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oustic boundary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어 TTS 시스템에서 딥러닝 기반 최첨단 보코더 기술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State-of-the-Art Vocoder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in a Korean TTS System)

  • 권철홍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509-514
    • /
    • 2020
  • 기존의 TTS 시스템은 텍스트 전처리, 구문 분석, 발음표기 변환, 경계 분석, 운율 조절, 음향 모델에 의한 음향 특징 생성, 합성음 생성 등 여러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딥러닝 기반 TTS 시스템은 텍스트에서 스펙트로그램을 생성하는 Text2Mel 과정과 스펙트로그램에서 음성신호을 합성하는 보코더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의 한국어 TTS 시스템 구성을 위해 Tex2Mel 과정에는 Tacotron2를 적용하고, 보코더로는 WaveNet, WaveRNN, WaveGlow를 소개하고 이를 구현하여 성능을 비교 검증한다. 실험 결과, WaveNet은 MOS가 가장 높으며 학습 모델 크기가 수백 MB이고 합성시간이 실시간의 50배 정도라는 결과가 나왔다. WaveRNN은 WaveNet과 유사한 MOS 성능을 보여주며 모델 크기가 수십 MB 단위이고 실시간 처리는 어렵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WaveGlow는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방법이며 모델 크기가 수 GB이고 MOS가 세 방식 중에서 가장 떨어진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TTS 시스템을 적용하는 분야의 하드웨어 환경에 맞춰 적합한 방식을 선정할 수 있는 참고 기준을 제시한다.

U-FRPM 기법을 이용한 원심팬 광대역소음의 효율적 예측 (Efficient Prediction of Broadband Noise of a Centrifugal Fan Using U-FRPM Technique)

  • 허승;정철웅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6-45
    • /
    • 2015
  • 유동광대역소음을 효율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통계적으로 난류를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최근에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FRPM(Fast Random Particle Mesh) 기법은 RANS(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 해석을 통해 도출된 정상상태 유동장의 난류 운동에너지와 소산 값을 이용하여 특정한 통계적 특성을 가지는 난류를 재생하는 기법으로서 유동광대역소음 문제 등에 성공적인 적용 예에 대해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FRPM 방법은 축류팬과 같이 축 대칭 특성을 갖는 기계의 경우 정상상태의 유동장을 기초로 광대역소음을 예측하는 문제에는 적용할 수 있으나, 원심팬과 같이 볼루트 영역으로 인하여 축 대칭이 성립되지 않는 기계류의 유동광대역소음에는 적용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FRPM 기법을 확장하여, 원심팬에서 발생하는 광대역소음을 효율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비정상 RANS 방정식의 수치해와 연계하여 광대역소음원으로 고려되는 난류를 특정한 통계적 특성을 가지도록 재생할 수 있는 U-FRPM(Unsteady-FRPM) 기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전산유체역학을 사용하여 RANS 방정식을 해석함으로써, 원심팬 주위의 비정상상태 유동장 정보를 도출하고, 음향상사법(Acoustic Analogy)을 기초로 도출된 유동소음원을 U-FRPM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모델링된 소음원은 경계요소법을 통해 구현되는 선형음향전파모델과 연계하여 수음점에서 광대역소음을 예측하는데 이용되었다. 예측된 결과와 실험결과의 비교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선박용 대형 덕트의 소음 특성 전산해석 연구 (Computational Analysis on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Ship Large Duct)

  • 송지훈;홍석윤;이이수;권현웅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51-758
    • /
    • 2015
  • 공조시스템의 소음 예측은 주로 NEBB에서 제안한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NEBB에서 제안한 방법은 선박에만 있는 대형 덕트의 요소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선박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용 대형 덕트의 소음 예측을 위한 전산해석방법을 연구하였다. 경계요소법을 사용하여 대형 덕트의 단위 길이당 소음 감소량에 대한 추정식을 개발하였고, 경계요소법과 전산유체역학을 사용하여 보강재가 설치된 대형 덕트에서의 유동기인소음을 예측하였다. 유입 유속이 10m/s, 보강재의 종류가 200플랫 바인 경우 100 dB 이상의 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계요소법과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덕트 투과 소음을 예측하였다. 덕트 내부와 외부의 음압 값 차이는 대략 10~15 dB정도 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선소에서는 대형 덕트를 포함한 선박 HVAC 소음 예측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운율구 경계짓기와 억양패턴 (Prosodic Phrasing and Intonation Patterns in the Speech of 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정진숙;이숙향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461-471
    • /
    • 2012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운율구 경계짓기와 억양패턴에 대한 음향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이주여성대상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운율 특성에서 이주집단이 한국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한국집단은 첫 어절을 100% 강세구로 읽은 반면, 이주집단은 거의 억양구로 실현하였으며 이주여성들은 첫 분절음에 따라 달라지는 강세구의 첫 음조의 패턴 습득이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집단보다 훨씬 다양한 첫 어절의 억양패턴들을 보였다. 몇몇 운율 특성에서는 이주집단 간에도 차이를 보였으며 한국에서의 거주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필리핀집단이 베트남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집단에 가까운 특성을 보였다. 문장 내 평균 억양구수는 베트남집단이 필리핀집단보다 많았으며 가부의문문의 문미 경계음조는 필리핀집단은 한국집단처럼 'H%'로만 실현한 반면, 베트남집단은 'H%'뿐만 아니라 'HL%'로도 실현하였다.

