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3초

질산(Nitric Acid) 증기 흡입에 의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1예 (A Case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aused by Nitric Acid Inhalation)

  • 김대성;윤혜은;이승재;김용현;송소향;김치홍;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6호
    • /
    • pp.690-695
    • /
    • 2005
  • 질산은 금속의 순화, 세척, 전기도금에 사용되는 산화제로서 공기나 금속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흡입하는 경우 화학성 폐렴을 유발할 수 있다. 44세 남자가 보호 장구 없이 질산을 이용하여 기계 얼룩 제거 작업을 4시간가량 한 후, 기침과 호흡곤란이 발생하여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혈압 80/50 mmHg, 맥박수 분당 140회, 호흡수 분당 26회, 체온은 $36.5^{\circ}C$ 이었다. 내원 직후 Ambu bagging을 하면서 실시한 동맥혈 검사에서 pH 7.26, $PaCO_2$ 49.2 mmHg, $PaO_2$ 31.1 mmHg, $HCO_3$ 21.3 mmHg, $SaO_2$ 54.2%로 호흡성 산증과 저산소증이 나타났으며,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양측 폐야의 폐포성 경화와 미만성 폐침윤이 관찰되어 임상적으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호기말 양압을 이용한 기계 환기 및 항생제, 기관지 확장제, 전신적인 스테로이드 치료 후 완전히 회복하였으며 추적 흉부 방사선 검사와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 및 폐기능 검사에서도 합병증 없이 모두 호전되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급성 호흡곤란증후군과 수막뇌염을 동반한 쭈쭈가무시병 1예 (A Case of Scrub Typhus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Meningoencephalitis)

  • 한혜원;최영기;박만원;박호성;손동균;노대근;김승준;이숙영;김영균;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3호
    • /
    • pp.283-287
    • /
    • 2002
  • Scrub typhus is an acute, febrile disease of humans that is caused by Orientia Tsutsugamushi.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bite of chiggers. The spectrum of the clinical severity for scrub typhus ranges from mild to severe with fatal complication such as meningoencephalitis, pneumonitis, myocarditis. Severe pulmonary involvement e.g.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and meningoencephalitis have rarely been observed since the introduction of specific antibiotic therapy. We experienced a case of scrub typhus manifested with ARDS and meningoencephaliti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doxycycline, anticonvulsant and mechanical ventilator therapy.

흉강천자 후 발생한 양측성 재팽창성 폐부종 1례 (A Case of Bilateral Reexpansion Pulmonary Edema After Pleurocentesis)

  • 김기업;정현구;박현준;차건영;한상훈;황의원;이준혁;김도진;나문준;어수택;김용훈;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161-165
    • /
    • 2001
  • 저자 등은 다량의 흉막유출로 반대측 폐의 일부 허탈과 폐부종을 보이는 만성 간질환 환자의 호흡곤란의 경감을 위하여 시행한 흉강천자 후 발생한 양측성 재팽창성 폐부종(reexpansion pulmonary edema)과 이로 인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을 경험하고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황금이 LPS로 유발된 급성 폐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s on LPS-induced Acute Lung Injury)

  • 신호필;김종대;박미연;최해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64
    • /
    • 2011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SR) aqueous extracts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t acute lung injury. Five different dosages of SR extracts were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28 days before LPS treatments, and then 5 hours after lipopolysaccharide treatment, all rats were sacrificed. 8 groups, each of 16 rats per group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Changes on the body weights, lung weights, pulmonary transcapillary albumin transit, arterial gas parameters (pH, $PaO_2$ and $PaCO_2$)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protein,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1${\beta}$ (IL-1${\beta}$) contents, total cell numbers, neutrophil and alveolar macrophage ratios, lung malondialdehyde (MDA), myeloperoxidase (MPO), proinflammatory cytokine TNF-${\alpha}$ and IL-1${\beta}$ contents were observed with histopathology of the lung, changes on luminal surface of alveolus (LSA), thickness of alveolar septum, number of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PMN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a potent antioxidant ${\alpha}$-lipoic acid, 60 mg/kg, in which the effects on LPS-induced acute lung injury were already confirm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over 125 mg/kg of SR extracts showed favorable effects on the LPS-induced acute lung injury, and 250 mg/kg of SR extracts resembling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mediated by thei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as similar to ${\alpha}$-lipoic acid i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R will be showed favorable effects on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Platelet-activating Factor 기도내 투여 후 Surfactant Protein A, B 및 C의 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Gene Expression of Surfactant Protein A, Band C in Platelet-activating Factor(PAF) Treated Rats)

