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orn flour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1초

도토리묵의 물리적 특성 -Puncture test 와 Back Extrusion test- (Rheological Properties of Acorn Flour Gels - Puncture Test and Back Extrusion Test -)

  • 김영아;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69-473
    • /
    • 1985
  • 도토리묵의 관통검사와 Back Extrusion test를 실시하여 각각의 특징적인 force-distance curve를 구하였다. 관통검사시에 관여하는 compression force와 shear force의 기여도를 알기 위하여 $K{\acute{c}}$$K{\acute{s}}$를 계산하였다. 도토리묵의 관통에는 compression force가 훨씬 더 크게 기여하고, 도토리묵의 농도가 클수록 탐침의 지름이 커질수록 그 기여도가 더 증가하였다. Back Extrusion test에 의해 얻어지는 maximum Extrusion force는 시료량의 증감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도토리묵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그 값이 증가하였다.

  • PDF

도토리묵의 물리적 특성 (Texture Profile Analysis of Acorn Flour Gels)

  • 김영아;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45-349
    • /
    • 1985
  • $3^{3}$ 요인배치법에 의하여, 농도 저장시간 저장온도의 차이에 따를 도토리묵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사용하여 측정 비교하였다. 도토리묵의TPA curve는 첫 번째 압착에서 두개의 peak를 보이고, negative peak는 나타나지 않았다. 견고성과 절단성은 농도 저장시간 저장온도의 세 인자들의 변화에 대해 매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두 peak의 높이 차이는 농도와 저장온도의 변화에 의해 특히 영향을 받으며 저장시간의 효과도 무시할 수 없었다. Bend는 농도의 변화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대응하나 저장온도의 영향은 다소 약하게 작용하며 저장시간에 따른 변화는 무시할 수 있었다. 탄성은 농도의 변화에 대해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 PDF

상자병(橡子餠)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Texture특성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 of Sang-ja-byung by Different ingredient)

  • 이효지;김희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2-351
    • /
    • 2000
  • 도토리전분과 도토리가루의 첨가량, 당의 종류와 양, 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상자병(橡子餠)의 관능검사, 기계검사, 수분측정, 색도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능검사 결과 Color와 Flavor는 도토리전분 5%에 꿀 첨가 군이 가장 좋았다. Grain은 도토리가루 5%에 설탕 첨가 군이 가장 고왔으며, Moistness와 Chewiness는 15%에 설탕을 첨가한 군이 가장 좋았다. Sweetness는 도토리 전분 15%에 꿀 첨가 군이 가장 달았다. Overall quality는 도토리전분과 도토리가루 모두 10% 첨가하고 설탕, 꿀, 올리고당 첨가 순으로 바람직하다고 평가되었다. Flavor를 제외한 항목에서 모든 시료는 유의 차가 있었다(P<0.05). 2. 기계검사 결과 Springiness는 도토리전분 10%에 설탕을 첨가한 군, Cohesivness는 도토리전분 5%에 설탕을 첨가한 군, Chewiness와 Gumminess는 도토리전분 15%에 꿀을 첨가한 군이 가장 높았고, Adhesiveness는 도토리 전분 5%에 꿀을 첨가한 군이 가장 높았다. Hardness는 도토리전분 15%에 꿀을 첨가한 군이 가장 단단했고 도토리가루와 전분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단단했으며, 설탕 첨가 군이 꿀이나 올리고당 첨가 군 보다 부드러웠다. 모든 시료는 유의 차가 있었다(P<0.05). 3. 수분함량은 쌀가루 32.93%, 도토리전분 8.52%, 도토리가루 13.26%이며 도토리 전분을 첨가한 상자병(橡子餠)이 44.11%, 도토리가루 첨가한 상자병(橡子餠)이 44.3%였다. 4. 색도측정 결과 L값은 도토리전분 5%에 올리고당을 첨가한 군, a값은 도토리가루 15%에 설탕을 첨가한 군, b값은 도토리전분 15%에 올리고당을 첨가한 군이 가장컸다. 이상의 결과로 얻어진 상자병(橡子餠)의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쌀가루 315 g에 도토리가루와 도토리 전분 35 g (10%), 설탕 60 g(17.1%), 소금 3.5 g(0.1%), 물 130 ml (37.1%)이다.

  • PDF

도토리묵의 Texture 특성 -라틴방격법과 요인배치법의 비교- (Texture profile analysis of acorn flour gel-Comparison of 3$\times$3 latin square with 3sup 3 factorial experiment -)

  • 김영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9-53
    • /
    • 1985
  • The typical texture profile analysis of acorn flour gel was investigated with Instron univ. testing machine by two experimental designs, 3$\times$3 latin square and $3^{3}$factorial experiment. As the result, it was revealed that Latin square is a useful method to reduce the number of experiments, in the case of a negligible interaction.

  • PDF

상수리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corn (Quercus autissima carruther) Cookies)

  • 김옥선;류혜숙;최해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5-232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orn ($Quercus$ autissima carruther)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okie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corn powder (at ratios of 0, 0.5, 1, 3 and 5% to total flour quantity).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ased o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in acorn powder and cookies. To analyze quality characteristics, bulk density, pH of the dough, spread factor, loss rate, leavening rate, color,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measured. Loss rate, a values,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corn powder content (p<0.01), whereas pH of the dough, L values and b values of the cooki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corn powder content (p<0.01).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ppearance, taste,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demonstrate that the 3% acorn cookie group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preference among all items of added acorn powder.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acorn i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the consumer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cookies.

