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e beam compens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평면형 능동위상 배열안테나 빔 패턴 보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eam Pattern Compensation with Planar Active Phased Array Antenna)

  • 전상미;나형기;안창수;김선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17-22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평면형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에서 일부 모듈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발생되는 빔 패턴 왜곡을 여러가지 경우로 비교하여 검토하고, 기존에 연구된 빔 패턴 보상 방법을 실제 안테나에 적용하여 빔 패턴 왜곡 개선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빔 패턴의 왜곡은 주로 부엽 수준의 증가로 나타나게 되는데, 부엽 수준이 기준치를 넘어서게 되면 고장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모듈의 크기/위상값을 재조정하여 부엽을 낮출 수가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을 실제 제작된 안테나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 및 근접 전계 챔버에서 측정한 결과를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고장모듈이 발생하는 경우는 무작위로 여러 곳에서 발생하는 경우와 여러 개의 배열을 포함하는 단위 모듈이 고장 날 경우로 나누어서, 시뮬레이션 결과와 측정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는 시뮬레이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며, 고장 모듈이 발생할 경우 남아있는 정상 모듈의 크기/위상 조정을 통해서 부엽을 낮추기 위한 빔 패턴 보상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파관 슬롯 방식의 능동위상배열레이더 표적정보 오차보상기법 연구 (A Study on Waveguide Slotted Active Phased Array Radar Target Information Error Compensation Technique)

  • 유동길;김덕환;김한생;이기원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19
    • /
    • 2019
  • The waveguide slotted active phased array rad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m is tilt in a specific direction when the feeding position of the antenna is not in the center of the antenna. If the beam deflection phenomenon is not properly compensated, error bias is generated in the targe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radar, and the target accuracy is lowered. In this paper, we describe a technique to compensate the error of the target information that is collected in the active phased array radar of the waveguide slot type instead of the center of the antenna.

X-밴드 능동적 빔 보상 1 × 2 배열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1 × 2 Array Microstrip Antenna for Active Beam Compensation at X-band)

  • 최윤선;우종명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11-118
    • /
    • 2016
  • 본 논문은 무인항공기 탑재용 능동 빔 보상이 가능한 X-대역(9.375 GHz) $1{\times}2$ 배열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안한다. 먼저 기본형 $1{\times}2$ 배열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윌킨슨 전력분배기를 결합하여 배열 안테나를 설계 하였고, 배열 안테나의 방사 성능을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 다음으로 설계된 배열 안테나의 빔 조향을 위해 위상기, 윌킨슨 전력분배기를 모듈구조로 제작하였고, 위상 천이에 따른 빔 조향 특성을 측정 하였다. 금속 차폐를 통해 메인 로브는 $0^{\circ}$ 방향에서 0.3 dB 개선된 -0.6 dBi로, 좌우 대칭인 안정된 방사패턴을 얻었다. 또한 $180^{\circ}$ 방향에서 사이드 로브를 18.8 dB 감소시켰다. 다음으로, 무인항공기 날개에 컴팩트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배열 안테나의 뒷면에 위상기와 전력분배기를 부착하여 능동 빔 조향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 하였다. 측정 결과 최대 이득은 0.7 dB 향상된 0.1 dBi로, 메인 로브는 좌우 대칭이며 사이드 로브가 억제된 형태의 방사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무인항공기 날개에 탑재된 배열 안테나에 대해 날개의 변형에 따른 빔 오차를 보상할 수 있는 기본 안테나 설계 기술을 확보하였다.

광대역 위상 배열 안테나의 빔 편이(Beam-Squint) 현상 제거를 위한 4-Bit 시간 지연기 설계 (Design of 4-Bit TDL(True-Time Delay Line) for Elimination of Beam-Squint in Wide Band Phased-Array Antenna)

  • 김상근;정민길;김수범;나형기;김세영;성진봉;백승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061-107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전기적으로 크기가 큰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빔-편이(beam-squint)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시간 지연기를 설계 및 제작하고, 측정 결과를 고찰한다. 시간 지연기는 4-bit 스위치로 제어되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설계되었으며, 시간 지연 구조의 손실을 보상해 주기 위해 송수신 경로에 MMIC 증폭기 모듈을 추가하였다. 시간 지연기의 측정을 통해 지연 상태별 이득 및 위상, P1dB, 수신 잡음 지수 등의 전기적 성능 규격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작된 시간 지연기의 성능 검증을 위해 측정 결과를 광대역 능동위상 배열 안테나에 적용하여 빔 패턴 보정 효과를 확인하였다. X 밴드 대역에서 800 MHz 대역차를 갖는 675.8 mm 크기의 안테나에 대해 빔 편이 현상을 보정해 본 결과 ${\pm}0.1^{\circ}$이던 주파수에 따른 조향각 오차가 ${\pm}0.1^{\circ}$ 이내로 줄어드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광대역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능동형 SAR 시스템의 송수신 모듈 출력 보정 방법 연구 (A Study of T/R Module Output Compensation Method for Active Synthetic Aperture Radar)