  • 손장원;신동호;박성수;이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69-379
    • /
    • 1998
  • 연구배경: Platelet-activating factor (PAF)는 염증반응의 중요한 매개체이며, 폐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급만성 폐동맥 고혈압을 유발하며 leukotriene의 합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PAF는 호중구의 화화주성, 응집, 탈과립 및 유착과 leukotriene $C_4$, $D_4$ 및 superoxide anion의 생산에도 영향을 미친다. PAF는 혈소판의 응집과 thromboxane $A_2$의 생산을 초래하여 혈액 응고를 촉진시키며 폐혈관계의 미소색전을 일으켜 폐 손상 발생의 주요원인 중 하나이다. 이와같은 현상은 PAF을 흡입후에도 유사한 반응들이 일어나는 것이 관찰된다. PAF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의 병인에 중요한 매개체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Surfactant는 폐 방어기전에 영향을 미치는데 첫째, surfactant protein-A(SP-A)와 대식세포간 상호작용이 적절한 대식세포 기능 유지에 중요하다. 둘째, surfactant는 수많은 염증에 관여되는 매개체들을 적절이 조정하며 셋째, surf actant 단백자체가 중요한 산화방지능이었으며 넷째, 호기시 폐포밖으로 외부에서 흡입된 각종 업자(불순물들을 제거한다. 이 중 어느하나에 장애가 오면 ARDS의 병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방 법: PAF를 백서 기도내 투여후 surfactant단백 A, B 및 C의 mRNA 발현 양상을 filter hybridization방법으로 조사하여 surfactant단백 A, B 및 C 유전자 발현에 대한 PAF의 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SP-A mRNA양은 PAF투여군에서 대조군 및 Lyso-PAF투여군에 비하여 각각 37.1% 및 41.6%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25, p<0.01). SP-B mRNA양은 PAF투여군에서 대조군 및 Lyso-PAF 투여군에 비하여 각각 18.7% 및 32.2%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는 없었다. SP-C mRNA양은 PAF투여군에서 대조군 및 Lyso-PAF투여군에 비하여 각각 30.7% 및 38.5%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p<0.01). 결 론: 이상의 결과로 SP-A, B, C mRNA에 대한 PAF의 억제효과를 확인 하였으며 이와같은 surfactant단백들의 발현에 대한 PAF의 억제효과가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의 병인의 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Child of Severe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with Multiple Organ Failure Treated with ECMO and CRRT

  • Hwang, Woojin;Lee, Yoonjin;Lee, Eunjee;Lee, Jiwon M.;Kil, Hong Ryang;Yu, Jae Hyeon;Chung, Eun Hee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1호
    • /
    • pp.71-79
    • /
    • 2019
  • 8세 남아가 호흡곤란과 기면증을 보이며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극도의 호흡부전을 보이고 있었고 고유량의 산소 공급을 함에도 불구하고 88-90%로 밖에 유지되지 않았고 단순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전 폐야에 불투과도가 증가하였고 중등도의 흉수를 보였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진단 하에 정맥 macrolide 를 포함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였으나 2병일 째 간, 신장에 다기관 부전 및 급성 호흡부전 증상을 보였다. 정맥-정맥 체외순환막성산소화기를 삽입하였고 지속적 신대체요법도 병행하였다. 18병일 째 성공적으로 체외순환막성산소화기에서 이탈하였고 저산소성 뇌 손상 없이 성공적으로 치료되었기에 본 사례를 보고한다.

