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lay seed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8초

Inhibitory Activity of Three Varieties of Adlay (Coix Seed)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 Lee, Mi-Kyeong;Shin, Eun-Jin;Liu, Qing;Hwang, Bang-Yeon;Lee, Jung-Bok;Kim, Sun-Yeou;Lee, Jae-Ha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291-294
    • /
    • 2010
  • In obesity, adipocytes undergo abnormal growth characterized by increased cell numbers and differentiation. Thus, inhibition of mitogenesis of preadipocytes and their differentiation to adipocytes would be beneficial for the prevention and progression of obesity. In the present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antiadipogenic activity of adlay (Coix seed, the seed of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employing preadipocytes cell line, 3T3-L1 as an in vitro assay system. Because several varieties of adlay are in use in Korea, anti-adipogenic activity of three varieties of adlay such as Sang-Gang, Jo-Hyun and Yulmu-Ilho was evaluated. All the three varieties of adlay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assessed by measuring fat accumulation using Oil Red O staining. Adlay, however, showed little effects on adipocyte proliferation. Further studies with interval treatment demonstrated that adlay exerted inhibitory activity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via acting on early stage of adipogenesis. Taken together, adlay might be useful in the prevention of obesity.

율무 잎마름병과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소독 효과 (Effects of Seed Disinfectant Treatments on Leaf Blight and Smut Disease in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 장석원;김희동;전대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9-82
    • /
    • 2000
  • 본 연구는 율무 주산단지인 연천지역에서 율무 종자전염병인 잎마름병 및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 소독 실태와 종자소독제 처리에 의한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율무의 잎마름병 종자감염율은 연천지역 농가에서 수집한 종자를 검사한 결과 $32.7{\sim}45.7%$였으며, 율무종자 소독기간은 율무 1호가 $0{\sim}7$일, 연천 재래종이 $0{\sim}20$일이었다. 농가별 종자소독기간 분포 비율은 무소독 20%, $1{\sim}5$일 20%, $6{\sim}10$일 55% 그리고 11일 이상이 15%였다. 종자소독처리제인 후루디옥소닐종자처리액상수화제의 잎마름병에 대한 종자소독효과는 97%,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 소독효과는 93.4% 로 높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 PDF

율무 종자소독과 침종시간이 발아율 및 병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Disinfectant and Soaking Time on Germination and Disease Occurrence of Adlay,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 장석원;전대훈;김희동;이은섭;박기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9-265
    • /
    • 2000
  • 본 연구는 율무 종자소독제인 Fludioxonail 10% 종자처리 액상수화제의 침종기간이 발아율 및 병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시내 실험에 있어 율무종자를 3일간 종자소독 후 3일 침종처리시 발아율이 93.8%로 기타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부패율은 침종기간이 길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폿트 및 포장시험에서 율무종자를 3일간 종자소독 후 3일 침종처리시 출현율이 기타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입고병은 침종기간이 길수록 심해지는 경향 이었다. 포장재배에서 생육상황은 약제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10a당 조곡 수량은 무처리 194kg에 비해 3일간 종자소독 후 3일 침종처리구와 6일 종자소독구에서 $26%{\sim}27%$ 증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율무의 출현율향상 및 병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3일간 종자소독 후 3알 침종처리 또는 6일 종자소독이 적당하다고 여겨진다.

