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ated carbon pellet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9초

정수슬러지 유래 흡착제와 첨착활성탄의 암모니아 및 포름알데히드 기체 흡착 성능 비교 (Comparison of Adsorption Performance of Ammonia and Formaldehyde Gas Using Adsorbents Prepared from Water Treatment Sludge and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 이철호;박나영;김고운;전종기
    • 공업화학
    • /
    • 제27권1호
    • /
    • pp.62-6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정수슬러지를 원료로 사용하여 펠렛형 흡착제를 제조하고 질소흡착법, XRD, XRF 및 암모니아 승온탈착법 등을 사용하여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정수슬러지 유래 펠렛형 흡착제와 첨착활성탄의 암모니아 및 포름알데히드 기체의 흡착 성능을 비교하였다. 정수슬러지로부터 제조된 펠렛형 흡착제는 첨착활성탄보다 표면적과 기공부피는 훨씬 작지만 암모니아를 훨씬 더 많이 흡착할 수 있었다. 이는 정수슬러지로부터 제조된 펠렛형 흡착제 표면에 산점이 훨씬 더 많이 분포해 있어서 화학흡착에 의해 암모니아를 흡착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산성가스인 포름알데히드 가스 흡착의 경우는 넓은 표면적과 발달된 기공으로 인하여 첨착활성탄의 흡착성능이 정수슬러지로부터 제조된 펠렛형 흡착제에 비해 훨씬 우수하였다.

참깨 과립종자 제조기 개발 (I) - 시작기 개발과 성능평가 - (Development of a Pellet Seed Machine for Sesame (I) - Prototype and Its Performance -)

  • 이중용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2권2호
    • /
    • pp.163-176
    • /
    • 1997
  • Sesame was one of the economical crops in Korea. However, cultivation area of sesame has been decreasing rapidly due to the lack of mechanization for this crop and the opening of agricultural product market. Sesame seed is so small that ordinary seeder can not seed properly. In rural practice, farmers seed sesame with hand and do thinning after shoot emerges. Seeding and thinning in sesame cultivation take more than 40% of total labor To reduce labor in seeding and thinning, a pellet seed machine for sesame has been developed. The pellet seed machine is very simple in structure. It utilizes the chemical reaction between alginate solution and $CaCl_2$. Two material forms a membrane when they meet The uniqueness of the pellet seed machine for sesame were 1) a counter rotating roller for metering the mixture of activated carbon and alginate and 2) swinging plate for submerging seed into the mixture. The prototype machine can produce 30, 000 pellets per hour and costs ₩6, 891 per 1 km sesame.

  • PDF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elletized Activated Carbons Using Coconut Char and Coal-Tar Pitch

  • Yang, Seung-Chun;Lee, Young-Seak;Kim, Jun-Ho;Lim, Chul-Kyu;Park, Young-Tae
    • Carbon letters
    • /
    • 제2권3_4호
    • /
    • pp.176-181
    • /
    • 2001
  • A series of activated carbons were prepared from coconut shells and coal-tar pitch binder by physical activation with steam in this study. The effect of variable processes such as activation temperature, activation time and ratio of mixing was investigated for optimizing those preparation parameters. The activation processes were carried out continuously. The nitrogen adsorption isotherms at 77 K on pellet-shaped activated carbons show the same trend of Type I by IUPAC classification. The average pore sizes were about 19-21${\AA}$. The specific surface areas ($S_{BET}$) of pellet typed AC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ctivation temperature and time. Specific surface area of AC treated for 90 min at temperature $900^{\circ}C$ was 1082 $m^2/g$. The methylene blue numbers continuous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ctivation temperature and time. On the other hand, iodine numbers highly increased till activation time of 60 min, but the rate of increase of iodine numbers decreased after that time. This indicates that new micropores were created and the existing micropores turned into mesopores and macropores because of increased reactivity of carbon surface and $H_2O$.