한냉글로불린혈증 환자에서 발생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1예 (A Case of Cryoglobulinemia-induce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김병규;심재정;정기환;신정호;이승헌;공희상;김제형;박상면;신철;인광호;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155-160
    • /
    • 2001
  • 한냉글로불린혈증에 의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극히 드문 것으로 보고되었다. 저자 등은 B형 간염을 가진 환자에서, 한냉글로불린혈증과 그에 인한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표면활성제와 저용량 methylprednisolone으로 치료하였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1례 (A case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reated with surfactant and low dose methylprednisolone)

  • 최보연;김경모;윤종서;이준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455-459
    • /
    • 2006
  •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은 다양하게 유발되는 신체의 손상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염증반응이 유발되어 생성되는 폐포 내의 부종으로 인해 호흡곤란과 저산소증이 초래되는 질환이다. 이 질환에서 표면활성제의 결핍과 폐포 표면 장력의 증가로 인해 폐포 동원에 장애가 오는 것이 결정적인 병인이고 표면활성제의 보충이 저산소증을 개선시킴으로써 중요한 치료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가설이 제시되었고 실제로 소아 환자들에서 저산소증을 개선시키고 증상의 호전을 얻었던 보고들이 여러 차례 있었다. 또한 이 질환의 주요 병인인 폐에서의 염증 반응에 주안점을 두고 스테로이드를 투여해 본 연구들에서 저용량 methylprednisolone으로 증상이 호전되고 생존율이 향상되었다는 결론을 얻은 바 있으나 두 치료 모두 ARDS에서 일반적인 적용은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저자들은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61일된 소아가 인공 호흡기 등의 보존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증상의 악화를 보이다가 표면활성제 120 mg/kg를 기도 내로 주입한 후 호흡곤란 증상과 저산소증 호전되고 $PaO_2/FiO_2$ 상승, 이후 저용량 methylprednisolone을 투여(2 mg/kg 14일간, 1 mg/kg 7일간, 0.5 mg/kg 7일간, 0.25 mg/kg 2일간, 0.125 mg/kg/d 2일간)한 후 2개월간의 추적 관찰에서 증상의 재발없고 방사선학적 검사상 섬유화 등의 합병증을 보이지 않았던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침습성 폐 아스페르길루스증을 동반한 급성 간질성 폐렴 1예 (A Case of Acute Interstitial Pneumonia with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 이영민;윤혜경;김주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1호
    • /
    • pp.62-69
    • /
    • 2002
  • 저자들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의심하에 고용량의 부신 피질 호르몬제 투여도중 폐병변 악화로 흉강경을 이용한 폐생검을 실시하여 침습성 폐 아스페르길루스증을 동반한 급성 간질성 폐렴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폐렴,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오인되어 Levofloxacin 투여 후 호전되어 진단이 지연된 속립성 결핵 1예 (A Case of Miliary Tuberculosis Misdiagnosed as Pneumonia and ARDS Due to the Transient Improvement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Levofloxacin)

  • 이고은;조영준;조현민;손지웅;최유진;나문준;권선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3호
    • /
    • pp.236-240
    • /
    • 2009
  • 저자들은 당뇨병의 과거력이 있는 57세 여자로 발열 및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여 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한 ARDS를 동반한 중증폐렴으로 오인되어 Levofloxacin 투여로 호흡곤란의 일시적인 호전 및 방사선적 소견상 호전을 보여 퇴원하였다. 퇴원 후 발열과 발한으로 시행한 HRCT 및 개흉 폐생검을 통해 속립성 결핵으로 진단되어 항결핵제 치료를 시행한 후 증상과 방사선학적 호전을 보였다. 폐렴의 치료 시 사용되는 fluoroquinolone제제의 결핵균에 대한 효과로 인해 결핵진단의 지연을 가져올 수 있어 급성 호흡곤란증후군과 같이 비전형적인 임상양상을 나타내는 속립성 결핵의 진단 시 주의를 기울여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