저속충격에 의해 발생한 복합적층판 음향방출신호의 웨이블릿 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avelet Decomposed Details of Low-Velocity Impact Induced AE Signals in Composite Laminaes)

  • 방형준;김천곤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08-315
    • /
    • 2009
  • 구조물 손상시 방출되는 고주파 음향방출(AE)신호는 실시간 손상 감지에 유리하므로 지능형 구조물의 구조건전성 모니터 링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하지만 복합 적층 구조물에서 방출되는 AE신호의 경우에는 복합재 구조의 특성상 전달 경로에 따른 신호의 감쇄정도가 일반 금속 구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므로 손상 전후 신호진폭의 크기만을 비교하여 손상을 예측하는 방법은 손상 판단에 오류를 야기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복합적층 구조에서의 정확한 충격손상 예측을 위해서는 신호감쇄의 영향을 덜 받는 신호의 분석 방법이 필요하고 손상 전후 신호특성을 정량적으로 구분할 수 여는 인자의 선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경계조건에 따른 신호특성 변화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충격손상 발생후 선행적으로 전파되는 선행파(leading wave)의 특성변화를 신호처리에 이용하였으며,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하여 신호를 분해하였다. 최종적으로 복합적층판의 저속충격 시험에서 압전 센서로 취득된 충간분리 신호를 처리하였으며, 분해된 웨이블릿 고주파 세부성분 사이의 점유율 분포를 이용하여 복합적층판의 손상을 판단하기 위한 신호처리 방법을 제시하였다.

임피던스 튜브 내에 설치된 평판의 음파투과해석 (An Analysis of the Sound Transmission through a Plate Installed inside an Impedance Tube)

  • 김현실;김봉기;김상렬;이성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9-226
    • /
    • 2015
  • 본 논문은 단면이 정사각형인 임피던스 튜브 내에 고정된 평판의 STL(Sound Transmission Loss)을 해석적으로 구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평판의 진동과 튜브 내의 음장의 연성거동(coupled motion)을 고려하였는데 평판의 진동과 튜브 음장을 무한 급수의 합으로 전개하였으며 평면파 가정을 이용하여 처음 몇 개의 모드만 고려하여도 충분히 정확한 결과를 얻음을 보였다. 평판은 클램프(clamp) 지지로 가정하였는데 진동 모드는 단면의 가로 및 세로방향 보(beam) 진동 모드의 곱으로 전개하였고 고유진동수는 Rayleigh-Ritz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평판의 STL은 가장 낮은 고유진동수에서 골(dip)을 가지며 주파수가 이보다 작아지면 STL은 커짐을 보였다. 기존 논문의 측정 및 FEM(Finite Element Method) 해석결과와 비교한 결과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SEASONAL AND SUBINERTIAL VARIATIONS IN THE SOYA WARM CURRENT REVEALED BY HF OCEAN RADARS, COASTAL TIDE GAUGES, AND A BOTTOM-MOUNTED ADCP

  • Ebuchi, Naoto;Fukamachi, Yasushi;Ohshima, Kay I.;Wakatsuchi, Masaak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40-343
    • /
    • 2008
  • The Soya Warm Current (SWC) is a coastal boundary current, which flows along the coast of Hokkaido in the Sea of Okhotsk. Seasonal and subinertial variations in the SWC are investigated using data obtained by high-frequency (HF) ocean radars, coastal tide gauges, and a bottom-mounted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ADCP). The HF radars clearly capture the seasonal variations in the surface current fields of the SWC. The velocity of the SWC reaches its maximum, approximately 1 m/s, in the summer, and becomes weaker in the winter. The velocity core is located 20 to 30 km from the coast, and its width is approximately 50 km. The almost same seasonal cycle was repeated in the period from August 2003 to March 2007. In addition to the annual variation, the SWC exhibits subinertial variations with a period from 10-15 days. The surface transport by the SWC show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a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Sea of Japan and Sea of Okhotsk for both of the seasonal and subinertial variations, indicating that the SWC is driven by the sea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two seas. Generation mechanism of the subinertial variation is discussed using wind data from the 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 (ECMWF) analyses. The subinertial variations in the SWC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meridional wind component over the region. The subinertial variations in the sea level difference and surface current delay from the meridional wind variations for one or two days. Continental shelf waves triggered by the meridional wind on the east coast of Sakhalin and west coast of Hokkaido are considered to be a possible generation mechanism for the subinertial variations in the SWC.