  • PDF

글리신 금속염 함침 입자상 활성탄의 저농도 이산화탄소 흡착능 평가연구 (Adsorption of Low-level CO2using Activated Carbon Pellet with Glycine Metal Salt Impregnation)

  • 임윤희;;조영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8-76
    • /
    • 2014
  • The present study has evaluated the $CO_2$ adsorption amount of activated carbon pellets (AC). Coconut shell based test AC were modified with surface impregnation of glycine, glycine metal salts and monoethanolamine for low level $CO_2$ (3000 ppm) adsorpti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prepared adsorbents were analyzed and the adsorbed amount of $CO_2$ was investigated by using pure and 3,000 ppm $CO_2$ levels. The impregnation of nitrogen functionalities was verified by XPS analysis. The adsorption capacity for pure $CO_2$ gas was found to reach upto 3.08 mmol/g by AC-LiG (Activated carbon-Lithium glycinate), which has the largest specific surface area ($1026.9m^2/g$). As for low level $CO_2$ flow the primary amine impregnated adsorbent showed 0.26 mmol/g of adsorption amount, indicating the highest selectivity. An adsorbent with potassium-glycine salts (AC-KG, Activated carbon-Potassium glycinate) instead of amine presented with 0.12 mmol/g of adsorption capacity,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raw activated carbon granules (0.016 mmol/g).

미이용 바이오매스의 이산화탄소 활성화를 통한 바이오카본 생산: 포름알데하이드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 특성 (Production of Bio-Carbon from Unused Biomass through CO2 Activation: Removal Characteristics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 김종수;최석천;이은도;박은석;정수화
    • 청정기술
    • /
    • 제27권4호
    • /
    • pp.325-33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미이용 바이오매스인 3급 목재펠렛 및 커피박을 이용하여 바이오카본을 생산하고 이를 통하여 저분자 극성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포름알데하이드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바이오카본 생산 실험은 이산화탄소를 활성화제로 사용하여 고정층 반응기에서 수행하였다. 활성화 실험 시 반응온도 900 ℃ 및 이산화탄소 1 L min-1으로 반응조건을 고정하여 진행하였다. 활성화 실험 결과 1급 목재펠렛으로부터 생산한 바이오카본의 BET 비표면적이 약 788 m2 g-1으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커피박으로부터 생산한 바이오카본이 약 544 m2 g-1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해 생산된 바이오카본은 대부분 마이크로 기공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매스 원료 내 회분의 함량이 낮을수록 바이오카본의 비표면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름알데하이드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 실험 결과 1급 및 3급 목재펠렛으로 부터 생산한 바이오카본에 비해 커피박으로부터 생산한 바이오카본이 더욱 우수한 흡착 성능을 보여주었다. 추가적으로 상용 첨착 활성탄과 커피박으로부터 생산한 바이오카본의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포름알데하이드 제거 성능은 상용 첨착 활성탄이 우수한 반면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에는 커피박으로부터 생산한 바이오카본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존/촉매 산화공정에서 금속담지 활성탄을 이용한 페놀의 분해 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Phenol at Advanced Oxidation Process with Ozone/Activated Carbon Impregnated Metals)

  • 최재원;윤지영;박진도;이학성
    • 공업화학
    • /
    • 제23권3호
    • /
    • pp.302-307
    • /
    • 2012
  • 오존/활성탄 공정 및 오존/촉매 공정과 같은 고급산화공정을 사용하여 페놀의 분해를 비교하였다. 촉매는 조립 활성탄에 팔라듐(Pd/AC), 망간(Mn/AC), 코발트(Co/AC) 및 철(Fe/AC)을 담지하여 제조하였다. 1 h 동안의 반응결과, 포화 오존농도(1.48 mg/L)에서 용존 오존의 분해율은 Mn/AC (45%) > Pd/AC (42%) > Co/AC (33%) > AC (31%) > Fe/AC (27%)의 순서로 감소하였으며, 페놀의 제거효율은 Mn/AC (89%) > Pd/AC (85%) > Co/AC (77%) > AC (76%) > Fe/AC (71%)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총유기탄소(TOC)의 잔존 비율(C/Co)은 Pd/AC (0.29) < Mn/AC (0.36) < AC (0.40) < Co/AC (0.49) < Fe/AC (0.51)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Co/AC 및 Fe/AC 공정은 오존/활성탄 공정과 비교하여 촉매효과가 거의 없었다. 또한 페놀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중간물질인 하이드로퀴논과 카테콜의 최대 농도는 Mn/AC > AC > Co/AC > Fe/AC > Pd/AC 공정의 순서로 감소하였으며, Pd/AC 공정의 경우, 1 h 동안 반응 후, 이러한 중간물질들이 검출되지 않았다.

