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ities of daily living

검색결과 1,201건 처리시간 0.037초

서울시 보건소에서 실시한 관절염환자 자조관리과정 평가 (The Effect of Self-Help Program for Promotion of Health for Arthritis Patients at various Health Centers in Seoul)

  • 이은옥;서문자;강현숙;임난영;한상숙;송경애;엄옥분;이인옥;김미라;최희정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5-17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lf-help programs which had been conducted at each health center of Seoul using the protocol developed by Korean Rheumatology Health Professionals Society(KRHPS). This program was developed to initially increase self-efficacy, and then to decrease the symptoms and finally to increase the functions of the patients. This study was designed a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or 140 out of 303 program participants, and only 102 subjects were analyzed because of missing values.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25.5%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d 60.8% of degenerative arthritis patients. The results showed that arthritis self-help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elf-efficacy and then improving pain, fatigue,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But the number of pain sites was not decreased. This result explains that degenerative arthritis patients composed of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has less number of pain sites than rheumatoid arthritis, and their pain was not completely reliev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rthritis pati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tes can be improved by self-help program in the community.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lication of this program for each institute to promote health of arthritis patients.

  • PDF

복지관 방문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for the Elderly in Senior Welfare Center)

  • 안미향;김경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44-3551
    • /
    • 2012
  • 한국사회의 급속한 노령화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서적 측면의 우울 또한 노년기의 중요한 변수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일개의 복지관 방문노인 127명을 대상으로 2011년 11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일대일 면접방식을 통하여 한국판 WHOQOL-BREF과 Beck Depression Inventory을 사용하여 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을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자 62명, 여자 65명이었고, 삶의 질은 평균 85.82(${\pm}16.35$)점이었으며 우울 정도는 평균 9.45(${\pm}8.02$)점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은 교육, 건강수준, 건강보험형태, 직업, 생활경제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우울 정도는 성별, 교육, 건강수준, 건강보험형태, 직업, 생활비마련, 생활경제력, 여가활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과 우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할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사회적 참여 프로그램의 활성화, 노인 일자리 창출 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가정간호 대상자 가족의 부담감과 가족기능과의 관계 (Relation to the Burden and Function of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Home Care Clients)

  • 오승은;김순례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1-97
    • /
    • 2007
  • Purpose: This thesis focuses on researching the burden of the Home Health Care that the Family Care-givers have. Method: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for the duration of 3 consecutive months from January 2006 to March 2006 and had investigated 120 person registered as the Home Health Care Clients to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Incheon City. The thesis adopted the 'feeling of burden' measuring method jointly developed by Seo, Mi-Hye and Oh, Ga-Sil(1993), and FACES-III(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developed by Olson(1985) etc. translated by Kim, Yun-Hee(1989) as the measuring method for Family Function. Result: The overall Health Status of the Home Health Care Clients was 2.18 point of average out of 3 point, where as 1.83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1.98 for Vital sign, which are below the average. In the mean time, the Competence for Modified Barthel Index marked 30.88 point out of the full mark. The analyzed result of the burden that the family members have was 3.43 point of average out of 5 point which shows that the interviewee feel that they are considerable burden to their families. When it comes to 'the Burden to the family members' and 'the Function of the fami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the result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ich are varied according to ge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ers and the patients. When it comes to the Family Cohesion, the difference was examin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pati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s and the interviewee.(p<0.05). The result also suggests that there exists 'Negative correlation' among the level of patients' health status, the Family Cohesion and the Family Burden. Conclus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stated above, this thesis is strongly insisting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us to develop a health care mediation program, which could eventually reduce the burden of home health care that the patients' family have. At the same time, a follow-up research to prove the effect of the program is imminent.

  • PDF

'Lumbar Degenerative Kyphosis' Is Not Byword for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 Time to Replace a Misconception