  • PDF

재배지형(栽培地形), 작휴방법(作畦方法), 윤작(輪作)이 율무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Field Topography, Ridge Shape and Crop Rotation on Growth and Yield in Coix lachyma-jobi var. ma-yuen Stapf)

  • 이효승;박기준;김기중;이은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2-166
    • /
    • 1997
  • 우리나라의 율무 주산지(主産地)인 연천지역(漣川地域)에서 농가(農家)의 재배(栽培) 실태(實態)를 비속작지(非速作地)와 속작지(速作地)로 구분(區分) 재배유형별(栽培類型別)로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여 문제점(問題點)을 도출(導出)하고 입지(立地) 환경조건(環境調件)에 알맞은 재배(栽培) 기술(技術)을 개발(開發)코자 20개 농가(農家)를 대상(對象)으로 비속작지(非速作地) 논재배(栽培),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 경사지(傾斜地), 평휴(平畦), 고휴(高畦) 재배(栽培)로 구분(區分)하여 농가(農家)의 재배실태(栽培實態)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간장(稈長)에서는 비속작(非速作)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에 비하여 속작(速作)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 비속작(非速作) 논재배지(栽培地)의 순(順)으로 간장(稈長)을 현저(顯著)히 단축(短縮)시켰다. 2. 유효분얼수(有效分蘖數)에서도 비속작(非速作)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에 비하여 속작(速作)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 비속작(非速作) 논재배지(栽培地)의 순(順)으로 유효분얼수(有效分蘖數)를 감소(減少)시키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3. 잎마름병 발병율(發病率)을 보면 비속작(非速作) 평탄지(平坦地)에서는 발병율(發病率)이 낮았으나 속작(速作)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와 비속작(非速作) 경사지(傾斜地) 재배지(栽培地)에서는 심(甚)한 발병율(發病率)을 보였다. 4. 조명나방 발병율(發病率)을 보면 비속작(非速作) 밭재배(栽培)에서는 재배유형(栽培類型)에 관계(關係)없이 낮았으나 비속작(非速作) 논재배지(栽培地)와 속작(速作) 평탄(平坦) 밭재배(栽培)에서는 모두 발생율(發生率)이 심(甚)하였다. 5. 도복정도(倒伏程度)에서는 비속작(非速作) 논재배지(栽培地)에서 가장 낮았으며 비속작(非速作) 밭재배지(栽培地)에서는 재배유형(栽培類型)에 관계(關係)없이 중정도(中程度)이었으나 속작평탄(速作平坦) 밭재배(栽培)시에는 가장 심하였다. 6. 종실수량(種實收量)을 보면 재배유형(栽培類型)중 비속작(非速作) 평탄지(平坦地)밭재배(栽培)에서 가장 증수(增收)되었으며 속작(速作) 평탄지(平坦地) 밭재배(栽培)와 비속작(非速作) 논재배(栽培) 순으로 가장 증수(增收)된 수량(收量)을 보였다.

  • PDF

율무 종자 오염 Fusarium 속 진균 저감화를 위한 이화학적 처리 (Physicochemical Treatment for the Reduction of Fusarium spp. Infested in Adlay (Coix lacryma-jobi L.) Seeds)

  • 안태진;김영국;허목;이정훈;이윤지;차선우;오상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60-467
    • /
    • 2015
  • Background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an effective physicochemical control method to reduce Fusarium species infestation in adlay (Coix lacryma-jobi L.) before and after harvesting. Methods and Results : We observed that prochloraz emusifiable concentrate and hexaconazol prochloraz emusifiable concentrate strongly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10 Fusarium species. Strong growth inhibitions and cell lysis were observed following treatment with 4% NaOCl solution. The total number of fungi detected were lower follwing treatment with thiophanatemethyl triflumizole wettable powder ($1.1{\times}10^4CFU/g$), hexaconazol prochloraz emulsifiable concentrate ($1.2{\times}10^4CFU/g$), carboxin thiram dustable powder ($1.6{\times}10^4CFU/g$) and prochloraz emulsifiable concentrate ($1.7{\times}10^4CFU/g$) than in the non-treated control ($7.7{\times}10^4CFU/g$). The reduction of Fusarium fungi varies with the concentration and soaking time of NaOCl solution. Fungal detection was not observed after soaking in NaOCl solution for 24 h and harmful effects were not observed for plant growth by NaOCl after soacking for 6 - 12 h. Conclusion : Soaking seed for 6 - 12 h in 4% NaOCl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of disinfectant treatment for the control of Fusarium fungi in adlay seeds.