  • PDF

전달함수를 이용한 저파수 영역에서의 센서 유입 소음 특성 연구 (Inflow Noise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in Low Wave Number Region Using Transfer Function)

  • 박지혜;이종길;신구균;조치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38-251
    • /
    • 2009
  • 배열센서에 영향을 주는 자체소음은 그 시스템이 설치된 곳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해양으로부터 들어오는 주변소음을 포함한 소음으로 정의된다. 수중에서의 탐지를 위한 배열 구조는 표면을 따라 발생되는 유체 유기소음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곡면배열 음향 센서를 설계하기 위하여 유동유기 소음의 영향으로 인한 주파수 밀도 함수의 적분식의 주요 구성요소인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를 저파수 영역에서 수치해석 하였다. 난류 경계층에서 발생하는 유입 소음은 수정된 Corcos 모델을 이용하였다. 저파수 영역에서의 전달함수의 특성은 고정판의 두께와 밀도가 작아질수록 함수의 적분값은 적어지므로 소음의 영향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rcos 벽면 압력과 전달함수의 곱에 따른 특성과 주파수 밀도 함수의 곱의 변화를 보였다. 향후 이러한 연구는 무인 잠수정에 탑재할 수 있는 곡면배열 센서의 설계에 응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급격한 평균유속 변동에 의한 관내 Air/$C_3$$H_8$ 예혼합 화염의 소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ame Characteristics of the Air/$C_3$$H_8$ Premixed Flame Using Large Axial Mean Velocity Variation)

  • 김남일;이은도;신현동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5권4호
    • /
    • pp.540-545
    • /
    • 2001
  • Many previous researches on the premixed flame in a tube have treated the unsteady flame behaviors in which the shape, position and intensity of the flame varied, but more detail and fundamental research has been necessary. The flame stabilization condition in a tube, a unique steady state, and the unsteady behaviors, using the stabilization condition as an initial condition, were carried out in recent years. In this paper, propane-air premixed flame was stabilized in a tube and the flame behavior was observed when the mean velocity variation was imposed in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itial mean velocity. The velocity variation is larger than the burning velocity and longer than the reaction time scale. During the period of the velocity variation flame is not extinguished. But after the period of the mean velocity variation the flame could be re-stabilized or be extinguished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equivalence ratio, period of velocity variation and magnitude of velocity variation. The extinction mechanisms were classified into the two cases, one is caused by the flame stretch in the shear layer near the wall, and the other is caused by the vortices and vortexes, which are generted by the acoustic waves.

Kuroshio Observation Program: Towards Real-Time Monitoring the Japanese Coastal Waters

  • Ostrovskii, Alexander;Kaneko, Arata;Stuart-Menteth, Alice;Takeuchi, Kensuke;Yamagata, Toshio;Park, Jae-Hun;Zhu, Xiao Hua;Gohda, Noriaki;Ichikawa, Hiroshi;Ichikawa, Kaoru;Isobe, Atsuhiko;Konda, Masanori;Umatani, Shin-Ichiro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41-160
    • /
    • 2001
  • The challenge of predicting the Japanese coastal ocean motivated Frontier Observational Research System for Global Change (FORSGC) and the Japan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JAMSTEC) to start a multiyear observational programme in the upstream Kuroshio in November 2000. This field effort, the Kuroshio Observation Program (KOP), should enable us to determine the barotropic and baroclinic components of the western boundary current system, thus, to better understand interactions of the currents with mesoscale eddies, the Kuroshio instabilities, and path bimodality. We, then, will be able to improve modeling predictability of the mesoscale, seasonal, and inter-annual processes in the midstream Kuroshio near the Japanese main islands by using this knowledge. The KOP is focused on an enhanced regional coverage of the sea surface height variability and the baroclinic structure of the mainstream Kuroshio in the East China Sea, the Ryukyu Current east of the Ryukyu's, and the Kuroshio recirculation. An attractive approach of the KOP is a development of a new data acquisition system via acoustic telemetry of the observational data. The monitoring system will provide observations for assimilation into extensive numerical models of the ocean circulation, targeting the real-time monitoring of the Japanese coastal wat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