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ities of healthy living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9초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으로서 공공생활 체육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생활체육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for Public Sports Facilities to Promote Daily Life Sport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 Focused on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 하춘;배융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27-37
    • /
    • 2023
  • Purpose: Sports activities for life are an opportunity to fulfill the basic desire to be healthy and participate in society of the individual level, and it is also the realization of the trend of living together with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at the level of social inclusion. I try to propose to improve sports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rom the point of view of 'Universal Design.' Methods: Firstly, analysing of previous studies which to classify the barrier free certification standards to universal design's 7 principles and which to investigate public sports facilities. Secondly, reanalyzing, based on UD 7 principles, the raw data of the research results of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Thirdly. then, I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to promote public sports facilities for all the people includ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although the facilities have the basic accessibility, there were some inconveniences in using the facility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So I suggest a few method to improve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 1) Needs to expand 'Bandabi Sports Center' as a sports facilities for sports activities for life of all of people, 2) Needs to improve accessibility of existing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to raise awarenes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universal design, 3) Needs to produce 'UD guidelines' for the sports facilities.

노후의 일 . 여가 태도에 따른 노인공동생활주택 선호 경향 (Preferences about Senior Congregate Housing by Attitudes on Work and Leisure in Later Life)

  • 홍형옥;유병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5호
    • /
    • pp.13-24
    • /
    • 2003
  • Regarding leisure and work as very important in residential life of old ages, this study analyzed their preference by leisure and work for senior congregate housing, which can provide proper work and leisure activities for older people who are able to manage their social activities with healthy condition. It conducted a survey of middle aged of the 50's who would face problems of senior housing in 2010, with stratified sampling by region, sex and housing structure type. Totally 55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group which was positive toward their works mostly had spouse of the age of early 50' s and work for professional, technological, managerial positions with good health. Second, the more positive group towards their work showed high willingness to move in senior congregate housing, than a negative group towards their work, and put a weight on the openness of shared space and facilities as well as various alarming equipments, common space, common programs and the ability of managers. Third, according to the attitudes toward leisure activit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each group by housing structure type, education of their own or their spouses, monthly income, property, economic ability, health condition, living together with spouse, housing tenureship, and usable area of houses. The fourth was that those who enjoy active leisure activities presented high willingness to move in senior congregate housing than those of negative attitude and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managerial ways. Throughout the results of the study, it appeared that a group of positive attitude toward work and leisure, than that of negative attitud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which social and leisure programs could support. It implied necessary to develop housing for the older people who have enough ability to manage their leisure activity as well as their work. The study is likely to have a contribution to suggest practical data for helping the development of housing for self-reliant seniors by analyzing their preference on senior congregate housing by their attitudes toward work. The research for the factors of various designs and managements by leisure and work may become the following research theme of the study.

노인과 청장년의 주관적 건강에 관한 비교 연구 (Determinant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Healthy City Wonju, Republic of Korea)

  • Nam, Eun-Woo;Ikeda, Nayu;Green, Jackie;Moon, Ji-Young;Park, Myung-Bae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5-77
    • /
    • 2008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연관된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것들이 청장년층 들과는 어떻게 다른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조사대상은 원주시에 거주하는 노인으로 하여, 65세 이상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 결정요인과 $19{\sim}64$세 인구집단의 주관적 건강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두 집단에 대하여 각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이들을 비교하였다. 응답자는 청장년층이 1,685명, 노인이 188명 이다. 주관적 건강은 0에서부터 100까지 10점 단위로 표시하여, 11개의 카테고리로 나뉘어진자 모양의 그림을 제시하여 자신의 건강에 대하여 점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원주시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은 '가구소득', '교육', '배우자 유무', '적절한 취침', '불건강에 영향을 받는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 '이동능력', '불안', '우울'과 관련이 있었다. 노인들에게서 유의한 변수는 '가구소득', '적절한 취침', '사회활동 참여'였고, 반면, 청장년층의 주관적 건강은 '농촌거주', '규칙적인 운동', '혼자거주', '아침식사 결식'과 같은 요소들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아침식사 결식'은 노인의 주관적 건강에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원주시 노인들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노인들의 특별한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곤 이를 위해 사회적 자본의 강화와 같은 프로그램들을 건강도시사업에 도입 운영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을 이용한 무료노인요양시설 수용노인의 돌봄필요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Caring Demand for Extended Care Facilities by Activities of Daily Living)