늙은 호박, 율무, 꾸지뽕잎 혼합조성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내장지방, 배변량 및 혈청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curbita moschata, Adlay Seed, and Cudrania tricuspidata Leaf Mixed-powder Diet Supplements on the Visceral Fat, Fecal Amount, and Serum Lipid Levels of the Rats on a High-Fat Diet)

  • 이경원;성기승;김성수;이옥환;이복희;한찬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90-998
    • /
    • 2012
  • 고지방식이(D12492)를 5주 동안 흰쥐에게 급여한 다음 고지방식이에 늙은 호박(Cucurbita moschata), 율무(adlay seed),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분말조성물(1:1:1) 첨가식이를 5주 동안 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기간동안 증체량은 혼합조성물 10% 첨가군(B)을 제외하고, 혼합조성물의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이섭취량은 차이가 없이 혼합조성물의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다소 증가한 반면, 식이효율은 혼합조성물의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다소 감소하였다. 내장지방 중 신장주변지방패드(RFP) 무게는 고지방식이대조군(F)보다 혼합조성물 30% 첨가군(E)이 통계적으로 낮았고, 정소상체지방패드(EPF) 무게는 F군보다 혼합조성물 20% 첨가군(D)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배변량의 경우, 실험 전기간(10주) 고지방식이대조군(F)은 실험1기와 실험2기의 배변량이 차이가 없었고, 혼합조성물의 경우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F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소장길이는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혼합조성물 10%, 15% 및 20% 첨가군(B, C, D)이 F군보다 다소 긴 것으로 나타났고, 대장길이는 F군과 20% 첨가군(D)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혈청지질중 TC, HDL-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TG 농도는 혼합조성물 10%(B)와 15% 첨가군(C)이 낮았고, F군과 다른 첨가군은 높았다. 혈당농도는 혼합조성물첨가군이 F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구세포(CBC)중 RBC와 WBC는 혼합조성물 30% 첨가군(E)이 F군보다 통계적으로 높았고, Hct와 Hb 함량은 E군이 F군보다 높았으며, 혈소판(Platelet) 수는 혼합조성물첨가군(A~E)이 F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에서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늙은 호박, 율무, 꾸지뽕잎 분말조성물첨가식이를 급여했을 때 체지방량 저하, 배변량 증가, 혈청중 TG 감소 및 혈당치의 유의한 감소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앞으로 이들 혼합조성물의 적절한 처방으로 체지방 억제, 배변활성 및 지질개선을 위한 소재화 기술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율무의 파종기(播種期)와 재식밀도(栽植密度)에 따른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 (Effects of Sowing Times and Spacing on Growth and Yield of Coix lachryma-jobi L. var. ma-yuen STAPF)