열분해 조건에 따른 펠렛형 다공성 흡착재의 제조 및 톨루엔 가스 흡착 특성 (Preparation of Pelletized Porous Adsorbent with Pyrolysis Temperature and Its Toluene Gas Adsorption Characteristics)

  • 김도영;김예솔;조세호;정진영;김민일;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24권6호
    • /
    • pp.587-59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인 톨루엔(toluene)을 제거하고자 활성탄소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을 바인더로 이용하여 여러 가지 열분해 온도에 따른 펠렛형 다공성 탄소 흡착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형 다공성 탄소 흡착재의 물리적 특성은 주사전자현미경(FE-SEM), 비표면적측정장치(BET), 열중량분석기(TGA)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톨루엔 가스 흡착능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활성탄소, PVA 및 용매가 각각 1 : 0.1 : 0.8의 질량 비율로 배합될 경우 펠렛의 성형성이 가장 뛰어났다. 톨루엔 흡착 성능은 펠렛에 99% 이상의 톨루엔이 흡착되는 최대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300^{\circ}C$에서 열처리된 흡착재 비표면적은 열처리 전에 비하여 약 4.7배 증가된 약 $941.9m^2/g$로 측정되었다. 펠렛형 다공성 탄소 흡착재의 미세 기공의 부피는 0.30 cc/g으로 약 5배, 톨루엔 흡착 능력은 26 h으로 약 13배로 각각 증가하였다. 이는 바인더의 함량 및 열분해 온도 변화에 따른 활성탄소의 기공 크기 및 비표면적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흡착법을 이용한 염소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 (Removal of Halocarbonan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Adsorption Technology)

  • 김승재;조성용;김태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5-362
    • /
    • 2001
  • Adsorption isotherms of dichloromethane and 1, 1, 2-trichloro-1,2,2-trifluoroethane on an activated carbon pellet, Norit B4, were studied. For these chemicals, Sips equation gave the best fit for the single component adsorption isotherm. The adsorption affinity on activated carbon was greater for dichloromethane than that of 1, 1, 2-trichloro-1,2,2-trifluoroethane. An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udy was made for the adsorption of dichloromethane and 1, 1,2-trichloro-1,2,2-trifluoroethane in a fixed bed. Experimental results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operation variables, such as feed concentration, flow rate and bed height. Intraparticle diffusion was able to be explained by surface diffusion mechanism. An adsorption model baked on the linear driving force approximation (LDFA) was found to be applicable to fit the experimental data.

  • PDF

활성탄에 의한 사염화탄소 흡착공정에서 잔존수분의 영향 (The Effect of Residual Water on the Adsorption Process of Carbon Tetrachloride by Activated Carbon Pellet)

  • 정성준;이대로;김태영;김진환;김승재;조성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0권6호
    • /
    • pp.694-702
    • /
    • 2002
  • 활성탄은 산업분야에서 촉매로도 사용되고 용제 회수, 가스 분리, 그리고 악취제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상활성탄에서 CTC(Carbon Tetrachloride, $CCl_4$)의 흡착능에 따른 잔존수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고정층 흡착탑에서 CTC의 입구농도, 유속변화에 따른 파과곡선과 흡착량의 변화 및 활성탄의 잔존수분 탈착특성도 함께 연구하였다. 활성탄의 잔존수분량은 0에서 20%(w/w)범위에 있었으며, 모든 실험은 298.15 K에서 수행하였으며 활성탄에 대한 사염화탄소의 흡착평형실험결과는 Langmuir등온식으로 잘 묘사되었다. 활성탄의 잔존 수분량이 증가함에 따라 $CCl_4$의 흡착량은 감소하였으며 사염화탄소의 흡착에 따른 잔존수분의 탈착은 지수적으로 감소되었고, LDF(linear driving force)모델을 이용하여 파과곡선을 잘 모사할 수 있었다.

RESEARCH PAPERS : A STUDY ON REMOVAL OF PB2+ ION USING PELLET - TYPE RED MUD ADSORBENTS

  • Kim, Jung-Sik;Han, Sang-Won;Hwang, In-Gook;Bae, Jae-Heum;Shuzo Tokunaga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33-37
    • /
    • 2002
  • The two kinds of pellet-type red-mud adsorbents (bead-type, crushed-type) were from red mud, which is generated as a by-product during the production of aluminum hydroxide from bauxite ore. The adsorption experiments of Pb^{2+} ion in the aqueous solution by these red-mud adsorbents were studied with a continuous adsorption ccolumn. As a result, the crushed-type adsorbent shows better performance in adsorption of Pb^{2+} than the bead-type adsorbent between the two types of the pellet-type adsorbents. The continusous adsorption experiment shows that the pellet-type adsorbents made from red mud have good performance for removal of Pd^{2+}. The breakthrough curves of the red-mud adsorben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activated carb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