조전분 농도 및 침지 시일이 도토리묵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arch Concentrations and Soaking Periods of Acorn on Sensory Characteristics of Acorn Mooks(Starch Gels))

  • 박상옥;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2
    • /
    • 1989
  • 조전분 농도 및 침지 시일을 달리한 토토리묵의 관능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묵의 갈색 정도, 단단한 정도, 응집성, 생도토리의 향미 및 떫은 느낌은 조전분 농도가 높을수록, 또 침시 시일이 짧을수록 크게 나타났고 묵의 투명도는 조전분 농도가 클수록 감소되었으나 침지 시일에 따른 변화는 크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조전분 농도가 크거나 침지 시일이 짧을수록 묵의 응집성이 커서 바람직하지만 묵이 갖는 단단한 정도, 생도토리의 향미나 떫은 느낌은 식품으로서의 품질을 저하 시킬 수 있고 아울러 재료의 경제성을 고려할 때 침지 시일을 8일로 하고 조전분 농도를$8{\sim}10%$로 하여 이를 묵 제조의 적정 조건으로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도토리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Acorn(Quercus species) Powder)

  • 주신윤;김옥선;전희경;최해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7-184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orn (fruits of Quercus species)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okie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0, 0.5, 1, 3 and 5% to the flour quantity) of acorn powder.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 in acorn powder and cookies. For analyzing quality characteristics, bulk density, pH of the dough, spread factor, loss rate, leavening rate, color,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measured. The moisture contents, a values, total phenolic acid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corn powder (p<0.001), while the pH of the dough, L values and b values of the cooki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corn powder (p<0.001).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for the 3% acorn cookie groups ranked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in overall preference, appearance, flavor, taste and color.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acorn i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the consumer acceptability and the functionality of cookies.

Effects of Drying Condition and Binding Agen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ound Dried-Pork Meat Products

  • Choi, Yun-Sang;Ku, Su-Kyung;Park, Jong-Dae;Kim, Hee-Ju;Jang, Aera;Kim, Young-Bo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97-60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ocessing conditions (temperature and time) and binding agent types (glutinous rice flour, potato starch, bean flour, and acorn flour)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ound dried-pork meat product. For this purpose, ground dried-pork meat product was produced by adding several binding agents at different drying temperatures and times. The drying time affected moisture content and water activity in all drying temperature. However, under the similar drying conditions, the extent of drying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binding agents.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or texture degree and overall acceptability indicated the following: overall, higher drying temperatures and longer drying time heightened the degree of texture,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varied depending on binding agent typ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determine any possible correlation. The results reveal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shear forces, and sensory evaluation (p<0.01).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respect to overall acceptability.

서울, 경남지역 승가(僧家)의 식생활(食生活)에 관한 조사연구 -II. 주식(主食)과 부식(副食) 중심으로- (A study on eating habits of the Buddhist Priesthood in Seoul and Kyongnam -II. Staple food and side dish-)

  • 조은자;박선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7-275
    • /
    • 1994
  • 1. 주식 밥은 쌀, 찹쌀만으로 짓는 흰쌀밥, 기름찰밥이 대부분이었고, 그외의 밥의 주재료는 쌀이었고, 부재료는 잡곡, 두류, 야채, 산채, 견과류 등을 사용하였다. 찹쌀을 주재료로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이 찌는 법을 사용하였고, 조미료로는 흰쌀밥을 제외한 거의 모든 종류의 밥에는 소금을 기본으로 이용하였다. 죽은 쌀을 주재료로 한 흰죽이 가장 많았고, 부재료는 유종실류, 한방재료류, 우유등을 이용하여 왼죽상태로 끓이는 것이 특이하였다. 국수는 건국수보다는 손국수의 형태가 많았고, 주재료는 밀가루가, 부재료는 콩가루, 메밀가루, 수수가루, 찹쌀가루등이 사용되었으며, 국수 마는 국물에는 표고버섯, 다시마 이외에 들깨, 참깨, 잣, 호도, 가죽나물 등이 이용되었다. 수제비는 밀가루를 주로 이용한 밀수제비가 대부분 이었고, 찹쌀 새알심 반죽에는 쪽을 넣어 이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국물맛은 다시마, 표고버섯외에 가죽나물을 사용하여 특이한 맛을 내었다. 2. 부식 찌게보다 국이 3배 정도 많이 이용되었고, 주재료로 국에는 엽경채류가, 찌게에는 열매채소가 주로 사용되었다. 국물맛은 간장과 된장이, 양념은 고추가루, 마늘, 파와 참기름이, 농후제로는 들깨가루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조림의 주재료로는 근채류가 대부분이었고, 조리법은 기름에 튀기거나 볶아서 간장, 설탕, 물엿으로 조리는 방법이었고, 찜은 각종채소와 산채류를 국물에 익혀 들깨가루, 찹쌀가루를 섞어 농후하게 하는 방법이었다. 생채, 나물, 볶음에는 엽경채류와 산채류가 주재료로 사용되었고, 조리법으로는 삶거나 데쳐서 무치는 방법이 많았다. 볶음, 나물에는 간장, 소금을, 산채류에는 된장, 고추장을 기본 간으로 하고 있었다. 생채와 나물에는 참기름이, 볶음에는 들기름과 식용유가 주로 이용되었고, 양념에는 마늘, 파 이외에 인공조미료도 이용되고 있었다. 전(튀김)에는 엽경채류와 근채류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버섯, 더덕, 도라지, 우엉, 마등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에 구이에 사용되었고, 사용되는 기름은 거의 모두 시판 식용유였다. 쌈의 재료는 상치가 가장 많았고, 방장은 된장, 고추장, 막장외에 멸치젓갈도 사용하였다. 회에는 생표고버섯이, 묵의 재료로는 도토리, 메밀, 녹두, 동부등이 주로 사용되었고, 조리법으로는 양념장을 뿌려서 먹는 법외에 묵볶음, 묵장아찌, 묵구이, 묵전등 매우 다양하였다.

  • PDF