  • 이은섭;이준석;이효승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25-231
    • /
    • 1997
  • 농가에 보급(普及)되어 있는 농기계(農機械)의 이용효율(利用效率)를 높이고 생산비(生毒費) 절감(節減)을 통한 농가소득(農家所得)을 증대(增大)시키기 위해 경운기부착세조파기 (수도용직파기)를 이용하여 파종(播種)은 4월20일, 5월5일, 5월20일, 6월5일에 하였고, 재식밀도(栽植密度)는 $60{\times}15cm,\;70{\times}15cm,\;80{\times}15cm$가 되도록 파종기의 파종부위(播種部位)를 조절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파종시기(播種時期)가 늦어질수록 율무의 출아(出芽) 및 개화(開花) 소요일수(所要日數)는 단축(短縮)되었으나, 성숙소요일수(成熟所要日數)는 연장(延長) 되는 경향이었다.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은 $159{\sim}l55$일이 소요(所要)되었다. 2.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적산온도(積算溫度)는 생육(生育)단계별 소요일수(所要日數)와 같은 경향이었으며,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의 적산온도(積算溫度)는 $3,592.5{\sim}3,459.6^{\circ}C$였다. 3. $m^2$당 입모수(立毛數)는 파종시기간(播種時期間)에는 대차(大差)없었으나,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는 소식(疎植)일수록 유의(有意)한 차(差)를 보였다. 4. 생육형질(生育形質)은 파종시기간(播種時期間)에는 간장(稈長)만이 6월5일 파종(播種)이 182.9cm로 유의(有意)하게 짧았으나,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는 유의(有意)한 차(差)를 보이지 않았다. 5. 10a당(當) 수량(收量)은 파종시기간(播種時期間)에는 6월5일 파종(播種)만이 유의(有意)하게 감수(減收)하였으나,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는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6. 생육단계별(生育段階別) 소요일수(所要日數)와 수량형질간(收量形質間)에서 개화(開花) 소요일수(所要日數)는 1,000입중(粒重)과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相關)을, 등숙율(登熟率) 및 종실중간(種實重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고, 성숙소요일수(成熟所要日數)는 등숙율(登熟率)과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 PDF

율무 국내수집종(國內蒐集種)의 형태(形態) 및 생육(生育) 특성(特性) (Morph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Coix lacryma-jopbi mayuen STAF in Korea)

  • 이효승;김기중;이은섭;성병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6-61
    • /
    • 1997
  • 우리나라의 전국(全國)에 분포(分布) 재배(栽培)되고 있는 재래종(在來種)을 수집(蒐集)하여 농업과학기술원(農業科學技術院) 종자(種子) 은행(銀行)으로부터 보관중(保管中)인 종자(種子)를 분양(分讓)받아 육종(育種) 연구(硏究) 사업(事業)에 유전자원(遺傳資源)으로 활용(活用)코져 358계류(系流)에 대(對)한 형태적(形態的), 생태적(生態的)인 작물학적(作物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율무엽(葉)의 형태(形態)는 세장형(細長形)이 18%, 중간형(中間形)이 76% 광엽형(廣葉彩)이 6%가 점유(占有)하고 있으며 부위경색(下位莖色)은 대부분(大部分) 녹색(綠色)이나 일부(一部) 갈색(褐色) 종(種)도 있다. 2. 종자(種子)의 형태(形態)는 중립종(中粒種)이 59%로 많으나 대립종(大粒種)이 34% 극대립(極大粒)이 4%나 있었고 타원형(楕圓形)이 70%, 종피색(種皮色)은 갈색(褐色) 또는 진갈색(鎭褐色) 계류(系統)이 62%나 되었다. 3. 적정(適正) 초장(草長)으로 보는 $156{\sim}170cm$ 24%가 점유(占有)하였으며 장간종(長桿種)이 26%, 단간종(短桿種)이 17%, 중간분얼수(中間分蘖數)가 $7{\sim}10$개(個)로 40% 분포(分布)하였다. 4. 조숙계류(早熟系統)에서는 출종일수(出種日數)에서 80일(日) 이하(以下)가 24.9%이나 $81{\sim}85$일(日)의 중숙계류(中熟系統)이 29.2%로 가장 많았으며 성숙일수(成熟日數)의 배우(境遇) 조숙계류(早熟系統)이 34%가 되었다. 5. 발숙율(發熟率)에서는 평균(平均)이 81.7%, 최고(最高) 99.1%이고 최저(最低)가 29,7%이었으며 1000립중(粒重) 에서는 극소립(極小粒)에서 극대립(極大粒)에 이르기까지 다양(多樣)하였다. 6. 평균(平均) 엽고병(葉枯病) 발생율(發生率)은 48.5%가 되었으며 10% 이하(以下)의 극내병계류(極耐病系統)이 3.4%나 점유(占有)하였고, 조명나방 평균(平均) 발생율(發生率)은 8%, 변이폭(變異幅)은 $0{\sim}17$%로 다양(多樣)하였다. 7. 1000립중(粒重)은 개화(開花) 소요일수(所要日數)와 초장(草長) 그리고 성숙립수(成熟粒數)와 등숙율(登熟率)과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잎마름병 발생율(發生率)과 조명나방 발생율(發生率)과는 5%의 유의(有意)한 부상관(負相關)를 보였다.