  • 김철웅;문옥륜;이상이;유재원;이상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3호
    • /
    • pp.564-578
    • /
    • 199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종사자 배치현황을 검토하고, 노인요양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노인들의 건강상태와 돌봄 필요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건강상태와 돌봄필요도에 따라 필요한 돌봄인력의 추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2개 요양시설과 서울 2개 요양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187명의 노인에 대하여 직접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159 명에 대하여 면접이 이루어져 85%의 조사율을 보였다. 각 시설의 시설장 및 총무를 대상으로 시설인력현황을 조사표를 통하여 직접 작성하게 하였다. 강원도와 서울 일부 요양원에 입소하고 있는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본 대학원 석사과정 학생 6명이 노인들을 대상으로 직접 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돌봄 소요시간의 경우, 입소노인의 돌봄을 담당하는 간호(조무)사 및 생활보조원을 대상으로 조사표를 통하여 직접 작성하게 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 4개 요양시설 모두 노인복지시설의 인력기준에 미달하고 있다. 2. 노인의 건강평가도구 중 ADL이 노인의 총 돌봄 필요시간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고, 다중 회귀분석의 결과, 돌봄 소요시간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는 단지 일상생활 수행능력 하나였고, 일상생활 수행능력 점수가 클수록, 즉 노인의 의존도가 클수록 돌봄 소요시간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3. 개별 입소노인의 ADL 총 점수를 네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그룹별 평균 돌봄 소요시간은 I군에서 IV군이 각각 하루에 15.3분, 21.1분, 36.7분, 88.8분의 돌봄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4. 노인요양시설별로 ADL 그룹별 환자의 분포를 보면, 전체적으로 II군에 속하는 노인은 40.0%로 가장 많았으며, I군, III군, IV군의 순을 보여주고 있다. 시설별로 ADL 그룹별 환자의 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5. 모든 요양시설의 간호사와 보조원 수는 입소노인의 건강상태를 반영하여 추정한 적정인력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법정기준에 의한 간호사와 보조원수는 노인의 돌봄필요도를 반영하여 추정한 수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 본 연구의 조사대상 요양시설과 비슷한 건강분포를 보이는 노인요양시설의 경우에는 법정기준에 부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노인복지사업지침에 근거한 예산지원기준을 적용시킬 때는 모든 요양시설에서 적정인력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무료노인요양시설의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회복지 시설 종사자에 대한 처우 개선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으로, 급여수준을 상향조정하여야 할 것이다. 7. 노인들의 요양필요도를 실제적으로 파악함에 있어 ADL을 이용한 건강지표가 장기적으로는 노인요양 시설의 단순 입소판정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독거노인의 ICT 기반 돌봄 보조 기기 사용의향 및 필요 기능 인식에 대한 기술적 연구 (Usage intention and recognition of necessary functions for ICT-based care devices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 백민소;신준섭;신유선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25-48
    • /
    • 2021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ICT 기반 돌봄 보조 기기에 대한 사용의향 및 필요 기능을 고찰함으로써 추후 독거노인을 위한 ICT 활용 돌봄 보조 기기의 기능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1개의 도농복합도시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역 내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돌봄 보조기기의 기능은 다양하였으며, 많은 독거노인이 ICT 기반 돌봄 보조기기를 활용해 볼 의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기능에 대한 필요도 인식의 경우, 독거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질병 및 신체기능 특성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특히 골다공증, 우울증 및 불면증 여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제한 여부는 기능의 필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이 건강하게, 자립적으로 자신의 집에 거주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는 ICT 기반 돌봄 보조기기의 기능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며, 독거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별 필요도에 따른 개별화된 서비스 및 맞춤형 기기의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Comparison of the Upper and Low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during Push-up Plus Exercise with and without an Elastic Shoulder Band

