  • 왕수건;장선미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1-27
    • /
    • 2008
  • Total laryngectomy is the most useful procedure tor advanced laryngopharyngeal cancer, but it remains the major problem such as loss of voice. Voice restoration is essential for every patients who undergo a total laryngectomy. Ideal voice rehabilitation methods can resolve three factors. First, every laryngectomee can produce voice sufficient for communication, second every patient should be allowed to use both hands freely during phonation, and last, the voice restoration methods should be easy and safe without complication during and after treatment. Among various voice rehabilitation procedures during or after total laryngectomy, it can be divided electronic and pneumatic methods. In pneumatic methods, there are also divided both pulmonary air and non-pulmonary air methods. The non-pulmonary air methods include esophageal speech, buccal speech, and pharyngeal speech. Pulmonary air methods are divided into surgical and non-surgical such as pneumatic speech aid. In the surgical methods, there are neoglottic operation, tracheopharyngeal shunt, and tracheopharyngeal shunt operations. Recently, tracheoesophageal shunt with or without prosthesis are being recognized the most effective method. Blom-Singer low pressure prosthesis, Panje button, and Provox are well known types of prosthesis in the tracheoesophageal shunt operation. Amatsu method is a kind of famous tracheoesophageal shunt method without using prosthesis. Authors tried to review the published articles f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and problems of tracheoesophageal shunt operation with or without prosthesis. In conclusion, indwelling type of prosthesis and pharyngeal myotomy and plexus neurectomy are recommended for higher success rate during tracheoesophageal puncture procedure. More over, Amatsu method is also one of the recommended voice rehabilitation procedure during total laryngectomy. In this situation, pharyngeal myotomy and plexus neurectomy may be helpful for better fluent commun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