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lescent from divorced famil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이혼가족 청소년의 비양육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Relationship With Non-Custodial Parents)

  • 조성희
    • 아동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7-168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facotr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with non-custodial parent.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arative influence of the family function as a factor controlling other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liefs about parental divorce, and social suppor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22 adolescents from divorced familie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SPSS 22.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beliefs about parental divorce,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affected the relationship with non-custodial parent. After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other factors, family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with non-custodial parent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nd non-custodial parents.

부모 이혼이 청소년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adolescent peer relationship associated with parents divorce)

  • 김은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3-38
    • /
    • 2018
  •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의 또래 관계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목적을 두었으며, 이혼한 부모를 가진 청소년들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분석한 기존문헌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들의 가족 구조에 기초한 또래 관계의 다양성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되었으며 핵가족의 청소년들과 비교해 보면, 이혼한 부모를 가진 의붓 가족의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특정한 형태의 상호 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즉 부모들의 이혼은 그들의 아이들이 사춘기 때 겪는 어려움과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또래들 사이에서 고립형태의 모습을 보이거나 낮은 자존감, 소통기술의 부재 등을 나타내었다. 이혼가정의 청소년 또래집단의 일반적인 심리적, 인지적 발달은 종종 연구되나 향후 미래 연구는 그들의 학교에서의 또래 상호 작용과 사회적인 상호 작용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편모가족의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가족자원 및 심리적 적응 (Family Resourc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of Single Mother Families)

  • 정현숙;서동인
    • 아동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3-176
    • /
    • 1997
  •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275 adolescent children of widowed or divorced single mother famil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coping resources, including individual, financial, social, and mother-child relational resources and their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se adolescents. After controlling background variables of the family, higher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was associated with low grade point average, mother's high exposure to negative experiences after loss of father, low attachment to mother, and low sense of self-control. Furthermore, higher grade point average, strong attachment to mother, and high self-control in problem solving were factors predicting higher self-esteem of adolescents. Social network resources were not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dolescents. Discussion include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arent-child relations were discussed with a view to enhancing family functioning of adolescents in single-mother families.

  • PDF

자폐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IN MOTHER OF AUTISTIC CHILDREN)

  • 윤수영;한경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54-67
    • /
    • 1993
  • 본 연구는 자폐아 어머니 160명을 대상으로 자폐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정도에 영향을 끼치는 자폐아 어머니와 아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자폐아 어머니를 위한 간호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폐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관한 도구는, 어머니의 일상 생활에 관련된 스트레스(11문항),어머니의 가족, 사회적 관계 에서의 스트레스(26문항), 아이의 장애 원인, 치료, 교육 및 예후에 관련된 스트레스 (28문항) 및 어머니의 부정적 심리 상태에 관련된 스트레스(9문항) 등 7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0.94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자폐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정도는 영역별로 볼 때 장애원인, 치료, 교육 및 예후에 관련된 스트레스 평점이 3.19로 가장 높았으며 어머니의 부정적 심리상태에 관련된 스트레스 평점은 2.85, 어머니의 일상생활애 관련된 스트레스 평점은 2.45,그리고 가족, 사회적 관계에서의 스트레스 평점은 2.05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총 74개의 스트레스 항목 인지정도의 평점은 2.62였다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높게 인지된 항목은 '자폐아에 대한 사회의 이해가 부족하다', '부모가 사망한다면 누가 이 아이를 돌볼 수 있을지 걱정이다',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교육받을 수 있는 시설이 없다' 등이었으며, 낮은 스트레스로 인지된 항목은 '남편이 아이를 미워한다', '남편과 이혼하고 싶다' 등이었다. 3) 자폐아 어머니 특성 중에서 자녀의 수, 아이 문제에 대한 인지 정도는 스트레스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자녀의 수가 많을수록, 문제 인지가 심할수록 어머니가 느끼는 스트레스가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