  • Kim, Kyeong-Jin;Woo, Hye-Jin;Hong, Yu-Jeong;Hwang, Young-In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75-80
    • /
    • 2018
  • PURPOSE: Scapular stability is very important to arm function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push-up plus exercise is commonly used to stabilize the shoulder muscles. In the present study, we designed an elastic shoulder band (ESB) that could be used with the push-up plus exercise and studied muscle activities of the serratus anterior (SA) and the lower and the upper trapezius (LT and UT) on stable and unstable support. METHODS: Fifteen healthy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muscles were investigated using surface EMG with and without the ESB on stable and unstable support. All subjects performed each trial three times for 7 seconds per set and rested for 30 seconds. Repeated one-way 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The EMG activity of the S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the push-up plus exercise on stable support with the ESB compared with that on unstable support without the ESB (p<.05).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ctivities of UT and LT on stable and unstable support (p>.05). CONCLUSION: The ESB was effective for the activity of SA during the push-up plus exercise on stable support; therefore, it has the potential for use by people during push-up plus exercise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rehabilitation tools for patients with shoulder instability.

저소득층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형 연구에서 지역사회 주민 조직의 구성과 운영 (Operation of Community Resident Groups in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Low-income Older Adults)

  • Yoo, Seung-Hyun;Butler, James;Elias, Thistle I.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5-26
    • /
    • 2009
  • 목적: 지역사회 참여형 보건 연구에서 현장의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주요 보건문제를 파악하고 대응하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역사회 주민 조직의 구성과 운영상의 특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방법: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12개 저소득층 정부임대 아파트의 노인 입주자들을 대상으로 각 아파트마다 자발적인 주민조직을 구성하여 사회생태학 모형을 활용한 6단계 지역사회 역량강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주민조직의 과정과 성과를 기록한 200여건의 문건에 대해 질적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2년간 주민조직 월례회의를 통하여 낙후된 아파트 건물상태, 신선한 식재료 마련, 주민 간 관계개선 등을 지역사회 건강증진의 우선순위로 선정하고, 자체적인 해결방안을 구상하여 추진하였다. 주민조직 내의 리더십, 주민조직에 꾸준히 참여하는 핵심 회원, 주민조직 회의 개최의 일관성이 주민들에 의한 자치적인 지역사회 건강증진 활동의 주요 특성으로 드러났다. 리더십이 형성되고 회원의 참여와 회의의 개최가 꾸준한 주민조직일수록 지역사회 건강증진 목표 및 관련활동이 집중적인 경향이 있었다. 결론: 리더십, 참여, 일관성 등은 참여적이고 자치적인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한 역량요인이며, 이러한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하는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과 과정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농촌지역노인의 일상생활 동작능력에 관한 추적연구 (Follow-up stud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in Rural Community)

  • 이성국;백은정;천병렬;예민해;정진욱;김혜경;가이 이치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3권1호
    • /
    • pp.65-78
    • /
    • 1998
  • 일부농촌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 동작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 ADL)장애의 자연사와 ADL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기 이해 1993년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13개리에 거주하고 있는 60세이상 재택고령자 621명의 사전조사된 자료를 기본으로 4년간의 추적조사를 시행하여 사망자 90과 조사불능군 56명을 제외한 47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목욕, 옷입기, 화장실이용, 일어서기, 식사하기, 실금의 일상생활 동작능력을 조사하였다. 2) 4년간의 추적조사에서는 고ADL의 82.1%가 고ADL을 유지하였고, 저ADL의 77.8%가 4년내에 사망하였다. 3) 4년간의 ADL항목별 가능군의 장애 발생율은 목욕이 가장 많았고, 실금, 옷입기, 화장실이용, 일어서기, 식사하기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제1회 조사시 고 ADL군의 6.7%(여자의 8.1%, 남자의 4.6%)에서 4년후 장애가 발생했다. 4) ADL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ADL의 변화에서는 연령과 직업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여 노화가 될수록, 현재 직업이 없는 노인일수록 ADL감소율이 높게 나타났고, 형태에 따른 ADL의 변화에서는 남자노인의 생활비 부담과 주관식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남자노인은 자녀가 배우자에 의존할수록, 주관적 건강상태에서는 건강하지 않다고 느낄수록 ADL저하율이 높았다.

