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hesion amount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3초

반도체 제조 공정용 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합성과 점착 특성 (Synthesis and Adhesion Properties of UV Curable Acrylic PSA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 이선호;이상건;황택성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48-154
    • /
    • 2013
  • 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는 세상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는데, 반도체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공정에서도 이용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에 사용되는 웨이퍼가 더욱 얇아짐에 따라, 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는 더욱 적절한 점착 성능을 요구 받고 있다. 본 연구는 2-EHA (2-ethyl hexyl acrylate), 2-EHMA (2-ethyl hexyl methacrylate), SM (styrene monomer), 2-HEA (2-hydroxy ethyl acrylate), acrylic acid 모노머를 이용하여 hydroxy기를 가진 아크릴 수지점착제를 합성한 후 MOI (methacryloyloxyethyl isocyanate)의 투입량 조절을 통한 경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가반응을 시킨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아크릴 수지 점착제를 제조하여, 적절한 접착 성능을 알아보고, 수산기 값의 정도와 UV 조사량의 차이에 따라 웨이퍼 제조의 최적화된 조건을 찾았다. 시험 결과 UV 경화형 점착제에서 수산기(Hydroxyl group, -OH)와 이소시아네이트기(isocyanate group, -NCO)의 1 : 1 당량비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사용할 경우 수산기값이 클수록, UV 조사 전 박리력이 감소하였다. UV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화 특성 때문에 박리접착 강도는 낮아졌다.

상압 플라즈마 표면처리와 형태학적 조절에 의한 에폭시/폴리아미드/MPD 반응성 블렌드의 접착력 향상 (Improvement in Adhesion Properties of Epoxy/Polyamide/MPD Reactive Blends by means of AP Plasma Treatment and Morphological Tuning)

  • 송현우;강학수;김원호;스테판말지;김병민;최영선
    • 폴리머
    • /
    • 제33권4호
    • /
    • pp.284-28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DGEBA)/폴리아미드/MPD 반응성 블렌드의 폴리아미드 함량에 따른 블렌드계의 형태학적 특징 및 기계적 물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블렌드계의 경화거동은 DSC, 기계적 강도는 UTM, 형태학적 특징 변화는 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에폭시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를 선택하여 0$\sim$30 phr까지 함량을 조절 하였으며, 경화 반응을 위해 $170^{\circ}C$의 온도에서 30분간 유지하였다. 에폭시/폴리아미드/MPD 블렌드계에서 폴리아미드의 함량에 따른 경화 반응에서는 시작 온도와 최대 발열 온도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에폭시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에 의해 경화 반응이 거의 방해받지 않았음을 보여 준다. 대체적으로 상용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분산상의 크기는 100-300 nm로써 매우 작았으며, 폴리아미드 함량이 20 phr일 때 폴리아미드 분산상의 경계면 구분이 어려워지고 co-continuous한 분산상이 관찰되었다. 상압 플라즈마 표면처리에 따라 표면 자유 에너지의 증가에 의해 접착력에서 약 20%의 향상 효과를 보였으며, 폴리아미드의 함량이 20 phr일 때 co-continuous한 분산상에 의해 약 50%의 접착력 향상 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시편의 표면처리와 블렌드계의 형태학적 조절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구조용 접착제에서 강인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우수한 접착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절삭유 사용량의 억제를 위한 적절한 공급 방식의 설정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oper Metalworking Fluids Supply Method to Reduce the amount Used)

  • 강재훈;송준엽;송철원;최종호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03-1806
    • /
    • 2003
  • Metalworking fluids (MWFs) are fluids used during machining and grinding to prolong the lift of the tool, carry away debris, and protect the surfaces of work pieces. These fluids reduce friction between the cutting tool and the work surface. reduce wear and galling, protect surface characteristics, reduce surface adhesion or welding and carry away generated heat. Workers can be exposed to MWFs by inhaling aerosols (mists) and by skin contact with the fluid. Skin contact occurs by dipping the hands into the fluid, splashes, or handling workpieces coated with the fluids. The amount of mist generated (and the resulting level of exposure) depends on many factor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wastes and the potential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exposures to MWF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optimum MWFs supply method and condition with minimum quantity in all over the mechanical machining field including high-speed type heavy cutting process.