  • PDF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의 기원(基源), 변천과정(變遷過程) 및 구성원리(構成原理) 재고(再考) (Reconsideration on the Origins, Changes, and Constructive Principle of Taeeumjowi-tang)

  • 신승원;황민우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5-214
    • /
    • 2016
  • Objectives This paper was aimed to review the preceding research on the origins, changes and constructive principle of Taeeumjowi-tang.Methods We reviewed Jema Lee's original works including Dongyisusebowon and relevant books to analyze Taeeumjowi-tang-related items. To compensate insufficient evidence of literature, we also refocued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ecularities of Taeeumin and relevant symptomatology.Results and Conclusions 1) The origins of Taeeumjowi-tang should be Mahwang-tang, Saengmaek-san, Seokchangpowonji-san, and Gondam-san. 2) Taeeumjowi-tang went through Saengmaek-san, Sanyakhwawi-jeon, Bopyesaengmaek-tang, Gilgyungsaengmaek-san, and Bopyewon-tang before it was built as the final version. 3) Taeeumjowi-tang consists of a) big blue lilyturf (麥門冬) and Omija (五味子) which are directly of help to exhale and disperse qi-fluid of Lung, b) balloon-flower (桔梗) which helps circulation of qi-fluid from Head to Lung, c) adlay (薏苡仁) and dry nut (乾栗) which are directly of help to raise up qi-fluid of Wiwan, d) ephedra (麻黃) which helps circulation of qi-fluid from Wiwan to skin, e) calamus (石菖蒲) which directly helps the psychological function of Ear, and f) radish seed (蘿葍子) which slightly eliminate the excessive function of Small intestine, treating Wiwanhan symptomatology in Taeeumin.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 기원(基源), 변천과정(變遷過程) 및 구성원리(構成原理) (The Origin, Change of the time and Constructive principle of Taeumjowitang(太陰調胃湯))

  • 정용재;고병희;이의주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2-47
    • /
    • 2009
  • 1. Objects : This paper was written in order to understand of Taeumjowitang(太陰調胃湯). 2. Methods : We analysis prescription's combination of Taeumin's experior diseases through pathology and new prescription in DongyiSuseBowonSasangChoBonKywun(東醫壽世保元 四象草本卷), DongyiSuseBowon GabObon(東醫壽世保元 甲午本), DongyiSuseBowon ShinChukBon(東醫壽世保元 辛丑本). 3. Results and Conclusions : 1) The origin of Taeumjowitang(太陰調胃湯) is BoPyeSaengMacTang(補肺生脈湯) which is combination of SaengMacSane(生脈散) and SanYakHwaWiJun(山藥和胃煎). 2) BoPyeSaengMacTang(補肺生脈湯) was changed to GilGyungSaengMacSan(桔梗生脈散) in DongyiSuseBowon GabOBon(東醫壽世保元 甲午本). GilGyungSaengMacSan(桔梗生脈散) was changed to HanDaYulSoTang(寒多熱少湯) and Taeumjowitang(太陰調胃湯) in DongyiSuseBowon ShinChukBon(東醫壽世保元 辛丑本). 3) Taeumjowitang(太陰調胃湯) is combination of BoPyeWonTang(補肺元湯) which help Exhale Dispersing Qi of Lung, and adlay(薏苡仁), dry nut(乾栗) and radish seed(羅葍子) which help Stomach Qi, calamus(石葍蒲) which regular Qi, ephedra(麻黃) which is exhale experior cold Q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