  • Lee, Chang-Hyun;Chung, Chun Kee;Jang, Jee-Soo;Kim, Sung-Min;Chin, Dong-Kyu;Lee, Jung-Kil;Korean Spinal Deformity Research Society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0권2호
    • /
    • pp.125-129
    • /
    • 2017
  • Lumbar degenerative kyphosis (LDK) is a subgroup of the flat-back syndrome and is most commonly caused by unique life styles, such as a prolonged crouched posture during agricultural work and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the floor. Unfortunately, LDK has been used as a byword for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and this sometimes causes confusion.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evaluate the exact territory of LDK, and to introduce another appropriate term for degenerative sagittal deformity. Unlike what its name suggests, LDK does not only include sagittal balance disorder of the lumbar spine and kyphosis, but also sagittal balance disorder of the whole spine and little lordosis of the lumbar spine. Moreover, this disease is closely related to the occupation of female farmers and an outdated Asian life style. These reasons necessitate a change in the nomenclature of this disorder to prevent misunderstanding. We suggest the name "primary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PDSI), which encompasses degenerative sagittal misalignments of unknown origin in the whole spine in older-age patients, and is associated with back muscle wasting. LDK may be regarded as a subgroup of PDSI related to an occupation in agriculture. Conservative treatments such as exercise and physiotherapy are recommended as first-line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PDSI, and surgical treatment is considered only if conservative treatments failed. The measurement of spinopelvic parameters for sagittal balance is important prior to deformity corrective surgery. LDK can be considered a subtype of PDSI that is more likely to occur in female farmers, and hence the use of LDK as a global term for all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disorders is better avoided. To avoid confusion, we recommend PDSI as a newer, more accurate diagnostic term instead of LDK.

치매노인의 일반적 및 병리학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 삶의 질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gnition, ADL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Gener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오이수;강다행;이준희;전재근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163-178
    • /
    • 2016
  •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병리학적 특성에 따라 인지능력,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되었다. 2016년 7월 15일부터 동년 8월 30일까지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치매노인 136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C),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MBI), 세계보건기구의 삶의 질 간편형 척도을 번역된 한국어판(Korean version WHOQOL-BREF)을 사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값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비교에서, 연령대, 교육수준, 치매정도에 따라 인지능력에 차이가 있었고(p < .05), 치매노인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비교에서, 연령대, 교육수준, 치매경과기간, 치매정도, 과거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p < .05), 치매노인의 삶의 질 비교에서, 연령대, 치매경과기간, 치매정도, 과거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5). 인지능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삶의 질과 인지능력, 삶의 질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간의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p < .001), 치매노인의 삶의 질은 인지능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p < .01). 따라서 치매노인의 사회적 물리적 측면에서 더 활발한 치료적 중재 및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Virtual Reality Program on Static Balance Control and Fall Efficacy of Elderly People)

  • 김은자;황병용;김미선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107-1116
    • /
    • 2010
  • 신체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자세조절에 관여하는 고유수용성 감각, 시각, 전정기능이 감소하고 근력이 약해지고 갑작스런 움직임의 변화에 대처하는 반사능력이 감소하여 균형조절에 영향을 주고 낙상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균형조절의 어려움은 낙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하여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주고 독립적인 일상생활에 많은 장애를 일으킨다. 본 연구는 요양원에 입소한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65세 이상 노인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가상현실군(n=7)과 대조군(n=7)으로 매회 30분씩, 총8회 실시하였다. 가상현실군은 일반적 운동치료법근법과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 운동치료접근법을 실시하여 치료 전·후를 평가 비교하였다. 대상자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은 Bio-Rescue와 낙상효능감척도로 평가를 하였다. 결과에 따른 자료 분석은 Wilcoxon signed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가상현실군이 정적균형 조절 평가에서 눈을 뜬상태에서의 정적균형 조절이 향상되었으며, 안정성 한계 변화에서 움직임의 범위가 증가하였다. 낙상효능감의 변화에서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노인에게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에 효과가 있으며, 노인에게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치료 방법과 치료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상완골 간부 단순 골절에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골유합술을 이용한 치료 (The Treatment of Humerus Shaft Simple Fracture by MIPO Technique)

  • 고상훈;이선호;조범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1호
    • /
    • pp.27-32
    • /
    • 2013
  • 목적: 상완골 간부 단순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골유합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8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상완골 간부 단순 골절 골절에 대해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골 유합술을 통해 수술을 시행하고 전향적으로 12개월 이상 추시한 6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골유합 기간 및 술 후 관절 운동 범위와 기능을 확인하였다. 결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균 골유합 기간은 각각 7.2주, 8주였다. 술 후 골 정렬에서 전후상 평균 2.8도, 측면상 내반 2도의 변형을 보였다. 술 후 12개월째 견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거상 167도, 외회전 50도, 내회전 수위는 흉추 11번이었고, 평균 VAS는 1.2점, KSS는 91.3점, ASES는 26.5점, UCLA 점수는 31.5점이었다. 결론: 상완골 간부 단순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골유합술은 방사선학적 및 기능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상완골 간부 단순 골절에서 고려해 볼 수 있는 유용한 치료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