  • PDF

혈전 측정용 3D printed chip 설계 및 흡연의 영향 사전 연구 (Design of 3D printed chip for thrombus measurement and feasibility study for smoking effect)

  • 김해빈;염은섭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4-79
    • /
    • 2023
  • Thrombogenesis, which is the process of blood clot formation, can be initiated by platelet activation. Excessive formation of blood clot in the bloodstream can lead to thrombosis. Therefore, when dealing with patients with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or children, it is necessary to use small amounts of blood. Hence, it is important to develop methods for the rapid and accurate measurement of the platelet function using a small amount of blood. In this study, 3D printing technology was utilized to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micro channels. The amount of platelet adhesion in smokers and non-smokers was compared by repeatedly exposing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to adjust the number of blood injections and facilitate thrombosis attachment to simple stenosis structures.

유기용매에 의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응집조절과 비불소계 자기조립박막을 이용한 초발수 표면 제조 (Preparation of Superhydrophobic Surfaces Using Agglomeration Control of Silica Nanoparticles by Organic Solvent and Non-fluoride Self-assembled Monolayers)

  • 김태윤;정진;정일두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3호
    • /
    • pp.116-12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발수성 재료로 쓰이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불소계 실란을 대체하기 위해 octadecyltrichlorosilane (OTS)을 사용하였다. 코팅층의 기계적 접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바인더를 산 촉매 하에서 졸-겔 반응에 의해 분산시켜 합성하였다. 합성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나노크기의 거칠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초소수성을 쉽게 얻기 어려우므로 유기용매에 의한 입자의 응집을 유도하였다. 실리카 나노입자의 적절한 크기 선택에 따라 OTS를 사용해서 표면을 소수화 시킨 후 유기용매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초소수성의 표면을 얻었고 극도의 물 반발 거동이 zero sliding angle과 함께 관찰되었다. 이러한 초소수성은 용매와의 혼합과 상관없이 유전상수가 25보다 작은 값을 가졌으며 용매 내에서 입자의 응집을 통해 유도된 초소수성 표면을 제조하는 것이 저유전상수 값에 대한 지표가 되었다.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실리카 나노입자를 이용한 초발수 및 초발유 스프레이 코팅 (Superhydrophobic/Superoleophobic Spray Coatings based on Photocurable Polyurethane Acrylate and Silica Nanoparticles)

  • 김수현;이승구
    • 접착 및 계면
    • /
    • 제21권2호
    • /
    • pp.58-6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UV 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실리카 나노입자를 용매에 분산하여 간편한 스프레이 코팅을 통해 초발수 및 초발유 표면을 제작하였다. 용매의 종류, 고분자의 농도, 분사량 조절에 따른 코팅 표면 구조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물과 오일의 접촉각 측정을 통해 초발수 및 초발유 특성을 정량화 하였다. 스프레이 코팅 표면의 re-entrant 구조를 분석하여 초발수 및 초발유 특성이 극대화된 스프레이 코팅의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최적화된 스프레이 코팅 조건을 적용하여 제조된 표면의 물과 오일의 접촉각 hysteresis는 각각 2°, 30° 이하이며 오일 방울이 표면에서 튈 정도로 우수한 초발수 및 초발유 특성을 보였다.

가교된 키토산으로 형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및 방출 특성 (Preparation and Controlled Release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Chitosan Microcapsules)

  • 한아름;신영재;이천일;표형배;신재섭
    • 접착 및 계면
    • /
    • 제9권2호
    • /
    • pp.8-15
    • /
    • 2008
  • 마이크로캡슐은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서 화장품과 제약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키토산은 천연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생체고분자로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며 무독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 마이크로캡슐을 글루타르알데히드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W/O 형태의 유화법으로 제조하였다. 유화제로는 span80을 사용하였으며 가교가 시행되는 bath상의 물질은 mineral oil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키토산 마이크로캡슐은 완벽한 구의 형태로 평균 $2{\sim}10{\mu}m$ 크기를 보였으며, 교반속도와 유화제의 농도에 따른 캡슐의 직경 및 형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방출실험을 하기 위하여 가교제, 키토산, 그리고 유화제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방출 속도를 측정하였다. Riboflavin의 방출속도는 키토산의 가교 정도와 사용한 유화제의 양에 따라 크게 변하였다.