  • PDF

초기 치매 노인의 일상생활 참여 촉진을 위한 보호자 지침의 개발: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aregiver Guideline for Participation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with Early Dementia: Focusing on the Delphi Survey)

  • 김서은;구슬기;박상미;김정란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461-474
    • /
    • 2017
  • 본 연구는 치매를 조기에 관리하기 위한 중재 방법의 일환으로, 초기 치매 노인을 위해 보호자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전문적 중재 내용을 포함한 초기 치매 노인의 일상생활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보호자 지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연구의 절차는 총 3단계로 진행하였다. 첫 단계는 1차 조사로, 외국의 치매 관련 협회나 정부부처에서 발행한 초기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참여 촉진 가이드 전략과 관련된 보고서 자료를 수집하여 지침 항목을 추출하여 번안 및 재구조화 한 후 3개 영역, 128개 항목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2차 조사로, 전문가 16인의 내용타당도 검증 및 항목 삭제, 영역 재분류, 내용 통합, 번역체 수정 등의 작업을 거쳤다. 세 번째 단계는 지침의 완성 단계로, 완성된 지침은 8개 영역, 68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환경수정 및 보조도구, 일상생활, 건강관리, 의사소통, 심리 정서적지지, 여가활동, 사회참여, 일반적 지침. 또한, 모든 항목은 각 영역 내에서 중요도 값이 높은 순서로 항목을 배치하였다. CVR 평균값은 0.81, 안정도 평균값은 0.15, 합의도 평균값은 0.79이다. 즉, 최종 지침 항목에 대한 델파이 의견이 안정되고, 합의되는 경향의 값을 보였다. 그리고 15명의 델파이 조사에서 CVR은 0.49이상, 안정도는 0.5미만인 경우 더 이상의 델파이 조사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기 치매 노인의 일상생활 참여 촉진을 위한 보호자 지침은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는 초기 치매 노인의 독립성을 돕기 위해 보호자 교육용으로 안내하기에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고, 보호자의 부담을 줄일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치매 여부에 따른 신체활동수준과 관련 요인: 개인 및 기관 특성의 영향 (Current Status and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of Older Nursing Home Residents with and without Dementia: Effects of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 전승연;김홍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92-401
    • /
    • 2018
  • Background: Physical activity (PA) is critical for maintaining the health and well-being of older people in community and also institutional sett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A and relate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mong older nursing home residents with and without dementia. Methods: This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of a nationwide survey of 92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and the study sample includes older residents with dementia (n= 753) and without dementia (n= 480). The level of PA was measured by PA time and whether or not residents had an outdoor activity over the past 3 days. Multi-variate, multi-level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More than half of the sample in both groups had no or less than 1 hour of PA. About one out of four older people in our sample had no outdoor activity over the past 3 day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had dementia. Among the people without dementia, several individual-level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PA, including dependency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caregivers' belief in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residents. Unlike the non-dementia group,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level factors including staffing level and having the relevant equipment for PA were associated with PA among those with dementia. Conclusion: Study findings provide evidence on the lack of PA among older nursing home residents, and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capacity with regard to human resources and physical equipment for promoting PA among people with dementia, in particular. Policies and supports are needed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healthy aging programs including PA for older nursing home residents. Such programs should be person-centered with consideration to the physical and cognitive status of individual res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