  • 이동우;이종환;김세영;전병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955-96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 개발된 능동형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안테나의 송수신 모듈 출력에서 발생하는 이득과 위상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먼저 오차에 대해 정의하고, 시범 측정을 통해 획득한 측정값을 바탕으로 오차의 특성을 분석한 뒤, 이를 보상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의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16조의 송수신 모듈로 구성된 안테나에서 보정 전 이득은 28.2~29.0 dBm, 위상은 $101.7^{\circ}{\sim}165.2^{\circ}$의 분포를 보였으나, 보정후 이득은 27.4~28.0 dBm, 위상은 $116.1^{\circ}{\sim}120.0^{\circ}$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송수신 모듈의 출력 분포를 바탕으로 배열 이론을 적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고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보정 방법이 능동형 SAR 시스템의 성능 만족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전 탐색 영역 균일 성능을 갖는 항공기 탑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빔 운용 연구 (A Study on Beam Operation of an Airborne AESA Radar with Uniform Search Performance in Whole Scan Area)

  • 안창수;노지은;김선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740-747
    • /
    • 2012
  • 최신의 다목적 전투기에 필수적으로 장착되고 있는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AESA radar,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radar)는 스캔 손실(scan loss)로 인해 빔 조향각별 탐지 거리가 불균일하게 나타난다. 빔 조향각별 드웰 시간(dwell time)을 가변함으로써 스캔 손실을 보상할 수 있는 방식이 제시되어 왔으나, 한정된 자원 속에 탐색, 추적, 미사일 유도 등의 다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전투기 사격 통제 레이더에서 이러한 방식의 효용성은 종합적인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빔 조향각별 드웰 시간을 가변함으로써,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전 탐색 영역에서 균일한 탐색 성능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고정된 프레임 시간(frame time) 안에 빔 조향각별 드웰 시간을 가변하지 않을 경우의 탐색 부하를 50 %로 가정하면, 균일한 탐색 성능을 위해서는 약 100 %의 시간 자원을 탐색 업무에 할당함으로써, 다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전투기 사격 통제 레이더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함을 나타내었다. 다른 한편으로 균일한 탐색 성능과 50 %의 탐색 부하를 나타내기 위해 프레임 시간을 증가할 경우, 탐색 성능이 기존 대비 86.7 % 저하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프레임 시간, 탐색 부하, 탐색 성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 탐색 영역 균일한 성능을 갖는 항공기 탑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의 효과적인 빔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Orthodontic treatment of a transposed maxillary canine and first premolar in a young patient with Class III malocclusion

  • Gracco, Antonio;Siviero, Laura;Perri, Alessandro;Favero, Lorenzo;Stellini, Edoard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322-332
    • /
    • 2015
  • A 12-year-old girl was referred to our clinic for evaluation of an unaesthetic dental appearance. All permanent teeth were erupted, while the deciduous maxillary right canine was retaine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complete transposition of the maxillary left canine and first premolar involving both the crowns and the roots. Initial cephalometric analysis showed a skeletal Class III pattern, with a slight maxillary retrusion and a compensated proclination of the upper incisors. The patient's teeth were considered to be in the correct position; therefore, we decided to attempt treatment by correcting the transposition and using only orthodontic compensation of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fter 25 months of active orthodontic treatment, the patient had a Class I molar and canine relationship on both sides, with ideal overbite and overjet values. Her profile was improved, her lips were competent, and cephalometric evaluation showed acceptable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 inclinations. The final panoramic radiograph showed that good root parallelism was achieved. Two-year follow-up intraoral photography showed stable results.

모노펄스 정확도를 위한 능동배열위상레이다의 근접전계 수신시험 표본 주파수 채널 선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ample Frequency Channel Selection of Near-Field Receiving Measurement for the Active Phased Array Antenna for Mono-Pulse Accuracy)

  • 권용욱;윤재복;유우성;장헌순;김도열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318-327
    • /
    • 2017
  • 능동위상배열안테나는 정밀한 빔의 형성과 성능 확인을 위해 근접전계 수신시험이 요구된다. 그에 따른 근접전계 수신시험을 통해 모노펄스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보상값을 획득하게 된다. 하지만, 많은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레이다의 경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효율적인 레이다 개발과 생산을 위해서는 선택적으로 주파수 채널을 선정하고, 그 측정값을 기준으로 측정하지 않은 주파수 채널의 보상값을 보간법을 통해 예측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보상값의 위상각 정보를 획득할 경우, 합, 차 채널간의 위상변화량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위상의 측정은 랩핑으로 인하여 비선형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레이다의 경우, 합, 차 채널의 전기적 길이가 유사하게 설계되지만, 특정 목적으로 전기적 길이 차이가 발생할 경우, 랩핑 현상으로 인해 보간법의 오류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적 길이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보간법의 오류를 확인하고, 하나의 주파수 선택 방안을 제시한다.

능동형 전자식 개인피폭선량계의 저에너지 X선 영역별 최적화를 위한 에너지보상 필터 두께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Energy Compensation Filter Thickness for Each Energy Area of Low Energy X-ray Beam Optimization on Active Electronic Personal Dosimeter)

  • 김정수;박연현;채현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19-526
    • /
    • 2022
  • 능동형 전자식 개인피폭선량는 개인의 피폭 선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보조선량계이다. 하지만 국내에 사용되고 있는 다수의 능동형 개인피폭 선량계는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진단방사선 영역에서 큰 오차와 낮은 응답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i 포토다이오드 검출기를 사용하는 능동형 전자식 개인선량계에서 저에너지 영역의 응답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너지 보상 두께를 평가하였다. 40 kVp에서 80 kVp 영역에서는 Al 0.2 mm + Sn 1.0 mm 필터에서 우수한 응답특성을 보였고 80 kVp에서 120 kVp 영역에서는 Al 0.2 mm + Sn 1.6 mm 필터에서 우수한 응답특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