  • PDF

Half-cell 기반 multi-wires 접합 공정에서 접합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효율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Soldering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of Half-cell Soldering Process with Multi-wires)

  • 김재훈;손형진;김성현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7권3호
    • /
    • pp.65-70
    • /
    • 2019
  • As a demand of higher power photovoltaic modules, shingled, multi-busbar, half-cell, and bifacial techniques are developed. Multi-busbar module has advantage for large amount of light havesting. And, half-cell is high power module for reducing resistive losses and higher shade tolerance. Recently, researches on multi-busbar is focused on reliability according to adhesion and intermetallic compound between Sn-Pb solder and Ag electrode. And half-cell module is researched to comparing with full-sized cell module for structure differe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o efficiency and adhesion of multi-wires half-cell module according to wire thickness, solder thickness, and flux. The results of solar simulator and peel test was that peel strength and efficiency of soldered cell is not related. But samples with flux including high solid material showed high efficiency. The results of FE-SEM and EDX line scan on cross-section between wire and Ag electrode for different flux showed thickness of solder joint between wire and Ag electrode is increasing through solid material increasing. Flux including high solid material would affect to solder behavior on Ag electrode. Higher solid material occurred lower growth of IMC layer because solder permeate to sider of wire ribbon than Ag electrode. And it increased fill factor for high efficiency. In soldering process, amount of solid material in flux and solder thickness are the factor related with characteristic of soldered photovoltaic cell.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s Magnesium Stearate Blendedin Hydrophilic Matrix Tablets

  • Choi, Du-Hyung;Jung, Youn-Jung;Wang, Hun-Sik;Yoon, Jeong-Hyun;Jeong, Seong-Hoon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1권2호
    • /
    • pp.83-90
    • /
    • 2011
  •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lubricant, magnesium stearate, as blended in a hydrophilic matrix tablet and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using a tablet ejection force and a swelling property. The characteristics of tablet ejection were evaluated with three different compression forces (30, 40, and 60 MPa) and two controlled factors, amount of magnesium stearate and its mixing time. A hydrophilic model drug (terazosin HCl dihydrate) was regarded as a default factor. Tablet swelling was also evaluated. The optimal amount of PEG compared to PEO was set to be 88.50% w/w. As the amount of magnesium stearate was varied from 0.79% to 2.20% w/w, the amount of PEO and PEG was adjusted to meet the tablet's total weight while maintaining the ratio between the two excipients constant. As the mixing time of magnesium stearate was increased, the tablet ejection force and the swelling property were decreased. As the amount of magnesium stearate was increased, the tablet ejection force and the swelling property were decreased since the increased mixing time and the amount of magnesium stearate induced hydrophobic properties of the matrix tablet more effectively. The ejection force of the tablet increased as a result of increase in the compression force, which means that the breaking of tablet/die-wall adhesion energy was also increased when the compression energy was increased. The results gavea valuable guide how to choose suitable amount of the lubricant with processing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ydrophilic matrix formulations.

다양한 교정용 브라켓 원재료에 부착하는 mutans streptococci 양의 비교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mutans streptococci adhesion to various orthodontic bracket materials in vivo)

  • 유진경;안석준;이신재;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5-111
    • /
    • 2009
  • 법랑질 탈회는 교정 치료 중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부작용으로서 특히 교정용 브라켓에 대한 세균 부착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표면 특성을 가진 세 종류의 브라켓을 구강 내 장착했을 때 각 재료의 표면에 대한 mutans streptococci 부착 정도를 측정하여 브라켓 재료에 따른 법랑질 탈회 및 치아 우식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상하악 및 치아 부위별 mutans streptococci 부착 정도의 차이를 배제하고 브라켓 원재료에 따른 차이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균형완전블록 실험계획을 설계하였다. 피실험자인 30세 여성의 구강 내에 장착할 수 있는 tooth positioner 형태로 3세트의 플라스틱 맞춤 트레이를 제작하였으며, 이 트레이에 직육면체의 형태($4{\times}3{\times}2\;mm$)로 제작한 stainless steel, monocrystalline sapphire, polycrystalline alumina 조각을 세트마다 서로 다른 순서로 전치부와 구치부 순면에 부착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3종류의 실험장치를 12시간 동안 피 실험자의 구강 내에 장착한 후, 각 브라켓 재료 표면에 형성된 치태를 채취하여 bacitracin이 포함된 mitis salivarius배지에서 48시간 배양 후 colony counting을 통해 그 표면에 부착된 mutans streptococci 양을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3세트의 실험장치에 대해서 각각 5회씩 총 15회의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상하악 및 치아 부위별 및 브라켓 재료별 세균 부착 정도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 in vivo condition에서 브라켓 재료의 차이는 mutans streptococci 부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