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quiescent silence motiv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친사회적 동기가 침묵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비대면 근무환경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Prosocial Motivation on Silent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Burnout and Differences in Virtual Work Environments)

  • 김봄메;하규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30권3호
    • /
    • pp.321-348
    • /
    • 2024
  • 본 연구는 친사회적 동기와 체념적, 방어적, 관계적 침묵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정서적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성이 현재 근무하는 조직의 비대면 근무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조사를 활용하여 관리자 미만 직책으로서 일반 사무직에 근무하고 있는 국내 직장인 359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Macro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그 결과 친사회적 동기와 체념적, 방어적, 관계적 침묵행동의 관계를 정서적 직무소진이 매개하였으며, 체념적 침묵행동에 있어서 부분 매개효과, 방어적, 관계적 침묵행동에 있어서는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이러한 관계성은 비대면 근무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구성원 침묵, 학습관성, 지식공유 비열의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ee Silence, Learning Inertia, and Knowledge Sharing Disengagement)

  • 허명숙;천면중
    • 지식경영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62
    • /
    • 2017
  • It found that employee silence negatively impacts both organizations and their employees as shown in findings from many studies and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it. Silence is described as intentionally withholding job-related ideas, information, concerns, and opinions. Employee silence may decrease organizational change and innovation and reduce employee learning motivation and knowledge sharing engagement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ilence motivations, perceived silence climate, and employee silence;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ee silence, learning inertia and knowledge sharing disengagement;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silence between antecedents of employee silence and consequences additionally. The results that analyzed using data from 225 employees in 42 organiz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silence motivation and perceived silence climate on employee silence are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the influence of defensive silence motivation on the acquiescent and relational silence motivation is positively significant. Third, the influence of employee silence on learning inertia and knowledge sharing disengagement is positively significant. Forth, employee sil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ilence motivation and perceived silence climate and learning inertia and knowledge sharing disengag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loyee silence is another strong expression and message for organizations to try to establish a learning organ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management.

침묵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ilence Motivation Scale)

  • 최명옥;박동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2호
    • /
    • pp.239-270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 내 구성원들이 조직 및 업무 관련하여 의도적으로 침묵을 선택하는 동기를 밝히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속된 3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직장인 104명을 대상을 조직 내 침묵 경험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응답내용을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침묵동기에 대한 총 60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개발된 예비문항에 대해 4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ESEM 분석을 통해 침묵동기에 대한 5요인(방어적 침묵, 체념적 침묵, 비관여적 침묵, 기회주의적 침묵, 관계적 침묵)을 도출하고 최종 20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침묵동기 척도와 유사개념(일반적 침묵행동, 발언행동) 간 변별성 검증을 위해 척도 간 ESEM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침묵동기 척도는 일반적 침묵행동 및 발언행동과 변별되는 개념으로 나타났다. 연구 3에서는 침묵동기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직장인 339명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침묵동기의 5요인 구조모형의 부합도가 높게 나타나 침묵동기 척도의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침묵과 발언 행동의 변별성: 측정 모형 비교 및 침묵 행동의 증분 설명력 (Discrimination between Silence and Voice Behavior in measurement and the incremental validity)

  • 정현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1호
    • /
    • pp.1-17
    • /
    • 2013
  • 본 연구는 조직 내 종업원들의 침묵 행동이 단순한 발언의 부재를 의미하는지 혹은 발언 행동과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 차원의 행동인지 여부를 측정 모형을 통해 확인하고, 구체적인 침묵 행동의 유형인 방어적, 체념적 침묵 행동이 발언 행동을 넘어서는 증분의 설명량을 가질 것인가에 대해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현재 조직에 속해 상사와 상호작용하며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204명의 개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연구문제들을 확인하기 위해 Pinder와 Harlos(2001) 및 Van Dyne, Ang, 그리고 Botero(2003)의 제안을 토대로, 발언과 침묵 행동에 대한 측정 모형들을 구축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침묵 행동은 일반적 혹은 동기를 포함한 구체적 유형으로 조작화 되었을 때도 발언 행동과 서로 구분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구체적 침묵 유형들은 팀 성과와 팀 몰입에 대해 증분의 설명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침묵 행동에 대한 연구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