재난 시 노인의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ping Behavior of Older People in the Warning Phase of Disaster)

  • 정순둘;박현주;최여희;이지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71-76
    • /
    • 2008
  • 본 연구는 재난에 특히 취약한 노인에게 재난 경고시의 행동 요령과 정보전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재난 시 경고시간(warning phase) 동안의 노인들의 대처행동을 분석하고 대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6년 집중호우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가 있었던 강원도 인제군과 평창군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30명이었다.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노인들이 자연 징후를 보고 수해를 알게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대처행동을 6단계로 나타내는 Perry & Lindell(1997)'s index를 통해 재난시의 노인들의 대처행동이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ADL)과 거주기간이 대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해 노인들은 ADL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대처행동을 보였으며, 거주 기간이 길수록 낮은 수준의 대처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약 70%의 노인들이 재난시의 대처 행동에 충실하게 따랐으며, 노인들이 재난 시 비협력적이거나 비순응적인 집단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노인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경고의 발령과 전달의 중요성을 강조해주는 결과이며, 자연재해에 대한 사전 정보와 지식 전달, 그리고 대피에 대한 인식과 비상시의 대피계획 등에 관한 학습과 훈련의 필요성을 나타내 주었다.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 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7-90
    • /
    • 2009
  • 목적: 감각통합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감각통합중재의 객관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기 위하여 감각통합중재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중재 결과 측정에 사용된 평가도구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MEDLINE/PubMed, PsycINFO, CINAHL, Cochrane Library, OTSeeker이었고, 검색어는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와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이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11개로, 근거의 질적 수준은 수준 I과 수준 II, IV이었다. 분석내용으로는 감각 통합중재의 대상군과 중재방법, 중재결과 측정 영역에 따라 중재결과를 측정하는 도구 및 중재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 감각통합중재 대상으로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30.7%로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발달장애와 조산아가 각각 15.4%이었다. 2. 감각통합중재 방법으로는 J. Ayres에 의해 제시된 전통적인 방법이 36.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감각통합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결과측정 영역은 행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역이 40.63%로 가장 많았으며, 운동수행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8.13%, 감각기초 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5.0%이었다. 3. 감각통합중재 효과는 운동수행기술의 중재결과(66.7%)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감각기초를 위한 중재결과가 62.5%, 그리고 행동 문제 해결에 효과적인 경우가 61.5% 순으로 분석 되었다. 학습과 관련하여 쓰기기술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감각통합중재는 운동수행기술과 감각기초능력 향상, 그리고 행동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치료적 접근방법이었으나 학습에 관하여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앞으로 감각통합중재의 일차적인 효과가 지속되어학습이나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방법 및 평가도구, 중재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관절경하 AO 무두 압박 나사를 이용한 견갑골 전방 관절와 분쇄 골절의 치료 - 증례 보고 - (Treatment of Anterior Glenoid Rim Fracture with Comminuted Fragment Using Arthroscopic Reduction and AO Headless Compression Screw Fixation - A Case Report -)

  • 김형식;고일현;김성국;천용민;김성재;강호정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94-98
    • /
    • 2011
  • 목적: 견갑골 전방 관절와 분쇄 골절에 대해 관절경하 정복 및 AO 무두 압박 나사를 이용하여 골편을 고정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31세 남자로 내원 2주 전 추락 후 발생한 좌측 견관절의 전방 관절와 분쇄 골절에 대하여 관절경하에서 골절을 정복한 후, 표준 전상방 삽입구를 통해 1.1 mm K 강선을 가이드핀으로 삽입하고 AO 무두 압박 나사로 골편을 고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12개월째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정상 범위로 회복 되었으며, 골절은 유합을 얻었고 일상 생활에 불편감은 없었다. 결론: AO 무두 압박 나사는 나사의 길이가 다양하여 작은 관절와 골편에 사용하기 적합하고, 가이드 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으나 1.1 mm K 강선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나사 돌리개 (screw driver)나 천공기 (drill bit) 등의 동반 기구의 길이가 길어 비교적 깊은 위치의 견갑과 골절의 고정에 사용하기 편리하여 관절경적 고정술 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